-
수자원 부족한 싱가포르, 물 증발 방지에도 관심
- 경제·무역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유선아
- 2010-07-23
- 출처 : KOTRA
-
수자원 부족한 싱가포르, 물 증발 방지에도 관심
- WaterSavr 실험결과 매해 약 2000만㎥의 물 절약 가능 -
- 물 증발억제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아직 불명확해 당장 사용계획 없어 -
□ 수자원이 부족한 싱가포르, 물 증발 방지에도 관심
○ 수자원 부족으로 싱가포르 17개의 저수지에서 물의 증발을 줄이거나 차단하는 것은 PUB에서 수행하는 R&D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임.
○ PUB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강한 햇볕으로 3000㏊의 저수지 표면적에서 매해 약6000만㎥ 물이 공기 중으로 증발해 사라짐.
- 사라진 6000만㎥의 물은 싱가포르에서 두 달 간 소비하는 물의 양을 뛰어넘음.
○ 커다란 플라스틱 덮개와 같은 증발 방지책들은 소요비용이 비싼 데다 기껏해야 최대 규모가 약 10㏊밖에 이르지 못하고, 사람들이 카약, 웨이크보드, 낚시 등을 즐기는 Bedok Reservoir와 같은 싱가포르의 저수지에는 적합하지 못함.
- 일례로 플라스틱 방지책인 VapourGuard는 소요비용이 ㏊당 약 18만 싱가포르달러로 추정된다고 함.
□ WaterSavr, 매해 2000만㎥의 물 절약 가능
○ PUB에서 석 달 동안 Bedok Reservoir에서 신규 기술 ‘WaterSavr’를 실험한 결과 발표에 따르면, 싱가포르에서는 유기분자로 이뤄진 얇은 막을 사용해 저수지 물의 증발을 줄임으로써 매해 8000개의 올림픽 수영 경기장을 채울 정도의 규모인 약 2000만㎥의 물을 절약할 수 있다고 함.
○ 캐나다 기업 Flexible Solutions에서 고안한 WaterSavr는 무독성의 지방알코올과 수산화칼슘을 포함하는 고운 가루를 사용함.
○ WaterSavr가 물 표면에 놓이면 고르게 퍼져 투명하고 무색인 액체막을 형성하게 되는데, 하나의 층으로서 분자가 두꺼워 물의 증발을 막게됨.
○ 싱가포르 및 호주, 캘리포니아의 건조한 Owens Valley 등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 추진된 실험들은 WaterSavr를 통해 물 손실을 평균 30%까지 줄일 수 있음을 증명함.
○ 수분제공 크림 속 라놀린이 피부를 촉촉하게 지켜주는 것처럼 물의 증발을 억제하기 위해 물에 지방알코올을 넣는 아이디어는 1920년대부터 시작됐으나, 지방알코올을 물에 넣으면 퍼지지 않고 뭉쳐버리는 문제가 있었음.
- 캐나다 기업 Flexible Solutions에서는 칼슘을 첨가함으로써 분자들이 서로 밀어내어 물에서 퍼지도록 만듦.
□ WaterSavr, 수질에 미치는 악영향은 없어
○ WaterSavr 가루가 유독성을 띤다는 두려움을 가라앉히기 위해 PUB에서는 실험 전과 실험 진행 중 실험 이후의 수질을 검사함.
○ PUB 발표에 따르면 WaterSavr 사용은 용존산소량, pH, 기타 수질 기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WaterSavr는 2~3일 내에 생분해되며, 국제 수질협회(Water Quality Association)의 골드씰(gold seal), NSF ANSI 60 안전기준 등과 같은 화학첨가물에 대한 국제 표준을 따름.
□ WaterSavr 사용은 신중해야
○ 사용된 화학물질이 해롭지 않으나 NUS의 생물학자 Peter Ng에 따르면 증발 억제가 장기적으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WaterSavr 사용에 신중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
- 생물학자 Peter Ng은 Bedok Reservoir는 완전히 인공적인 시스템이기 때문에 Bedok Reservoir에 대해서는 크게 우려되지 않으나, 싱가포르 중부의 자연적인 저수지들에 대해서는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힘.
○ PUB에서는 WaterSavr 실험은 예비 시험이었을 뿐이며, 지금은 WaterSavr 기술을 싱가포르 저수지에 사용할 계획이 없다고 밝힘.
○ PUB의 발표에 따르면 WaterSavr를 활용해 싱가포르 저수지들에서 물 손실을 지속적으로 최소화하는데 연 400만 싱가포르달러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추정됨.
- 이는 1㎥의 물 당 20센트 정도의 비용인 셈으로, 담수 생산 비용에 비해 아주 저렴한 수준임.
○ WaterSavr의 싱가포르 사무소에서는 뉴질랜드 엔지니어링 기업 Nu-Con의 싱가포르 지사와 함께 자동으로 WaterSavr를 뿌리는 기계를 이미 제조했고, 동남아 및 세계 시장에 이를 마케팅할 계획이라고 함.
□ 시사점
○ PUB에서는 당장은 WaterSavr를 싱가포르 저수지에 사용할 계획이 없으며, 물 증발 억제가 생태계에 미칠 영향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WaterSavr 사용에는 신중을 기할 것으로 예상됨.
○ 수자원이 부족한 싱가포르에서는 수자원을 모으고, 절약하며, 재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은 바, 관련 기술 개발 및 보유업체의 진출이 유망할 것으로 기대됨.
자료원 : The Straits Times 7.2.자, KOTRA 싱가포르KBC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수자원 부족한 싱가포르, 물 증발 방지에도 관심)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바이어에게 직접 듣는 태국 수출입 전망
태국 2010-05-25
-
2
베트남, 올 3분기 경제현황 및 전망(2)
베트남 2009-10-15
-
3
인도 백만장자 수 급증, 부자마케팅 주목
인도 2010-06-30
-
4
[신성장산업기술] 의료 허브를 꿈꾸는 싱가포르(1)
싱가포르 2010-06-30
-
5
필리핀, 대선 제대로 치러질까 의구심 증폭
필리핀 2010-05-05
-
6
필리핀, 09년 경제성장 11년 만의 최저 기록
필리핀 2010-02-24
-
1
2025년 싱가포르 프랜차이즈 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5-04-11
-
2
2024년 싱가포르 반도체 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4-11-11
-
3
2023년 싱가포르 바이오헬스 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3-05-23
-
4
2021년 싱가포르 IT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2-01
-
5
2021년 싱가포르 관광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1-29
-
6
2021년 싱가포르 건설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