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베트남, 올 3분기 경제현황 및 전망(2)
  • 경제·무역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박동욱
  • 2009-10-15
  • 출처 : KOTRA

 

베트남, 올 3분기 경제현황 및 전망(2)

- 3분기 경제성장 4.56% 달성, 회복세 가속 -

- 여타 동남아 국가 비해 경기위축 제한적이나 무역수지 적자, 인플레이션 압력 지속 -

 

 

 

□ 외채 및 외환보유고

 

  베트남의 취약한 산업 및 무역구조로 2000년 이후 무역적자 폭이 매년 40억〜50억 달러로 확대됐으며, 특히 2007년 전년 대비 2.8배 증가한 141억 달러를 기록, 2008년 상반기에만 전체 수출의 50%에 달하는 148억 달러에 달하는 무역적자를 기록해 외환위기설이 대두되기도 함. 하지만 정부의 무역수지 적자폭 감소를 위한 전방위 노력으로 2008년 말 큰 폭의 감소와 2009년 초 금 수출을 포함한 다양한 광물자원 수출 노력으로 무역수지 폭이 감소추세를 보이기도 했음.

 

  베트남의 경우 2008년 기준 240억 달러의 대외채무를 기록하고 있으나, 대부분이 중·장기 외채로 1년 미만 단기외채의 경우 20억 달러에 불과해 전체 외환보유고의 8.5%인 상황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외채구조를 보유함.(베트남정부 미확인)

 

  2009년 정부의 긴급 경기부양정책 기금 80억 달러의 경우 대부분 외환보유고에서 사용될 것으로 전망되며, 올해 추가부양책 중 하나인 10억 달러 규모의 정부발행 채권 또한 부채확대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됨.

 

  2009년 베트남 해외 직접송금 또한 큰 폭으로 감소하며, 전년 대비 30% 이상 감소한 56억 달러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외환보유고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임.

 

베트남 외채 및 외환보유고 현황

            (단위 : 억 달러)

구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외환보유고

63.6

71.8

92.1

135.9

238.7

201.6

외채

159.9

180.5

192.1

202

218

240.5

주 : *2008년은 전망치

자료원 : EIU

 

□ 환율

 

  베트남의 경우, 환율시장이 제한된 관리 변동환율제도로 운영돼 정부의 외환시장 관리가 매우 폐쇄적인 상황이며, 지난 2000년 이후 2007년까지 연평균 1.8%의 평가절하 추세를 이어감.

 

구분

’02년

’03년

’04년

’05년

’06년

’07년

’08년

’09년

환율(대달러화)

15,271

15,646

15,777

15,916

16,054

16,030

16,835

17,840

자료원 : EIU, 베트남 통계청

 

  2008년 5월 베트남 금융위기설로 US$ 1당 VND 1만6200 수준에서 1주만에 암시장을 중심으로 US$ 1당 VND 1만9500까지 20% 이상 치솟은 것은 물론, 선물환시장에서 2만2500 동까지 폭등하며 기업 달러 결제수요에 대혼란이 일어나기도 했음. 2009년 또한 베트남동화의 지속적인 평가절하가 유지됐으며, 정부의 동화평가절하 용인정책으로 암시장 거래 환율이 US$ 1당 VND 1만8300 수준 유지

 

  일부 전문가는 정부의 구체적 환율안정책이 없을 경우 연말 1만9000동 수준까지 상승할 가능성을 제기함.

 

 

□ 이자율

 

  베트남 중앙은행의 2004년 7.5%, 2005년 8.25%의 기준금리 인상 이후 안정세가 유지된 이자율이 2008년 인플레이션 우려에 따른 중앙은행의 긴급 긴축정책으로, 올해 3차례에 걸친 기준금리 인상으로 14%까지 큰 폭으로 인상하며 최고치를 기록함.

 

  2009년 베트남 중앙은행은 통화긴축을 폐기하고 경기부양을 위한 유동성 확대를 위해 기준금리를 7%대로 급격하게 하락시켰으나 시중금리는 최근 은행 간 금리경쟁으로 10%대로 상승 중임.

  - ’03년 12월 7.25%, ’05년 3월 8.25%, ’08년 2월 8.5%, ’08년 5월 12%, ’08년 6월 14%

  - ’09년 1월 8.5%, ’09년 2월 7%

 

  베트남 중앙은행은 2009년 상반기 M2 유통이 매월 20~30% 급증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와 부동산 버블 재연 조짐으로 기준금리 인상을 신중하게 검토하는 상태이나 경기회복 지연과 정부 부양정책 유지로 지연되는 상황임.

 

자료원 : 베트남 중앙은행

 

□ 2009년 주요 분야별 전망

 

경제성장

 

- 베트남정부의 2009년 5%의 경제성장률 목표가 최근 80억 달러에 달하는 경기부양책으로 경기회복세가 본격 시현되며, 달성가능 전망. IMF 및 일부 전문기관은 3~5%의 성장을 예측했으나 최근 성장전망을 상향조정함.

- 내수소비 확대 및 자산효과로 여타 동남아 국가에 비해 경기위축이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되며, 정부의 경기부양책과 대형프로젝트 본격 추진으로 경기회복 속도 빨라짐.

 

 

 

대외교역

 

- 주요 수출품인 석유, 석탄 및 농산물 가격 급락과 섬유, 의류, 신발 등 선진국 수요 감소에 따른 수출 감소폭이 13~15%로 추정

- 현지 석유화학, 철강공장 본격가동에 따른 수입대체 효과로 상대적으로 수입이 더 큰 폭으로 하락, 무역수지 적자 폭이 개선 중이나 3분기부터 수입증가세 확대로 연간 100억 달러 규모 무역적자 전망

 

 

 

투자진출

 

- 국내·외 업체의 투자 감소 및 외국기업 투자에 의해 건설되는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이 지연 중이나 하반기 후 외국인투자가 회복되는 추세로 2009년 US$ 200억의 외국인투자 유치 가능 전망

 

 

 

금융외환

 

- 주가 : 베트남은 전년에 70% 폭락했으나 글로벌 유동장세로 연초 반등해 590p에 육박했음. 하지만 최근 세계 조정장세로 베트남 또한 불안한 장세 연출 상태임.

- 금리 : 베트남 중앙은행은 6차례 금리인하로 7%의 금리를 유지 중이며, 인플레이션 우려로 추가 금리인하보다 인상에 무게

- 환율 : 베트남 수출산업의 경쟁력 약화에 대처하기 위해 정부의 동화하락세 추가 용인으로 절하 전망

 

□ 2009년 베트남정부의 경제정책 목표

 

  베트남 정부는 2009년 경제선진화를 위한 산업발전계획의 단계적 추진을 통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5%, 인플레이션을 10% 이하로 억제하고 투자가 전체 GDP의 39.5%, 수출은 전년 대비 3% 증가한다는 정부 경제운영 목표를 설정함.

  - 2009년 GDP는 US$ 1030억, 1인당 GDP는 US$ 1180을 목표로 설정

 

 ○ 2009년 베트남 경제는 전 세계 신용위기의 여파로 외국인투자 위축, 주요 시장의 수출감소 등 대내·외 경제여건의 악화로 베트남정부의 목표달성 가능성은 불투명함. 특히 외국인투자와 수출의존도가 높은 베트남은 더욱 어려운 경제운영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도 제기됨.

 

 ○ 하지만 베트남 경기위축에도 외국인투자자의 발길이 이어지며, 신흥유망시장으로서 매력을 유지하고 전 세계 국가의 ODA 지원 확대추세와 2010년 하노이 정도 1000년 프로젝트 등 대형 정부지출 확대로 예정된 사회간접시설 투자가 베트남의 건설경기를 부양할 것으로 전망됨. 또한 소비수준 향상에 따른 확대되는 내구소비재시장은 새로운 경제성장의 버팀목으로 큰 힘을 발휘할 것으로 전망됨.

 

경제지표

2008년

2009년

인구

8,630만 명

8,730만 명

GDP 성장률

7%

5%

수출

US$ 612억

US$ 650억

수입

US$ 800억

US$ 770억

경상수지

-

US$ 50억

정부세수

US$ 189억

US$ 222억

정부지출

US$ 233억

US$ 270억

재정적자 폭

GDP 5% 이하

GDP 7% 이하, 70억 달러

신규 일자리

160만 명

170만 명

빈곤가구

14%

12%

자료원 : 베트남 투자기획부 2009년 사회경제계획 7월 초안(수정본 반영)

 

□ 2010년 6.5~7%의 경제성장, 1인당 국민소득 1220달러 전망

 

  베트남 기획재정부(MPI)는 올해 8월, 2010년 베트남의 국가경제 마스터플랜의 초안을 작성해 비준을 대기 중임. 이번 초안에서 기획재정부는 2010년 경제성장률은 6.5~7%의 높은 목표를 제시했으며, 국내총생산은 2010년 108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함.

 

  베트남 기획재정부는 2010년 212억 달러 규모의 자본금을 가진 총 8만5000개의 기업이 신규등록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펀드 신설도 검토 중임. 아울러 1000여 개의 공기업에 대한 개혁과 주식유동화도 추진 예정임.   

 

  재정분야에서는 재정수입이 올해 대비 14% 증가한 248억 달러, 재정지출은 올해 대비 4% 증가한 307억 달러로 전체 GDP 대비 재정적자 수준이 5.5% 미만으로 유지할 것을 목표로 설정함.

 

  고용분야에서 2010년까지 전체 5720만 명의 고용을 목표로 국내 고용이 현재 4600만 명에서 확대되며, 해외근로자 파견은 9만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 도시지역 실업률은 4.6%대 유지가 목표임.

 

  베트남의 대외교역 중 수출은 2010년 6% 정도 증가한 665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으며, 전체 수출은 770억 달러를 기록, 105억 달러에 달하는 무역수지 적자규모는 지속 유지될 것으로 전망함.

 

 ○ 사회간접자본 투자분야는 2010년 전체 GDP의 40.7%에 해당하는 444억 달러 규모로 전망했으며, 2009년 대비 15.1% 확대됨.

  - 전체 사회간접자본의 재원을 보면 정부예산이 97억 달러, 정부 채권발행이 43억 달러, 정부여신이 33억 달러, 국영기업 투자 39억 달러, 민간기업 투자 133억 달러, 외국인투자 89억 달러를 기록하고 기타 자금이 10억 달러로 추정됨.

 

경제분야

사회분야

경제성장률 : 6.5~7%

 - 농업 : 3.3~4%

 - 건설 및 산업 : 7~7.5%

 - 서비스 : 7.8~8.3%

1인당 GDP : 1,220달러

물가인상률 10% 이하 유지

수출 : 665억 달러

수입 : 770억 달러

정부세입 : 248억 달러

정부지출 : 307억 달러

사회간접자본 투자 : 전체 GDP의 40.7%

출생률 : 0.2%

신규 일자리 창출 : 160만 명

빈곤률 : 11%

1인당 주거공간 : 13.2sm

자료원 : 베트남 MPI 9월 초안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MPI 및 KOTRA 하노이KBC 자체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올 3분기 경제현황 및 전망(2))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관련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