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산업기술] 캐나다, 그린 자동차 부품이 살길이다
  • 경제·무역
  • 캐나다
  • 토론토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9-12-31
  • 출처 : KOTRA

 

[산업기술] 캐나다, 그린 자동차 부품이 살길이다

- 캐나다 3대 자동차 부품 기업의 고효율 연비 관련 자동차 부품 개발 현황 -

     

     

     

 그린 자동차 부품 생산확대 배경

     

 ○ 미국과 캐나다 정부의 배기가스 배출규제 강화

  - 미국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과 기존 화학연료 비중 감소를 위해 2030년까지 차량의 연료 효율성을 2009년 현재 수준보다 40%가량 감소하는 기준을 설정

  - 캐나다 정부도 2009년 12월 19일 폐막한 코펜하겐 정상 회담에서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6년 수준의 20% 절감하기로 합의

  - 2009년 12월 30일, 캐나다 퀘백 주는 캐나다 주로는 처음으로 미국의 캘리포니아 주를 비롯한 15개 미국 주에서 시행되는 기준과 비슷한 강력한 자동차 연비 기준 채택

  - 이 기준은 2009년 현재 퀘백 주 온실가스 배출량의 40%를 차지하는 차량 배기가스 배출 감소를 위한 방안으로, 2010년 1월부터 2016년까지 25~35%가량의 배기가스 감소를 목표로 하고 있음.

  - 퀘백 주에서 판매되는 신차에 대해 1km 주행 당 평균 허용 배기가스 배출량을 설정하는 이번 기준을 어길 경우 자동차 제조회사는 판매차량 한 대 당 5000 캐나다달러의 벌금을 징수받음.

 

 ○ 이와 같은 미국과 캐나다에서의 배기가스 배출규제 움직임과 더불어 유가상승 및 유가절감을 위한 소비자들의 친환경 소형차 구매 확대는 생존을 위해 몸부림 치는 북미 Big 3 (GM, Ford, Chrysler) 자동차 기업의 대규모 친환경 연비 향상 차량 개발 움직임을 불러옴.

  - Big 3의 이러한 움직임은 오래전부터 이들과 주로 거래를 해왔으며 연비 효율 향상을 위한 가벼운 부품이나 고급 파워트레인 개발에 초점을 맞춰 온 캐나다 Tier 1 자동차 부품 기업에는 호재로 작용함.

  - 실제로, 2009년 12월 현재 Magna, Linamar, Martinrea 등 캐나다 3대 주요 자동차 기업의 주가는 금융위기가 심각하던 2008년 12월에 비해 월등히 상승

     

2008년 대비 2009년 캐나다 3대 주요 자동차부품 기업 주가 상승 비교

업체명

2008년 12월 29일

2009년 12월 29일

증감률

Magna International

32.68

52.65

61.1

Linamar

13.80

3.75

268

Martinrea

2.14

8.60

301.9

자료원 : Google Finance

 

  - 리서치 및 투자기관인 CIBC Capital Markets의 Michael Willemse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Big 3는 지난 수년간 자금난으로 인해 친환경 차량과 관련한 충분한 R &D를 행하지 못했으므로, 캐나다 자동차부품 기업과 같이 자체적으로 친환경 자동차 부품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해온 하위 부품 기업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다고 전함.

 

□ 캐나다 3대 자동차 부품 기업의 그린 자동차 부품 개발 및 생산현황

 

 ○ Magna International

  - 온타리오 주 Aurora시에 위치한 세계 3위 규모의 Magna International사는 U$ 10억 이상의 풍부한 유동자산을 바탕으로 전기차와 고효율 저연비 관련 기술 투자를 최우선으로 삼고 활발한 그린 자동차 부품 개발 및 생산에 앞장서고 있음.

  - 캐나다 리서치 및 투자기관인 Genuity Capital Markets의 David Tyerman 에널리스트에 따르면, Magna International사는 풍부하고 다양한 엔지니어링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효율 저연비 관련 부품 수요 증가와 관련해 시장에서 강력한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고 전함.

  - 2008년 10월, Magna사는 친환경 자동차 산업에 주력하기 위해 절전형 전기 자동차 및 축전지 업체인 BluWav System사를 인수하고, Ford 사와 합작해 2011년을 목표로 신규 배터리기술 개발을 추진함.

  - Magna사는 2009년 3월 Geneva 모터쇼에서 완성차 시설을 보유한 오스트리아 자회사인 Magna Steyr사를 통해 자사 기술을 이용한 컨셉 전기차인 Mila EV를 선보이기도 함.

  - 2009년 3월 Magna International사는 스위스 컨버터 및 배터리 충전장치 제조기업인 Brusa Elektronik사와 완성차 업계의 하이브리드 일렉트릭,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개발 확대 움직임 타깃을 목적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조인트 벤처 체결

  - 2009년 12월 18일에는 캐나다 정부와 초경량 차량 부품 생산을 위한 새로운 열가소성 수지 합성소재 (Thermoplastic Composites) 개발 연구 시설 설립 관련 파트너쉽 발표

  - Magna International사의 오스트리아 자회사인 Magna Steyr사는 BMW와 Mercedes-Benz 차량 및 Volvo의 산업용 차량 Lithium-ion 배터리를 계약 생산하고 있음. 이를 통해 Magna사는 처음 시작부터 끝까지 완벽한 자동차 엔지니어링과 개발 능력을 보유할 수 있게 됨.

 

 ○ Linamar Corporation

  - 온타리오 주 Guelph시에 위치한 Linamar Corporation은 파워트레인 개발부분에서 두각을 나타냄.

  - 하이브리드나 전기 추진 시스템을 개발하는 대신 Linamar Corporation은 Green and Fuel Efficient Powertrain Project를 통해 고효율 내연 엔진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개발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특징임.

  - 전문가들은 고효율 내연 엔진기관을 앞으로 20년간 주로 사용될 파워트레인으로 꼽고 있으며, 이에 따라 향후 5~20년 동안 이 분야 선두주자인 Linamar Corporation은 커다란 이득을 취할 것으로 전망

  - 2009년 9월 캐나다의 스티븐 하퍼 수상은 Linamar Corporation을 방문한 자리에서 이 회사의 Green and Fuel Efficient Powertrain Project에 정부의 획기적인 자동차 업계 지원 프로그램인 Automotive Innovation Fund를 통한 지원을 약속하기도 함.

 

2009년 9월 캐나다 스티븐 하퍼 수상의 Linamar Corporation 방문 사진

자료원 :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 Martinrea

  - 온타리오 주 Bramption시를 거점으로 금속 자동차 부품 생산 및 조립을 위주로 하는 Martinrea사는 캐나다 내에서는 독보적으로 수압을 이용하는 비교적 단순한 공정기법인 하이드로 포밍 (Hydro-forming) 공법을 사용해 제품을 제작

  - 하이드로 포밍 공법은 기존 금형을 사용해 제품을 제작하던 복잡한 공정과정을 단순화 시켜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옴과 동시에 다 가볍고 강성력이 높은 제품 생산에도 이바지함.

  - Marintrea사는 하이드로 포밍 외에도 제품 무게 감소를 위해 Hot Stamping과 같은 새로운 메탈 포밍 기술도 제품 생산에 사용함.

     

□ 시사점

     

 ○ 관련 전문성 갖춘 적합한 Tier 1 기업 공략 필요

  - 다방면에서 전문성을 갖춘 것으로 판단되는 Magna International사이지만 전기차나 하이브리드 관련 기술에 대한 투자를 최우선적으로 실행하는 만큼, 한국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배터리나 컨버터와 같은 관련 기술 보유 업체와의 파트너쉽이나 부품 공급 계약체결 유망 예상

  - Linamar사는 하이브리드나 전기차 기술보다는 고효율 내연 엔진 기관 (Internal Combustion Engine) 개발에 초점을 맞춤에 따라 이와 관련한 한국 엔진 컴포넌트 업체들의 진출 유망할 것으로 전망

  - 한국 주조 및 금형물 제조업체는 Martinrea사와의 접촉 권장

     

 ○ 한국 기업, 파워트레인 관련 부품 및 시스템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 컨설팅 회사인 Automotive Compass사의 Bill Pochiluk 사장에 따르면, 미국과 캐나다 정부의 강화되는 배기가스 배출기준 충족을 위해 완성차 OEM과 Tier 1 자동차 부품 기업들의 차량 무게 감소 및 추진 시스템 개발 노력은 지속될 것이라고 전함.

  - 그는 공급 부문에서 캐나다 자동차 부품 기업들이 할 수 있는 최대 노력은 파워트레인 관련 모듈 및 시스템 개발이라고 언급

  - 그러므로 한국 Tier 2, 3 자동차 부품 기업들은 캐나다 Tier 1 자동차 부품기업들의 더 효율적인 파워트레인 모듈 생산을 위한 관련 컴포넌트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 것임.

 

 ○ Magna사를 비롯한 캐나다 주요 부품 기업과의 거래를 원하는 한국 기업은 KOTRA 본사의 지사화 사업이나 무역사절단 신청을 통해 현재 다수의 자동차 부품 기업과 유대 관계를 맺는 KOTRA 토론토 KBC 접촉을 권함. 지사화사업 및 무역사절단 관련 정보는 KOTRA 본사 웹사이트 (www.kotra.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음.

 

 

자료원 : Magna International, Linamar Corp, Martinrea사 웹사이트, Globe and Mail, Bloomberg News, Google Finance,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기타 KOTRA 토론토 KBC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산업기술] 캐나다, 그린 자동차 부품이 살길이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