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금융비용 상승, 美 경기회복 발목잡을까 우려
  • 경제·무역
  • 미국
  • 워싱턴DC무역관 이정선
  • 2009-05-31
  • 출처 : KOTRA

 

금융비용 상승, 美 경기회복 발목 잡을까 우려

-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 모기지 이자율 인상 일제히 상승 -

     

 

     

□ 금융비용 상승, 경기회복에 부담 우려

     

 o 올해 들어 10년 만기 T-Notes 수익률이 1.5% 인상됨에 따라, 이자 상환에 대한 정부 재정 부담 증가 및 재정적자 확대에 대한 우려가 증폭

  - T-Notes 수익률은 벤치마크 금리로 활용됨에 따라 여타 이자율도 동반상승해 제반 금융 비용이  상승하게 될 가능성

     

 o 아울러, 지난 주 4.875%에 불과했던 모기지 이자율이 금주 5.5%로 급등함에 따라 빠른 회복세를 보이던 주택시장도 주춤

  - 민간소비 진작이 가능한 리파이낸싱(여유자금 확보)도 어려워짐. 모기지 이자율이 5%일 경우 적어도 0.4% 이상의 리파이낸싱이 가능한 모기지 비율이 90%이나, 5.5%로 인상될 경우에는 리파이낸싱 가능 모기지 비율이 50%로 급감

 

□ 일각에서는 경기회복세로 인해 투자가들이 미 국채 등 안전 투자자산에서 더 고수익이 기대되는 투자로 옮겨감에 따른 자연스런 현상으로 평가

 

 o 그러나, 경제회복을 위해서는 미 국채 매입 강화 등을 통해 Fed의 이자율 안정화 조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 주류

 

 o 다만, Fed가 모기지 담보 채권(MBS; Mortgage Backed Securities) 및 미 국채 매입을 확대할 경우 시중에 통화가 증가, 인플레 가능성이 높아져 투자가들이 오히려 미 국채에 대해 더 높은 수익률을 요구하는 역효과도 고려할 필요

 

□ 시사점 : 재정적자 확대 우려 재조명

 

 o 재정적자 확대로 인한 인플레 가능성이 제고됨에 따라 국채 수익률도 이에 상응할 수 있도록 요구하는 투자가 요구 강화

  - 최대 채권 운용 펀드 매니저인 Bill Gross(캘리포니아주 소재 Pacific Investment Management Co.)는 현재까지 실물경제로 투입된 자금 규모를 감안시 3년 이내 인플레율이 3~4%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 이는 Fed가 유지코자 하는 1.7~2.0% 범위를 넘어선 수준

     

 o 1990년대 클린턴 행정부 시절, 재정적자 확대로 인한 인플레를 우려한 투자가들(일명 bond vigilante로 불림. 1984년 만들어진 용어로 인플레를 조장한다고 판단되는 통화정책이나 재정정책에 채권을 매도함으로써 항의하는 투자가들을 지칭) 움직임과 닮아 있어 우려

  - 일반적으로 채권 시장은 경기 침체기에 강세를 보이나, 최근 경기부양책이나 오바마 대통령이 제시한 지출법안 등을 감안시 올해에만 재정적자 규모가 기존 기록의 4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채권 시장이 약세 국면으로 반전

   ※골드만삭스는 미 정부가 올해에만 3.25조 달러의 자금을 빌려야 할 것으로 예측, 아울러 2010년 말까지 미 정부 부채 규모가 GDP의 83%에 달해 현 수준의 2배에 달할 것으로 내다봄.

 

  - 클린턴 행정부 시절에는 결과적으로 경기부양책 추진은 무마되고 재정적자 완화에 올인토록 정책 우선순위가 변동된 바 있음.

   ※클린턴 대통령이 당선된 지 약 1년 후인 1993년 10월 10년 미 국채(T-Notes) 수익률은 5.2%였으나, 1994년 11월에는 8% 이상으로 급등

 

    

자료원 : Wall Street Journal

 

 o 오바마 행정부에서는 재정적자 완화에 대한 약속(commitment)을 재천명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근거가 장밋빛 기대 일색이라는 우려

  - 오바마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는 2012년까지 재정적자 수준을 기존의 1/2로 줄이겠다고 공언했으나, 이에 대한 근거가 2010년 GDP 3.2% 성장, 2009년 실업률 8.1%인 바, 현실과 괴리감이 있다는 지적(지난 4월 실업률은 8.9% 기록)

 

 

자료원 : Wall Street Journal, Bloomberg, Reuters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금융비용 상승, 美 경기회복 발목잡을까 우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