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사우디 의약품시장 진출해볼 만
  • 트렌드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이관석
  • 2009-11-30
  • 출처 : KOTRA

 

사우디 의약품시장 진출해볼 만

- 26억 달러 규모, 최근 인도·중국 업체들 대거 유입 시도 -

- 로컬산업 장려정책으로 현지 합작투자 진출도 효율적 진출 방법 –

 

 

 

□ 의약품시장 여건

 

 ○ 중동 내 최대규모이자 성장 잠재력도 큰 시장

  - 조사전문기관 BMI 자료에 따르면 2008년 사우디아라비아 의약품시장 규모는 26억 달러로 추정

  - 이는 아랍권 국가 중 최대규모이며, GCC국가 전체 판매액의 65%를 차지

  - 급속한 인구증가 및 보건분야 수요 확대전망에 따라 향후 5년간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 오는 2013년에는 35억 달러로 시장규모 급속 팽창 전망

  - 최근 조성 중인 4대 신도시 건설도 새로운 인구 유입 및 의약품시장 구매력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

 

 ○ 선진국 특허의약품 시장규모가 전체의 83% 차지

  - 전체 26억 달러 시장 중 일반의약품 시장규모는 약 6.5%인 1억7000만 달러인데 반해, 주로 선진국 제품인 특허의약품 시장규모는 약 83%로 전체 시장의 주류를 형성함.

  - 처방전 없이 팔 수 있는 일반의약품(OTC)시장도 3억 달러 이상의 규모로 전체의 12.3%를 차지

 

사우디아라비아 의약품 시장규모(소비량)

       (단위 : US$ 백만)

연도

2006

2007

2008e

2009f

2010f

2011f

2012f

2013f

시장규모

2,133

2,592

2,650

2,771

2,934

3,115

3,312

3,490

주 : e/f - 추정/전망

자료원 : BMI

 

자료원 : BMI 및 국내 제조사

 

 ○ 국내 생산 장려정책으로 자체생산 활발

  - 사우디아라비아는 9개 회사의 27개 공장에서 의약품을 생산하고 있으나 대부분은 일반의약품(generic drug)을 생산하며, 고급 특허의약품은 수입에 의존함.   

  - 그러나 사무실 무상 임차, 생산 보조금 지급, 로컬제품 우선구매 등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로컬산업 장려정책으로 현지합작 등을 통한 로컬제품의 시장규모 비중이 점차 확대되는 양상

  - 그럼에도 수입제품은 전체시장의 약 85%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수입의존도는 여전함.

  - 이는 사우디아라비아 의약품 소비자뿐만 아니라 의사, 약사 등 수요계층이 다른 상품에 비해서 가격보다는 브랜드 인지도(약효가 높다고 인식)를 중시하고, 따라서 미국, 유럽 등 선진국 특허제품 선호경향으로 인해 수입품 비중이 매우 높은 실정

  - 주요 국내 제약회사로는 Saudi Pharmaceutical Industries and Medical Appliances Corporation(Spimaco), Tabuk, Al-Jazeera, Dar Al-Dawa와 Riyad Pharma 등이 있는데, 이 중 Spimaco가 가장 큰 제약회사이며 다국적 기업으로 GlaxoSmithKline(GSK), Pfizer, Sankyo and Yamanouch 등이 의약품을 생산함.

 

□ 사우디아라비아 의약품시장 진출을 위한 특기사항

 

 ○ 의약품 사전등록 필수, 그러나 등록에 장기간 소요

  - 사우디아라비아에 유통되는 모든 의약품은 사우디아라비아 보건부에 사전등록이 필수적임.

  - 등록기간은 1999년 이전에는 평균 20개월 소요됐으나 최근 개선돼 6~18개월 소요

  - 등록 유효기간은 5년으로 5년 경과 후 갱신 필요

  - 연평균 200~300개의 신규의약품이 등록

 

 ○ 보건부의 의약품 등록심사 까다로워

  - 등록신청 전 해당국 주재 사우디아라비아 대사관에서 확인을 거친 제품인증서가 있어야 함.

  - 보건부의 신제품 등록심사는 미국 FDA의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가이드라인에 따라 실시하는데, US FDA나 EU의 승인을 얻은 경우도 심사를 실시해, 많은 외국기업의 불만이 제기되고 있음.

  - 등록심사기간이 등록소요기간의 약 절반을 차지함.

  - 제품에 대한 표준은 사우디아라비아표준기구(SASO)의 기준에 따름.

  - 샘플분석 및 테스트 등 등록심사에 통과한 경우 등록허가(라이선스)를 부여함.

  - 또한 사우디아라비아에 출시하는 외국의약품은 미국, 영국과 같은 선진국에 이미 진출한 제품이어야 하며, 동일 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일 것을 요구해 신제품의 시장진출에 걸림돌

  - 신제품 등록비용은 제품당 200리얄(54달러)로 저렴한 편이나, 의약품 수입업체 등록의 경우는 1000리얄(268달러)의 수수료를 납부해야 함.

 

 ○ 정부의 가격통제시스템, 진출 최대 장애요인

  - 의약품은 보건부의 판매가격 승인을 얻은 후에만 판매가 가능해 시장진출 최대 장애요인으로 작용

  - 보건부의 의약품 판매가격 결정 시 원산지에서의 의약품 가격, 다른 시장에서의 최저 상품가격 등을 참고하는데 통상적으로 원산지국가 제조업체의 도·소매가격, 사우디아라비아 수출가격(CIF), 다른 30개국의 수출가격(CIF)을 고려해 결정하되, 통상 가장 낮은 가격으로 결정됨.

  - 추후 가격인상의 경우에도 보건부의 승인이 필요하며, 이는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 의약품시장에 모두 적용됨.

 

 ○ GCC(걸프협력회의) 국가에 특혜 부여

  - GCC 국가(사우디아라비아, UAE,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바레인)에 대해서는 특혜가 주어지는데, GCC국가에서 생산된 제품은 사우디아라비아로 수출 시 등록이나 라이선스를 요구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공공의약품 구매시장에서 특혜를 부여

  - 또한 선진국에 유통돼 검증된 제품만 유통을 허가하는 외국제품의 시장진출조건도 GCC 제품에는 예외 적용

  - 2005년 7월 GCC는 각 회원국(사우디아라비아, UAE,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바레인)의 민간의약품시장에서 통일가격을 위한 메커니즘을 도입키로 결정했으나, 시행에는 다소 시간이 필요

  - 외국업체가 사우디아라비아 보건부로부터 승인된 제품을 생산하더라도 도매 및 소매분야 직접진출은 개방하지 않으나 GCC국가에는 이를 개방함.

 

□ 시사점 및 진출방안

 

 ○ 사우디아라비아 의약품시장 성장 잠재력 재인식

  - 사우디아라비아 의약품시장은 여러 가지 제약요인에도 불구하고 중동 내 가장 큰 시장규모일 뿐 아니라 향후에도 무서운 속도의 인구증가 및 정부의 고용인력 의무 보험제 시행 등으로 성장 잠재력이 풍부한 시장임. 이로 인해 이 같은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

 

 ○ 장기적 관점에서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노크 필요

  - 등록심사과정의 장기화, 정부의 가격통제에 따른 수익성제고 악화 등 장애요인이 많으나, 장기적 포석 하에 꾸준한 진출노력 필요

 

 ○ 신제품보다는 미국 및 유럽시장에 이미 진출한 품목위주로 시장진출

  - 소비자의 특성이 가격보다는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제품을 선호하고, 정부의 등록심사과정에서도 미국, 유럽 등 선진국시장에서 검증된 제품만 통과되므로 신제품보다는 선진국시장에 이미 진출한 제품위주로 시장진출 필요

 

 ○ 인도, 중국 등의 진출 분위기에 편승, 우리 업체들의 적극적인 진출 시도 노력 필요

  - 의약품시장은 보호장벽이 높은 선진국 업체들의 성역으로 간주됐으나 최근 들어 인도와 중국업체들이 적극적인 진출을 시도하고 있음. 우리도 이 같은 분위기에 편승, 동일 시점에서 현지진출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진출노력 필요

   

 ○ 현지 로컬업체와 합작을 통한 진출이 가장 효율적인 진출방법

  -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로컬산업 장려차원에서 사무실의 무상 임대, 생산 보조금 지급 등 각종 인센티브 등을 제공하며 외국업체들의 사우디아라비아 내 투자 시 합작투자를 장려하는 실정

  - 특히 현지생산의 경우 제품허가 및 등록이 훨씬 용이하고 인근 GCC시장으로도 손쉽게 진출이 가능한 여건이므로 현지 적정 파트너를 발굴, 합작생산을 하는 것도 주요 진출전략이 될 수 있음.

  - 실질적으로 인도와 중국업체들은 현지에 합작투자를 추진 중

  - 현 국왕의 지역 균형발전 일환으로 4대 신도시를 추진하고 있는데, 이러한 신도시를 생산기반으로 진출하는 전략도 시도해볼 만한 전략으로 분석됨.

 

 

자료원 : BMI, 로컬업체, KOTRA 리야드KBC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사우디 의약품시장 진출해볼 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