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신성장정책] 사우디, 신성장산업 시장진출 전망 밝아
  • 트렌드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이관석
  • 2009-07-27
  • 출처 : KOTRA

 

사우디, 신성장산업 시장진출 전망 밝아

- 탈석유화학산업화위한 핵심산업으로 정부 육성의지 강해 -

- 교육, 의료·보건, IT, 수처리 등 진출분야 다양 -

 

 

 

1.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신 성장산업 육성전략

 

□ 신 성장산업 육성 배경

 

 ○ 수출의 90%, GDP의 50%를 차지할 정도로 절대적인 석유 의존적 산업구조 탈피 필요

 

 ○ 지난 70년대 제1차 오일붐 당시 오일머니의 생산적 활용 실패에 따른 80년대 저유가 시련기를 거울삼아 2000년대 들어 높은 오일 수익고를 산업의 다변화에 전략적으로 활용코자 하는 필요성 인식

 

70년대(1차 오일붐)

 

80~90년대(저유가)

 

21세기(2차 오일붐 )

 

 

 

 

 

 정부지출 확대

 - 왕정유지 위한 국민 복지후생지출 확대

 - 소모성 지출 증대

 - 군사비 지원 확대

 산발적, 비계획적 투자

 

ㅇ 석유 수입감소, 시련기

 - 재정지출부담 증가

 - 공공부채 증가

ㅇ 국민근로의욕 저하 및 실업문제 야기

ㅇ 국가성장동력 기반 취약

 

ㅇ 오일머니 활용도 변화

 - 유가하락, 석유고갈 대비 성장기반 투자

ㅇ 미래 대비 탈석유화

 - 산업구조의 다변화

 - 인재양성, 고용창출

 

□ 신성장산업 육성 전략적 방향 및 전략

 

 ○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미래성장동력 확보 및 장기적 경제발전전략을 꾀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5대 분야로 산업다변화 전략 추진

 

구분

추진분야

사회인프라 확충

신도시, 도로, 항만, 고속철, 공항, 전력, 담수

공업발전(제조업 육성)

정유, 석유화학, 철강, 알루미늄, 플라스틱, 금속가공, 식품가공, 산업클러스터

금융·의료·관광 산업육성

금융센터, 의료시설 확충, 리조트 개발, 쇼핑몰

정보통신산업 육성

U-City 건설, IBS, 통신망 개선, 전자정부 구현

인적자원 개발

교육투자 확대, 외국대학 유치, 교육시설 개선

 

 ○ 특히 신 성장산업 발전의 근간으로 IT산업 핵심산업 중 하나로 선정해 2005년 국가적 차원의 IT산업 발전 20년 중장기계획(National Information Technology Plan : NITP)을 마련, 추진 중

 

 ○ 이와 함께 교육 및 보건 분야에도 집중투자해 미래를 위한 인재양성은 물론 건강한 자국민을 만들기 위해 프로젝트 가동

  - 2009년 정부예산 중 교육부 예산이 최대

 

2. 분야별 산업현황 및 진출전략

 

1) IT산업

 

□ IT산업 개요

 

 ○ 사우디아라비아 IT시장은 중동지역 내 최대 규모로 2008년 기준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15% 증가한 약 34억 달러로 추정되며, 이 중 하드웨어 18억 달러, 서비스 10억 달러, 소프트웨어 6억 달러로 추정

 

 ○ 2003년부터 고유가에 따른 풍부한 오일머니 유입으로 IT부문이 매년 두자릿수 성장을 보이며,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IT산업을 경제발전을 위한 핵심산업 중 하나로 선정해 국가차원의 IT산업 발전 중장기계획(National Information Technology Plan : NITP)을 수립, 추진 중

  - NITP는 IT산업, 전자상거래·통신 산업 발전을 통한 국가경제 발전을 위해 20년 장기계획으로 수립됐으며, 1단계 5개년 중기계획은 2001~05년 완료돼 국가 IT산업 발전전략의 근간을 수립했음.

 

사우디아라비아 IT시장 규모 및 전망

                                                                                                                 (단위 : US$ 백만, %)

구분

2006

2007

2008e

2009f

2010f

하드웨어

1,452

1,624

1,848

1,967

2,085

- 증감률

-

11.8

13.8

6.4

6.0

서비스

742

849

987

1,029

1,061

-  증감률

-

14.4

16.2

4.2

3.1

소프트웨어

426

489

570

614

654

- 증감률

-

14.8

16.6

7.7

6.5

IT 전체(증감률)

2,620(-)

2,961(13.0)

3,405(15.0)

3,610(6.0)

3,790(5.0)

자료원 : BMI(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 ITU, Gatner

 

□ 전자정부(e-government)

 

 ○ 추진개요

  - 사우디아라비아의 전자정부프로그램(e-Government Progam)은 국가 IT산업 발전 중장기계획(NITP)의 이행을 위한 프로젝트 중 하나로 2001년도 5개년 계획으로 기본계획이 수립됐고 2005년 공식 수행 프로그램인 'Yesser'가 도입되면서 본격화됨.

  - 전자정부의 기본개념은 모든 정보 및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통합, 정부 간(G2G), 정부와 고객 간(G2C), 정부와 비즈니스 간(G2B) 공유채널을 시스템화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임.

 

 ○ 추진 현황

  - NCITP는 전자정부 Yesser 프로그램 추진과제를 포함해 총 7개 섹터에 62개의 이행대상 정책 과제, 98개의 관련 대상 프로젝트 등을 명시함.

  - 이 중 전자정부(Yesser 프로그램)와 관련된 프로젝트들도 명시하는데 대부분 전자정부 관련 프로젝트들은 2005년 말경 발주가 이뤄져 해당 프로젝트들이 현재 완료되거나 여전히 추진 중임.

  - 그러나 전자정부 프로그램은 파일럿 프로젝트 실행 이후 구체적인 후속 프로젝트의 지속적인 발주가 예상되고 있고 의료 및 교육 등 다른 분야로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어 시장규모는 지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특히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정부 각 부처의 온라인화는 33% 수준에 머물고 있는데 이를 2010년까지 100%로 온라인화한다는 목표 하에 2008년부터 약 8억 달러의 예산을 배정함.

 

주요 추진 전자정부 프로젝트 현황

프로젝트명

주요내용

무역부문 전자데이터

교환시스템(SaduiEDI)

구축

ㅇ 발주처 : 재무부, 공공투자기금

ㅇ 프로젝트 형태 : 인프라스트럭처

ㅇ 내용

 - 공공투자자금의 투명성 및 효율성 확보를 위한 EDI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 세관, 항구 등 수출·입 관련 정부기관 간 수출·입 과정상 주요문서 교환 등을 EDI화하는 것이 골자임. 현재 시스템 가동 중

성지순례(Omrah)

프로젝트

ㅇ 발주처 : 성지순례(하지)부(Ministry of Hajj)

ㅇ 프로젝트 형태 : 전자서비스

ㅇ 내용

 - 성지순례(Omrah) 전자비자 발급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 인터넷으로 신청, 24시간 내 발급하며 현재 시스템 가동 중

스마트카드 프로젝트

ㅇ 발주처 : 내무부

ㅇ 프로젝트 형태 : 전자서비스

ㅇ 내용

 - 전자카드(Smart card)시스템 구축프로젝트

 - 개인 ID카드, 운전면허증, 가족카드 등 정부 발행 모든 카드를 스마트카드로 대체

 - 향후 스마트카드는 교통카드, 개인신분증, 병원기록카드까지 하나로 통합해 사용할 수 있도록 추진 예정

국가정보센터

서비스포털 구축

프로젝트

ㅇ 발주처 : 내무부 국가정보센터(NIC)

ㅇ 프로젝트 형태 : 전자서비스

ㅇ 내용

 - 국가안내정보시스템 구축프로젝트로 20여 가지 정보서비스 제공

Almadinah

Almunawwarah

주정부 전자정부

프로젝트

ㅇ 발주처 : Almadinah Almunawwarah 주정부

ㅇ 프로젝트 형태 : 전자서비스

ㅇ 내용

 - Almadinah Almunawwarah주 관내 개인 및 비즈니스 부문 지원프로젝트

 - www.almadinah.gov.sa에서 아랍어 서비스 중

전자지불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SADAD : E-Payment

Systems Projects)

ㅇ 발주처 : 사우디아라비아통화국(Saudi Arabian Monetary Agency : SAMA)

ㅇ 프로젝트 형태 : 전자서비스

ㅇ 내용

 - G2B &B2B 거래상 전자지불시스템으로 시스템명은 ‘SADAD'임.

 - 프로젝트는 2006년 종료, 전자정부 및 전자무역 추진의 근간으로 평가

사회보험관리정보

시스템(Social Insuran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SIMIS)

ㅇ 발주처 : 사회보험청(The General Organization of Social Insurance : GOSI)

ㅇ 프로젝트 형태 : 인프라스터럭처

ㅇ 내용

 - 사회보험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정보를 안내하는 시스템

 - 각 정부기관이 이 시스템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고 있음.

전자인증시스템

(PKI) 구축

ㅇ 발주처 : KACST

  - 현재 관리조직을 e-Government program 추진기구로 이관(정통부, 재무부, 정보통신위원회)

ㅇ 프로젝트 형태 : 전자서비스

ㅇ 내용

  - 전자문서 교환의 보안강화를 위한 전자인증(PKI : Public Key Infrastructure)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자료원 : NCITP를 토대로 자체 조사

 

 ○ 우리업체 진출전략

  - 사우디아라비아 전자정부프로그램에 따라 2005년 말경 대부분의 계획프로젝트는 발주가 완료돼 사업이 완료됐거나 진행 중임.

  - 그러나 전자정부 프로그램에 의한 프로젝트 구축은 한국 등에 비해 초기단계라 할 수 있으며, 향후 각 정부기관과 산하기관 및 지방정부 등에서 광범위하게 프로젝트가 진행될 전망임. 성과에 따라 범위는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

  - 주요 유망분야는 단일화된 전체 통합 Smart 카드시스템, 통합된 전자 메디컬 파일 관리시스템, e-의약 처방시스템, 디지털 중앙도서관시스템 및 National e-learing center 건립운영 프로젝트, 정부공공부문 의약품 및 의료기기 조달구매시스템, 법무부 서류유출 방지 RFID시스템, 우체국 및 물류 화물추적 관리시스템 등임.

 

□ U-city

 

 ○ 추진현황

  - 민간개발 형식의 4대 신도시 개발 추진 중

  -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에서는 신도시에 계획적으로 Smart city 및 U-city 등에 새로운 기술을 적용, 이를 점차 사우디아라비아 기존 도시에 적용시켜 간다는 복안이 있음.

 

추진 중인 4대 신도시 현황

                                                                                                    (단위 : ㎢, US$ 억)

위치/경제신도시명

도시규모

투자금액

사업기간

도시특징

라비그/

King Abdullah

Economic City(KAEC)

168

500

2007~30

항만·공업·금융·거주·교육단지를 갖춘

에너지 물류중심의 경제신도시로

사우디아라비아 최대 민간프로젝트

하일/

Prince Abdulaziz

Bin Musaid Economic City(PABMEC)

156

80

2006~16

중북부 지방의 물류중심도시로 농업·

건설 자재 및 광물개발산업 육성계획

메디나/

Knowledge

Economic City(KEC)

4.8

80

2008~12

이슬람 기반의 IT 및 지식기반 도시 건설

지잔/Jizan

Economic City(JEC)

110

300

2006~37

에너지 및 노동력 기반산업 중심의

서남부 중심도시

타북/Tabuk

Economic City(TEC)

161

300

~2020

서북부지역의 중심도시, 교육, 문화,

관광, 비즈니스 중심

자료원 : SAGIA

 

 ○ 진출 전략

  - U-city는 투자가 요망되는 분야인 관계로 투자가능 국내 SI업체와 관련 기자재 및 SW 공급업체들이 동반 진출하는 전략이 필요

  - 미투자 시 개발업자 및 contractor, SAGIA 등을 통한 직접적인 마케팅 활동 필요

  - 유망분야 : 광역 블록단위의 보안 Networking 시스템, BMS 시스템, BEMS(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 지문인식 보안시스템, 원격조정 LED시스템, FTTH 등 통신 케이블, e-learning system, Data 센터 설치 및 공급 등

 

□ 전자상거래

 

 ○ 추진현황

  - 2000년 1월 e-commerce 마켓을 육성하기 위해 상공부 산하에 정보통신기술위원회(CITC)가 설립된 이후 ARAMCO 등 주요 기업들이 B2B, B2C 형태로 활용하기 시작

  - 2005년 이후 인터넷과 모바일폰의 급속 보급으로 e-commerce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Arab Advisor Group 조사에 따르면 ‘07년 말 PC 및 Mobile을 통한 e-commerce 구매실적은 32억 달러 수준)

  - 2008년 1월 Arab Advisor Group이 인터넷 사용자 1900명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 결과 40%가 2007년 중 인터넷을 통해 물건을 구매했음을 시사

  - Pyramid Research사에 따르면 2008년 사우디아라비아 광통신망 인터넷 이용자 수는 118만 명으로 2007년 대비 2배 이상 급증. 향후 전자상거래시장도 폭발적인 신장세 전망

 

 ○ 진출유망분야 : 상거래 보안시스템, e-pay 시스템 및 e-paper, 상거래시스템 디자인 및 경험 노하우 등

  - 보안시스템만 갖춰질 경우 급속 신장 전망

 

2) 그린에너지

 

□ 신재생에너지(태양광 및 태양열)

 

 ○ 추진 현황

  - 사우디아라비아는 세계 최대 오일생산 및 공급국인 관계로 대체에너지 개발에 소극적인 입장이긴 하나 향후 원유고갈에 대비하기 위해 최소한 R &D 차원에서의 대체에너지 개발활동은 하고 있음.

  - KAUST대학 내 연구용 목적으로 1MW 용량의 태양광발전소를 건설 중

  - 또한 국책연구소인 KACST에서는 태양열을 이용해 사우디아라비아 산골마을에 전기를 공급하는 프로젝트를 시험 운영 중

  - ARAMCO에서는 일본계 정유업체인 Showa Shell과 태양광발전소를 Pilot 사업으로 추진키로 계약, 향후 5년간 20억 달러를 투자해 약 10MW 수준의 태양광발전소 건립 예정

 

 ○ 진출전략

  - 사우디아라비아는 태양광 발전의 기본소재가 되는 규소가 풍부하고 연중 태양빛이 강해 투자유치 중점품목으로 기존 5대 산업 클러스터 외에 태양광 및 태양열·광 분야를 신규로 추가

  - 태양광은 사우디아라비아 내 전도유망한 분야로 자체 투자는 물론 향후 투자진출업체들을 대상으로 기자재를 납품하는 전략이 필요

 

□ 원자력 발전소

 

 ○ 추진 현황

  - 원유고갈에 대비한 발전 전력 소스의 다양화를 위해 GCC 공동명의의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한 사전 타당성조사 F/S프로젝트 추진 중

  - 사이트 선정 등 총 7개 항목에서 F/S 입찰이 진행 중이며, 한국에서도 참여 중

 

 ○ 진출전략

  - F/S사업 사전 참여 및 인맥 구축을 통해 향후 원자력 건설 EPC 프로젝트 참가 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음.

  - F/S사업 입찰결과는 최종 9월 발표 예정

 

 ○ 진출사례

  - 원자력발전소 건설 사전 F/S사업 7개 항목 입찰에 KOTRA 지원 하 KOPEC, 원자력연구소 등 4개 기관 참여 중(9월 업체 선정 발표 예정)

 

3) 교육

 

 ○ 추진 현황

  - 고등교육부에서는 2010년부터 e-campus 프로젝트 추진

  - 교육부에서는 2008년부터 향후 5년간 총 31억 달러를 투입, 초·중고 시설 현대화를 위한 '압둘라 국왕 교육 개혁프로젝트' 추진(교육환경 개선 - 11억 달러, 추가 여가 커리큘럼 활동 - 10억 달러, 교사 훈련 및 양성 - 8억 달러 등, 커리큘럼프로그램 개발 - 2700만 달러 등)

  - 킹 압둘라 국왕의 인재육성정책에 의거, 2004~07년 100개 종합대학 및 단과대학 건립에 이어 2008~12년 총 37개의 종합대학과 단과대학 증축, 신규건설 프로젝트 발주 및 신규발주 예정

  - 최근 건설 중인 주요 메가톤급 대학교 현황

 

대학

Facilities

프로젝트 규모

Remarks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

(KAUST)

21개 연구용 빌딩, 7개 civic 빌딩,

골프클럽, 해양연구소, 클리닉 빌딩 등

30억 달러,

3,600만 s/m

2012년 완공

King Saud 대학(여성용 캠퍼스  남성용 주거빌딩 등)

medical, pharmaceutical and

nursing faculties 등

66억 달러,

140만 s/m

2011년 완공

King Khaled University

4개 medical colleges, 4 buildings, 800beds teaching hospital 등

8억 달러

2012년 완공

Princess Nora 여자대학교

세계 최대 규모 여자대학. 4만 명 수용. 700bed 병원, 13개 faculties, 도서관,

교내 모노레일 건설 등

50억 달러,

800만 s/m

2012년 완공

 

 ○ 진출전략

  - 대학건설의 경우 현지 로컬업체와의 합작을 통한 진출이 바람직

  - 대규모 대학건립으로 조달 물량이 풍부한 기자재분야에 집중

  - 유망진출 분야

   · 신설대학에 필요한 실험기자재, 전자교탁, 디지털 도서관 전산시스템, 빔프로젝터, e-learning 시스템, 출입문 통제시스템 및 e-출결관리시스템, 강의용 무선마이크시스템(Binary CDMA), 소방 및 보안장비 시스템, 각종 통신장비 등 진출가능

   · '압둘라 국왕 교육 개혁프로젝트-Smart School 프로젝트'를 위한 Smart School System, 도서관 전산화시스템, e-learning solution, 각종 교육장비

 

4) 의료

 

 ○ 추진 현황

  - ‘07년 기준 사우디아라비아는 379개(256개 정부병원, 123개 민간병원) 병원을 보유 운영 중

  -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인구가 2013년까지 현 2400만 명에서 2760만 명으로 늘 것으로 예측, 2008년 중 24개 신규 병원을 포함해 2012년까지 총 46개의 중·대형 병원을 추가 설립할 방침

  - 지나친 의료부담 가중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기본 방침은 현재 정부병원은 점차 민영화하고 신규 건립병원은 민간병원 위주로 건립한다는 전략

  - 정부는 종합 입찰 구매를 통한 비용절감을 위해 'National C. for United Purchase of Medicines and medical Appliances'사를 설립, ‘09년 3억 달러를 배정해 시험 운영

  - 사우디아라비아 의료시장은 ‘08년 기준 167억 달러 수준으로 폭발적인 신장추세(최근 고용인들의 의료보험을 의무화하면서 급속성장)

 

사우디아라비아 의료시장 현황

구 분

2005

2006

2007

2008

2009f

의료비 지출(US$ 10억)

10.6

12.1

13.1

16.7

11.3

의료비 지출(% GDP)

3.35

3.4

3.42

3.44

3.5

1인당 의료비 지출(US$)

458

511

540

683

461

공공부문의료비 지출비중(%)

76.2

77.2

77.5

77.8

78.1

자료원 : World Health Organization, BMI

 

 ○ 진출전략

  - EPC가 가능한 프로젝트 위주로 접근

  - Client 및 Contractor를 대상으로 한 직접적인 SI 및 기자재 공급 마케팅활동 수행

  - 유망분야

   · Management분야 : 민영화 추진으로 인한 위탁경영, 양·한방 겸용 병원 운영, 한국형 재활병원 운영, 상설 및 이동 건강검진센터 기능의 패키지도 유망

   · SI분야 : 병원의료수가납품관리시스템, EMR(환자관리)시스템, OCS(처방전달)시스템, 원격진로(Tele-medicine)시스템, PACS(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 기자재분야 : 관절수술용 로봇, 무균 clean room 장비, X-ray, MRI, 혈당측정기, MRI, 주사현미경(고배율 전자현미경), 초음파진단기기, 임플란트세트, 개인용 휴대 기본세트 장비류 등

 

5) 환경(폐수처리)

 

 ○ 추진 현황

  - 최근 몇 년간 급격한 산업화와 연간 2.3%의 인구증가율로 인해 사우디아라비아는 심각한 물 부족 현상에 직면

  - 이로 인해 정부정책 기본방향은 담수설비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기존 폐수의 재처리, 수로관의 노후화로 인한 심각한 손실을 막기 위해 신규 워터 공급채널 확보 등에도 역점

  - 또한 기존 폐수처리장은 대부분 70년대 및 80년대 중반에 지어진 것들로 유입폐수용량 처리에는 역부족

  - 정부는 향후 폐수분야에만 20년간 약 200억 달러를 투입할 예정이며, 이 외에도 2008년 7월 수·전력부를 민영화해 물부문을 전담할 National Water Co.를 설립

  - National Water Co는 6월 말 현재 올해 내 신규로 30개 프로젝트에 10억 달러의 금액을 집행할 예정

 

 ○ 진출전략

  - 신생 National Water Co(현재 리야드, 젯다, 담맘, 알코바 지역 담당)에 Contractor 및 벤더 등록을 통한 프로젝트 참여 추진

  - 폐수 유입량에 비해 처리용량이 부족, 신규 건설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기존 하수처리장의 유입량 처리속도를 늘릴 수 있는 Solution 제공을 통해 개·보수 프로젝트 등에 참여

 

 ○ 진출 성공사례

  - 프로젝트명 : SAFWA 하수처리종말장 개보수 프로젝트

  - client : 수전력부 담맘지부

  - 수주업체명 : A사(리야드KBC 지사화 업체)

  - 수주일시 : 2009.4

  - 특기사항

   · Pilot Project로 성과 제고 시 리야드 전 지역의 개보수 프로젝트 참여기회 제공키로

   · 현재 담맘지역 일일 수처리 능력 16시간 시스템을 8시간으로 단축시키는 solution 프로젝트 제안을 받아 견적작업 진행 중

 

6) 금융(금융센터)

 

 ○ 추진 현황

  -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총 78억 달러를 투입, 리야드 남부지역에 대지면적 160만s/m, 건물면적 300만s/m의 'King Abdullah Financial District(킹 압둘라 금융지구)'를 건설 진행 중

  - 이 금융센터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증권거래소, 금융규제당국(CMA), 상품시장본부, 5000명 수용 금융아카데미, 5성호텔, 사무용 빌딩, 주거용 단지, 수로(water way), 공원, 쇼핑몰, 전시장 등이 들어설 예정

  - 단지 내 이동은 모노레일 및 sky bridge(하늘교)로 연결 이동

  - 최근 6월 초 GCC의 단일통화를 위한 중앙은행 설립장소가 리야드로 결정되면서 프로젝트가 더욱 탄력을 받기 시작

 

 ○ 진출전략

  - 올 10월 이후 발주예정인 2단계 프로젝트에 참여 진출 시도

   · 총 2단계로 구성된 78억 달러 프로젝트 중 1단계는 이미 발주가 됐고 증권거래소빌딩, 20개 오피스용 타워, CMA빌딩, Plaza 등 2단계 프로젝트들은 올 10월 이후 발주 예정

  - 장기적으로 GCC 단일통화권 탄생에 대비 풍부한 진출잠재력을 가진 SI분야에 진출 노력 경주

 

7) 건설 플랜트 서비스

 

 ○ 추진 현황

  - 건설 서비스분야는 부가가치가 높을 뿐 아니라 시장 영역 및 규모가 크고 부수적인 연관 산업효과도 높아 진축 가치가 큼.

  - 그러나 선진 진입업체들의 진입장벽이 높고 현지 로컬업체 수주장려정책(합작) 등으로 진출에 많은 장애물이 산재

 

 ○ 진출전략

  - 주요 유망분야 : 토목건축 PM/CM/PMC, 플랜트분야 O&M, 플랜트와 연계한 IT 융합 용역 컨설팅 등

  - 주요 전략

   · 충분한 Proven Record 실적 보유

   · 초기 선진국 업체의 하청수주를 통한 경험 축적

   · 현지 로컬업체와 project base의 컨소시엄 참여

   · 조기 시장정보 입수를 통한 발주처 방문 미팅 및 PR 실시

   · 제3국 엔지니어 인력 활용을 통한 가격 및 언어 경쟁력 제고 등

 

 ○ 우리업체의 건설 서비스시장 진출 실적

  - PM분야 : H사

   · 리야드 ITCC 프로젝트 건설 프로젝트 사업관리

   · 계약내역 : 리야드시내 총 공사비 1조2000억 원의 정보통신 복합단지 건설사업 중 사업관리부문

  - 플랜트 O &M 분야 : S사

   · 프로젝트명 : Rabigh IPP(락빅 1204MW 용량의 민자발전소)

   · Client : SEC, ACWA/한전 컨소시엄 developer

   · 수주금액 : 20년 운영조건에 약 3억5000만 달러

   · 계약일시 : 2009.2

  - IT융합 형태의 컨설팅분야 : K사

   · 프로젝트명 : 전기계량기 원격자동검침시스템 컨설팅

   · Client : SEC(전력청)

   · 수주금액 : US$ 125만

   · 수주일시 : 2009.6

   · 특기사항 : SEC는 올해 10만 호(예상입찰금액 1000만 달러)를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설치하고 향후 연차적으로 400만(예상입찰금액 4억 달러) 호까지 확대예정

   · PLC(power line communication)분야는 한국이 상당히 앞서 있는 분야이고 또 10만 호까지는 한전이 컨설팅을 맡은 관계로 우리업체의 수주가능성이 많은 프로젝트로 평가됨.

 

 

자료원 : 관련 분야별 바이어 및 유관인사 미팅 및 KOTRA 리야드KBC 자체 자료 종합 분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신성장정책] 사우디, 신성장산업 시장진출 전망 밝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