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자동차 배터리시장 동향 분석
  • 경제·무역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09-05-31
  • 출처 : KOTRA

 

중국 자동차 배터리시장 동향 분석

- HEV, BEV 등이 시장 주류로 부상됨에 따라 배터리제조사 인기 상승 -

 

 

 

□ 2008년 중국 리튬이온배터리 생산량 증가세 보임.

     

 ○ 2008년 세계 리튬건배터리 생산량은 35억 개에 달했고, 주요 생산국은 중국, 한국, 일본으로 이들은 상위 3위를 점유함.

  - 중국 리튬이온배터리산업은 방대한 수요시장에 힘입어 급성장세를 보였고, 2008년 리튬이온배터리 생산량은 15억 개로 전년 동기 대비 11.15% 증가함.

     

2008년 중국, 일본, 한국의 리튬이온배터리 생산량 세계 점유율

자료원 : 比特網, 리튬이온배터리보고서

 

 ○ 중국은 이미 세계 최대의 리튬이온배터리 제조기지로 부상했으며, 주로 광둥성(廣東省), 산둥성(山東省), 강소성(江蘇省), 절강성(浙江省), 천진시(天津市) 등의 지역에 집중됐음.

  - 이 중 광둥성 선전(深)시에 BYD(比亞迪), CBAK(比克), BK(邦凱), HYB(華寶) 등 중국 내 유명한 제조업체가 분포됨.

  - 천진빈하이신구에 리튬이온배터리 관련 기업이 입주됨에 따라 향후 천진시는 배터리 생산기지로 부상할 것임.

     

□ 대체에너지 자동차 배터리의 발전현황

     

 ○ 대체에너지 자동차는 향후 자동차시장의 발전방향으로 주로 HEV(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BEV(순전동 자동차), FCEV(연료배터리 탑재 자동차) 등이 포함됨.

 

 ○ 배터리, 모터와 에너지전환 제어시스템(control system)은 신에너지 자동차의 주요 부품이며, 특히 배터리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고 이윤창출요인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꼽힘.

  - 오는 2012년까지 중국 내 생산되는 에너지 절약 및 대체에너지 자동차는 전반 자동차 생산량의 약 10%를 차지할 것임.

 

 ○ 미국의 포드, 크라이슬러, 일본의 도요타(豊田), 미쓰비시, 닛산, 한국의 현대, 프랑스의 Courreges, Ventury 등 해외 유명 자동차 메어커는 동력배터리를 사용하는 전동자동차 개발에 주력했고 비야디, geely, 체리, 리판(力帆), 중싱(中興) 등 로컬 자동차 제조업체도 자체 개발한 자동차에 리튬이온배터리를 탑재함.

     

 ○ 중국 내 대체에너지 자동차 전지산업은 구미시장에 비해 늦게 발전했지만 정부의 부축 및 동력배터리에 대한 연구개발에 대량의 재력, 물력 투자에 힘입어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

  - 중국사회과학원 물리연구소(中科院物理究所), 베이징비철금속연구소(北京有色金屬究院), 중국전자과학기술그룹회사 제18번 연구소(中國電子科技集團公司第十八究所) 등의 연구소에서는 전동자동차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해 각각 EV와 HEV의 개발에 성공함.

 

□ 중국 내 주요 대체에너지 배터리 생산기업

 

 ○ 厦门钨业

  - 厦门鎢業는 전 세계 최대 텅스텐 및 몰리브덴(鎢鉬) 제품 생산기업으로 텅스텐정광()에서 텅스텐가공 완제품에 이르는 산업사슬을 보유하고 있음.

  - 이 회사는 텅스텐 및 탄화텅스텐 기술을 가지고 있어 세계의 경질합금 반가공품과 텅스텐 재료 제조기업 중 하나로 꼽혔고 세계 텅스텐 소비량의 25%를 공급하고 있음.

  - 이 회사는 향후 산화코발트리튬배터리분말(鈷酸電池粉料), 수소저장합금분말(儲合金粉)을 생산할 계획이며, 형광물질의 분말 및 인산철리튬(磷酸鐵粉料)을 개발할 예정임.

  - 이 회사는 지난 3년 동안 대체에너지 배터리원으로 각광받는 수소저장합금을 연구하고 있으며, 현재 이 회사는 수소저장합금 시장의 약 30%를 차지함.

     

 ○ 江

  - 리튬배터리시장이 점차 성장함에 따라 리튬이온 전해질용액의 수요도 급증할 것임.

  - 이 회사는 2002년부터 리튬배터리의 전해질을 생산했고 생산제품은 천여 종에 달하며, 품질은 국제적으로 손꼽히는 수준임.

  - 이 회사의 연간 생산량은 2000톤에 달하고, 이 중 리튬이온 전해질의 연간 생산능력은 5000톤에 달함. 이는 세계 22%를 점유. 올해 3000톤급 생산 공장을 추가 건설 예정임.

 

□ 중국 내 대체에너지 자동차 배터리 발전 걸림돌

 

 ○ 비싼 생산 원가

  -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가격은 자동차 1대 제조가격의 1/2에 달함. 아직 전동차 산업화의 성능과 원가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가격 및 성능면에서 경쟁력을 보유한 배터리가 출시되지 않았음.

     

 ○ 기술적인 문제

  - 배터리 충전시간이 길고 기후, 도로사정 및 주변 환경에 구애를 받음.(속도, 가속성, 충전량 등이 안정적이지 못함.)

  

 ○ 인프라시설 서비스 문제

  - 전기자동차 상업화의 인프라시설은 충전소, 차량수리서비스, 배터리 마케팅, 서비스 네트워크 등이 포함됨. 이들을 건설하려면 거액의 자본이 소요됨.

  - 한 개 도시 내에 열 개 혹은 몇 십개의 배터리 충전소를 설립해야만 택시, 자가용 등의 충전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음.

 

□ 시사점

     

 ○ 대체에너지 자동차는 신흥시장으로서 자동차시장이 저조기를 보이고 있음에도 미국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판매량은 여전히 상승세를 보임.

     

 ○ 中投顧問의 리성모우(李勝茂) 자동차산업 분석가에 의하면, 오는 2012년까지 대체에너지 자동차의 연간 생산량은 10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측함.

  - 연간 생산량이 100만 대에 달할 경우 중국 내 배터리 생산업체에 있어 생산액이 약 700억 위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 국제에너지망, 중터우(中投) 컨설팅 등 현지 종합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자동차 배터리시장 동향 분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