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나이지리아, 성장둔화 및 환율상승 심화
  • 경제·무역
  • 나이지리아
  • 라고스무역관 박영하
  • 2009-03-10
  • 출처 : KOTRA

 

나이지리아, 성장 둔화 및 환율 상승 심화

- 2009년 및 2010년 실질 GDP 증가율, 3.5% 및 4.8%로 하락 전망 -

 

 

 

비교적 견실한 경제 기초, 나이지리아 금융시장에서의 미미한 외국자본 비율(5% 미만) 및 선진국 금융기관과의 미미한 거래규모 등으로 그동안 글로벌 금융위기의 사각지대로 인식돼 왔던 나이지리아도 글로벌 금융위기가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확산되면서 국제유가의 하락세가 지속됨에 따라, 2008년 11월 말 이후 성장 둔화 및 환율 상승 심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 특히, 달러당 118나이라 대에서 안정세를 유지하던 나이라화 환율이 최근 들어 150나이라로 20% 가까이 상승하면서, 일부 외환 전문가들 사이에서 추가 상승 가능성도 거론됨에 따라, 향후 환율 추이를 주시하며 수입 오더를 전면 보류하는 바이어들이 증가하고 있음. 우리나라에도, 2009년 1월 중 대나이지리아 수출이 전년 동월대비 37.5%나 급감하는 등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KOTRA 라고스 KBC는 나이지리아의 최근 경제 동향 및 전망과 한-나이지리아 최근 교역 동향을 긴급 점검하는 한편, 대나이지리아 수출확대 전략을 우리나라 업계에 제시하고자 함.

 

1. 나이지리아의 최근 경제 동향 및 전망

 

나이지리아 경제 동향 및 전망 가설

구 분

2007

2008

2009

2010

실질 GDP 증가율(%)

- 세계

- OECD

- EU27

 

5.0

2.7

2.8

 

3.3

1.1

1.0

 

0.2

△1.9

△2.0

 

2.4

0.5

0.2

국제 상품가격

- 원유(브렌트, 달러/배럴)

- 금(달러/TROY OZ)

- 식음료(증감률, %)

- 산업용원자재(증감률, %)

 

72.7

696.7

30.9

11.2

 

97.0

872.0

29.1

△5.3

 

35.0

775.0

△26.6

△41.1

 

50.0

687.5

1.3

11.7

자료원 : Country Report, February 2009(Economist Intelligence Unit)

 

□ (경제성장) 2009년 및 2010년 실질 GDP 증가율, 3.5% 및 4.8%로 하락 전망

 

 ○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국제유가 급락, 나이저 델타지역 테러단체의 원유생산설비 및 파이프라인 무장공격 등 정정불안과 OPEC의 쿼터 감축(170만 배럴)에 따른 원유생산 감소가 주요 요인

 

 ○ 2006년 이후 나이지리아의 경제성장을 견인해 온 금융·통신·건설 및 도소매 등 비석유 부문도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성장세가 둔화되고, 금융시장의 신용경색에 따라 투자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

 

나이지리아의 경제성장 추이 및 전망

구 분

2006

2007

2008(추정)

2009(전망)

2010(전망)

실질 GDP 증가율(%)

6.0

6.2

6.8

3.5

4.8

명목 GDP(십억 달러)

125.8

141.7

179.7

118.1

143.6

자료원 : IMF, Economist Intelligence Unit, Central Bank of Nigeria

 

□ (물가) 2009년 및2010년 소비자물가 상승율, 11.0% 및 8.5%로 하락 전망

 

 ○ 식품 및 원료 가격 안정과 국제유가 급락 및 원유생산 감소에 따른 재정지출 및 민간소비 위축 등 인플레이션 안정화 요인에도 불구하고, 금융시장의 신용경색 및 유동성 고갈을 방지하기 위한 중앙은행의 느슨한 통화정책 기조와 주정부에 배당된 잉여 원유계정(Excess Crude Account) 지출 등의 영향으로 초과 유동성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

 

나이지리아의 물가상승률/대부이자율 추이 및 전망

구 분

2006

2007

2008(추정)

2009(전망)

2010(전망)

소비자물가 상승률(%)

8.2

5.4

11.5

11.0

8.5

대부 이자율(%)

16.9

16.9

16.0

15.8

15.0

자료원 : IMF, Economist Intelligence Unit, Central Bank of Nigeria

 

□ (대외부문) 나이라화 가치 약세 전환 및 경제의 대외 건전성 악화 전망

 

 ○ 나이라화 가치는 지난 2006년 이후 안정세를 유지해 왔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국제유가 급락 및 달러화 강세의 영향으로 2008년 11월 말 이후 20% 가량 하락

 

 ○ 국제유가 급락에 따른 원유 수출액 급감의 영향으로 경상수지가 2008년의 48억 달러(GDP의 2.7%) 흑자에서 2009년 및 2010년에는 174억 달러(GDP의 14.7%) 적자 및 112억 달러(GDP의 7.8%) 적자로 돌아서는 등 경제의 대외 건전성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

 

나이지리아의 대외부문 추이 및 전망

구 분

2006

2007

2008(추정)

2009(전망)

2010(전망)

대미 평균환율(N/달러)

128.7

125.8

119.3

145.4

145.0

무역수지(백만 달러)

28,031

23,013

31,397

△7,121

3,031

경상수지(백만 달러)

13,796

2,197

4,771

△17,408

△11,150

외환보유고(백만 달러)

42,299

51,334

59,686

45,583

39,290

대외부채(백만 달러)

7,693

7,783

8,268

7,738

8,820

자료원 : IMF, Economist Intelligence Unit, Central Bank of Nigeria

 

□ (경제정책) 시장지향적 경제개혁 및 개방정책과 SOC 확충 지속 추진

 

 ○ 야라두아 대통령, 전임 행정부의 시장 불간섭 및 민간주도 경제 성장을 골자로 하는 시장 지향적 경제 개혁 및 개방 정책 지속 추진 천명(2007년 7월, Financial Times 기자회견)

  - 신정부의 경제정책 기조는 전임 행정부의 국가 경제권한위임 개발전략(National Eocnomic Empowerment and Development Strategy : NEEDS)과 유사할 것임을 시사하며, 성과 점검을 통해 NEEDS-2를 수립할 계획임을 발표

 

☞ NEEDS : 빈곤퇴치, 국부창출, 고용창출 및 재교육확대 등을 주요 목표로 하는 일종의 중장기 경제개발 계획(2003~07년)

☞ 기본목표

 - Empowering People and Improving Social Service Delivery

 - Fostering Economic Growth, in particular in the Non-Oil Private Sector

 - Enhancing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ty of Government and Improving Governance

 

 ○ 야라두아 대통령은 또한, 민주주의(Democracy), 도덕통치(Good Governance), 자유로운 기업경영(Free Enterprise) 및 법치주의(Rule of Law) 등의 기본 원칙에 입각해 활기차고(Reinvigorated), 평화롭고(Peaceful), 안전하고(Secure), 안정된(Stable) 나이지리아 건설을 목표로 하는 7대 국정과제(Seven Point Agenda of Priorities in Terms of Reform)를 발표(2007년 10월)

 

☞ 7대 국정과제

 - 전력공급 개선(Improving the Electricity Supply)

 - 농업부문 육성(Boosting the Agricultural Sector)

 - 고용기회 확대(Increasing Employment Opportunities)

 - 수송체계 개선(Improving the Dilapidated Transport System)

 - 토지 소유권 개혁(Reforming Land Ownership)

 - 보안조치 강화(Strengthening Secutiry, especially in the Niger Delta)

 - 교육제도 개선(Improving the Education System)

 

□ (금융위기) 나이지리아, 글로벌 금융위기 특별위원회 설치(2009년 1월 15일)

 

 ○ 야라두아 대통령, 세계적인 경기침체 및 국제유가 급락 등 경제환경의 급변에 대처, 나이지리아의 거시 경제지표 안정을 위한 Presidential Steering Committee on the Global Crisis 설치

 

글로벌 금융위기가 나이지리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

  - 민간부문에 대한 여신 급증→금융기관의 부채관리 부실화 우려

  - 금융 및 자본 시장의 지속적인 급성장 가능성에 대한 회의 고조→투자가 정서 악화 및 이에 따른 투자자금 조달 애로 가중

  - 석유부문으로부터의 재정수입 감소→사회 기간 인프라 확충을 위한 정부 재정지출 및 민간 투자지출 위축

  - 세계적인 경기침체 및 수요감소→나이지리아 기업의 매출 감소

 

 ○ 나이지리아는 견실한 경제 기초, 나이지리아 금융시장에서의 미미한 외국자본 비율(5% 미만), 선진국 금융기관과의 거래규모 미미 등으로 2008년 10월 초까지만 하더라도, 글로벌 금융위기의 사각지대로 인식

  -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가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확산되면서 국제유가의 급락세가 지속됨에 따라, 2008년 11월 말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진입

   * 환율(N/달러) : 118('08. 11. 21)→125('08. 12. 5)→130('08. 12. 12)→135('08. 12. 19)→150('09. 1. 9)→145('09. 3. 4)

   * 종합주가지수 : 66,371('08. 3. 5)→21,980('09. 3. 4)

   * 주식시가총액 : 12조6000억 나이라(08. 3. 5)→4조9000억 나이라(09. 3. 4)

 

나이지리아의 주요 경제지표 추이 및 전망

구 분

2006

2007

2008(추정)

2009(전망)

2010(전망)

실질 GDP 증가율(%)

6.0

6.2

6.8

3.5

4.8

명목 GDP(십억 달러)

125.8

141.7

179.7

118.1

143.6

1인당 GDP(달러, PPP)

1,678

1,793

1,943

2,002

2,070

인구(백만 명)

140.4

143.3

146.3

149.3

152.2

인구 증가율(%)

2.1

2.1

2.1

2.1

1.9

소비자물가 상승률(%)

8.2

5.4

11.5

11.0

8.5

대부 이자율(%)

16.9

16.9

16.0

15.8

15.0

재정수지(%/GDP)

△0.6

△0.7

△2.7

△5.8

△4.0

- 재정수입(%/GDP)

12.0

13.7

10.9

9.8

10.0

- 재정지출(%/GDP)

12.6

14.4

13.7

15.5

14.0

무역수지(백만 달러)

28,031

23,013

31,397

△7,121

3,031

- 수출(백만 달러)

59,144

61,800

76,277

28,185

41,637

- 수입(백만 달러)

31,113

38,787

44,880

35,306

38,606

경상수지(백만 달러)

13,796

2,197

4,771

△17,408

△11,150

외환보유고(백만 달러)

42,299

51,334

59,686

45,583

39,290

대외부채(백만 달러)

7,693

7,783

8,268

7,738

8,820

대미 평균환율(N/달러)

128.7

125.8

119.3

145.4

145.0

대미 연말환율(N/달러)

128.3

118.0

147.4

145.2

142.5

주 : 외환보유고는 Excess Crude Account(2008년말 현재 200억 달러) 제외

자료원 : IMF, Economist Intelligence Unit, Central Bank of Nigeria

 

2. 한-나이지리아 최근 교역 동향

 

□ 우리나라의 대나이지리아 수출은 2007년에 두배 가까이 폭증한데 이어 2008년에도 지속적인 증가세를 시현

 

 ○ 2007년의 23억7496만 달러(2006년 대비 1.9배 급증)에 이어, 2008년에는 전년 대비 6.8% 증가한 25억3599만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

 

 ○ 반면, 우리나라의 대나이지리아 수입은 원유도입 중단의 영향으로 2007년에 이어 2008년에도 대폭 감소

 

한-나이지리아 교역 추이

       (단위 : US$ 천, %)

구 분

2005

2006

2007

2008

금 액

증감률

교역 규모

1,196,598

1,435,164

2,817,720

2,645,417

△6.1

對나 수출

831,070

809,476

2,374,958

2,535,989

6.8

對나 수입

365,528

625,688

442,762

109,428

△75.3

무역 수지

465,542

183,788

1,932,196

2,426,561

-

자료원 : 지식경제부, KOTIS

 

□ 대나이지리아 수출 호조는 해양구조물(US$ 11억8600만, 2007년) 및 선박(US$ 13억1800만, 2008년) 수주에 크게 기인

 

 ○ 품목별로는 합성수지 및 승용차 등 대나이지리아 주요 수출품목이 전반적으로 호조를 보인 가운데, 철구조물 및 기타정밀화학원료 등의 수출은 부진

  - 호조품목 : 합성수지(13.1%), 승용차(97.9%), 기타 석유화학제품(27.7%), 축전지(239.5%), 무선전화기(123.6%), 기타섬유제품(27.8%), 화물자동차(673.5%), 컬러TV(100.7%), 시멘트(55.4%), 가열난방기(50.3%)

  - 부진품목 : 철구조물(△94.8%), 기타정밀화학원료(△6.8%), 주철(△55.7%), 폴리에스터직물(△12.5%), 철강관(△38.1%), 알루미늄조가공품(△19.5%), 자동차부품(△5.5%), 밸브(△31.5%), 에어컨(△47.4%), 타이어(△34.6%)

 

대나이지리아 주요 수출품목

        (단위 : US$ 천, %)

구 분

2005

2006

2007

2008

금 액

증감률

선 박

217,563

161

2,490

1,318,597

52,850.2

합성수지

236,946

264,269

310,495

351,052

13.1

승용차

32,789

50,175

103,921

205,681

97.9

기타 석유화학제품

40,133

50,812

64,958

82,962

27.7

축전지

12,508

23,664

18,397

62,454

239.5

무선전화기

16,850

26,722

19,146

42,801

123.6

기타섬유제품

13,815

16,423

33,295

42,563

27.8

화물자동차

3,838

7,521

4,834

37,393

673.5

칼라TV

3,482

7,679

18,092

36,316

100.7

시멘트

20,088

14,397

20,274

31,499

55.4

가열난방기

151

4,702

14,421

21,671

50.3

자수포

57,542

22,472

16,029

19,998

24.8

철구조물

14,266

124,195

339,344

17,483

△94.8

기타 정밀화학원료

9,447

7,662

18,416

17,170

△ 6.8

표면활성제

1,881

3,724

5,950

15,374

158.4

철강 및 비합금강형강

9,230

389

5,530

11,737

112.3

변압기

13

21,203

5,035

11,010

118.7

의약품

5,542

5,142

5,498

10,119

84

전선

2,268

1,344

1,594

9,517

497.1

안료

3,536

3,295

6,081

9,069

49.1

공기조절기

1,943

569

2,306

9,010

290.8

기타 철강금속제품

3,473

6,653

4,366

8,554

95.9

기타 기계류부품

395

280

657

8,392

1,177.50

주 철

2,238

2,566

14,577

6,456

△55.7

원동기

5,821

443

1,023

4,641

353.5

기타 플라스틱제품

2,205

2,073

1,914

4,434

131.7

기타 기계류

1,668

678

2,381

4,368

83.5

장신구

1,859

1,841

2,280

4,354

90.9

폴리에스터직물

4,435

5,747

4,852

4,246

△12.5

고무플라스틱 가공기계

2,523

1,661

3,022

4,232

40

철강관

19,591

4,219

6,628

4,101

△38.1

알루미늄조가공품

586

4,017

4,918

3,956

△19.5

건설중장비

2,203

1,193

709

3,796

435.5

주단강

1,374

8,129

1,845

3,773

104.5

자동차부품

3,927

4,685

3,824

3,612

△5.5

밸브

7,260

4,103

5,228

3,580

△31.5

기타 의직물

5,019

1,169

2,953

3,441

16.5

에어컨

3,856

6,030

5,477

2,878

△47.4

펌프

1,731

1,035

2,840

2,764

△2.7

석유화학 중간원료

0

267

307

2,639

761

타이어

1,796

5,372

3,934

2,573

△34.6

재봉기

213

562

1,372

2,004

46

기타 화학공업제품

1,373

2,994

3,166

1,725

△45.5

냉장고

1,816

2,362

3,780

1,681

△55.5

배전 및 제어기

279

5,450

2,790

1,445

△48.2

해양구조물

0

36

1,185,868

0

-

자료원 : 지식경제부, KOTIS

 

대나이지리아 주요 수입품목

          (단위 : 미$ 천, %)

구 분

2005

2006

2007

2008

금 액

증감률

원 유

365,233

539,459

288,086

0

-

천연가스

0

55,665

111,889

106,666

△4.7

철구조물

0

29,169

37,931

0

-

운반하역기계

0

0

1,784

0

-

연조가공품

0

0

1,392

1,549

11.3

자료원 : 지식경제부, KOTIS

 

3. 對나이지리아 수출확대 전략

 

□ 汎정부 차원의 국가 이미지 및 브랜드 인지도 제고 노력 강화

 

 ○ 나이지리아에서 우리나라 일부 선도기업들에 대한 이미지는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유럽·일본·미국 등에 비해 열위

 

 ○ 여러 산업 부문에서 나이지리아 시장진출 기반을 확고히 구축한 선진국은 물론, 저가 공세를 펼치고 있는 중국과의 치열한 경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가 이미지 및 브랜드 인지도 제고가 시급한 과제

 

□ 민관 합동, 한-나 경제통상 협력관계 강화 노력 지속 전개

 

 ○ 한-나 정상회담 성과 및 나이지리아의 정치경제 구조 등을 감안할 때, 정부 주도 하의 경제통상 협력관계 강화가 나이지리아 시장진출 확대의 지름길

 

 ○ 이에 따라, 장(차)관급을 단장으로 하는 실무형의 민관합동 경제통상 사절단 정례 파견을 통한 대형 프로젝트 참여 및 국제입찰 수주 활동 지원 필요

 

□ 대형 플랜트 및 SOC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정책지원 확대

 

 ○ 대형 플랜트 및 SOC 프로젝트의 경우, 대부분의 발주처가 공급자 Project Financing을 요구하고 있으나, 자체 Financing 능력을 보유한 국내 기업들은 많지 않은 실정

 

 ○ 이에 따라, 정부 차원에서 대외경제협력기금 또는 장기저리 상업차관 등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수단을 확대하거나 플랜트 수출기금 등을 별도로 마련해 국내 플랜트 수출 업체의 Project Financing 능력 제고 지원 필요

 

□ 중소형 제조설비 및 플랜트시장 집중 공략

 

 ○ 나이지리아 정부의 민간부문 및 제조업 육성정책을 적극 활용해 나이지리아에서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건축자재·생활용품·포장용품·식음료품·화학제품·의료용품·플라스틱 및 관련제품 등의 생산에 필요한 중소형 제조 설비 및 플랜트와 관련 기계류 및 원부자재 시장 등에 대한 집중적인 공략이 시급

 

□ 경쟁우위 산업분야 및 고품질 제품 위주의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수립 추진

 

 ○ 국민소득 수준이 1000달러에 불과한 나이지리아의 전통적인 가격시장에서는 제품 가격이 바이어들의 수입의사 결정에 절대적인 요인으로 작용

 

 ○ 일반 소비재 산업은 물론, TV 및 세탁기와 같은 백색가전 산업과 자동차산업 등에서도 최근 들어 저가 중국산이 우리나라를 위협하기 시작한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저렴한 중국산과의 치열한 가격 경쟁을 극복하기에는 분명한 한계가 존재

 

 ○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우수한 품질 및 기술경쟁력을 최대한 활용, 고급제품을 선호하는 바이어나 중국산 등에 비해 품질이 뛰어난 제품을 찾고 있는 바이어를 대상으로 경쟁우위 산업분야 및 고품질 제품 위주의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 추진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예 : 우리나라의 우수한 품질 및 기술 경쟁력에 기반을 둔 첨단 IT 및 전자제품, 정밀기계, 중전기기, 정밀화학, 의약품 등)

 

□ 검증된 유능한 나이지리아 수입상 발굴 및 적극 활용

 

 ○ 대나이지리아 수출의 성패는 수입상의 마케팅 능력에 달려 있기 때문에 수입상의 과거 실적 및 향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검증된 수입상을 발굴, 적극 활용

 

 ○ 특히, 나이지리아에는 매스컴이나 전문잡지 등을 이용한 선진 홍보 및 마케팅 기법이 제대로 발달돼 있지 않을 뿐만 아리나, 그 효과도 투입비용에 비해 매우 낮아 대부분의 마케팅 활동이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이뤄지므로, 현지 시장동향 및 업계정보 등에 밝은 유능한 수입상의 활용이 절대적으로 필요

 

□ 철저한 제품 사후관리 및 부품공급체계 구축

 

 ○ 전력공급 부족 현상이 극심한 나이지리아에서는 잦은 단전으로 인해 전기를 사용하는 제품의 고장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 다른 나라들에 비해 A/S 및 부품 수요가 다대

 

 ○ 이에 따라, 전기사용 제품의 나이지리아 수출확대 기반을 공고히 하기 위해서는 기술지원 및 교육훈련 등을 통한 철저한 사후관리 및 확고한 부품공급 체계 구축이 매우 필요

 

□ 현지 직접투자 또는 물류유통 거점 구축을 통한 경쟁우위 확보

 

 ○ 가격 경쟁력이 수입의사 결정을 좌우하는 나이지리아의 전통적인 가격시장 특성과 우리나라로부터의 높은 운송비 및 물류비 등을 감안할 때, 주문 건별 제품 딜리버리 방법으로는 저가 중국산 등과의 치열한 가격 경쟁을 극복하기가 매우 곤란

 

 ○ 이에 따라, 물류유통 체계가 제대로 구축돼 있지 않은 나이지리아의 시장여건을 최대한 감안, 현지 직접투자를 통한 생산기반 확보 또는 물류유통 거점 구축 등을 통해 1억4000만 명 이상의 방대한 나이지리아 내수 시장은 물론, 1억 명 이상의 인근 서부 아프리카 시장을 공략하는 전략도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시급한 검토가 필요

 

 

자료원 : Country Report - Nigeria, February 2009(Economist Intelligence Unit), 지식경제부, KOTIS, 나이지리아 현지 유관기관 및 업계 관계자 정보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나이지리아, 성장둔화 및 환율상승 심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