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 폭스바겐사의 납품업체 선정절차
- 투자진출
- 독일
- 함부르크무역관 김은경
- 2008-12-31
- 출처 : KOTRA
-
독일 완성차업체 폴크스바겐사의 납품업체 선정절차 소개
- ‘09년에는 한국에서 폴크스바겐 데이 개최 예정 -
보고일자 : 2008.12.31.
함부르크 코리아비즈니스센터
□ 독일, 폴크스바겐 한국 자동차부품 수출상담회 성공리에 마쳐
○ KOTRA 함부르크 KBC는 2008년 11월 5일 유럽 최대 완성차 메이커인 폴크스바겐(Volkswagen)사와 공동으로 ‘한국자동차부품 수출상담회’를 개최했음. 이 행사에는 우리나라 자동차부품 제조 우수기업 4사가 참가함.
○ 본격적인 품목별 구매/기술부 담당자들과의 개별 상담회에 앞서 2시간에 걸쳐 폴크스바겐사의 글로벌 소싱 정책, 납품업체 선정기준 및 절차, RFQ 대응 및 온라인 네고 요령, 공급업체 R&D 실사 등에 대한 폴크스바겐사 강사들의 자세한 설명이 있었음.
○ 수동변속기를 생산하는 A사 관계자는 이번 행사 참가를 통해 후속 상담이 원활히 진행될 경우 연간 300억원 상당의 물량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함. 한편 B사는 폴크스바겐사에 연간 60만 개의 캠샤프트를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함.
□ 2009년도엔 한국 폴크스바겐 Day 개최키로
○ 함부르크 KBC는 폴크스바겐 서울사무소와 공동으로 ‘09년도에는 KOTRA 본사에서 ’한국 Volkswagen Day‘를 개최, 우리나라 자동차부품 생산기업의 대 폴크스바겐사 진출을 적극 지원키로 하고 구체적인 행사시기와 추진방법은 향후 협의 결정키로 함.
□ 폴크스바겐 그룹 납품기업이 되려면
○ ‘07년 기준 세계 시장점유율 9.8%, 생산대수 619만대, 연 매출 1090억 유로의 유럽 최대 완성차메이커인 폴크스바겐 그룹의 납품 기업이 되기 위한 조건은 아래와 같음. 이 행사에 연사로 참가한 폴크스바겐 서울구매소의 프랑켄베르거 씨는 필수 자격요건 7가지와 우대조건 3가지를 제시함.
○ 폴크스바겐사 납품기업 필수 자격 조건
- 가격경쟁력
- 기술경쟁력(기술 심사등급 최소 B이상)
- 품질 및 물류비 경쟁력(심사등급 최소 B이상)
- 영업 및 기술부에 영어구사 가능 직원 보유
- 폴크스바겐 구매 수요 발생시 즉각 대응력
- 폴크스바겐사의 기술, 품질, 물류 요구사항 적시 충족 능력
- 필요절차 조정 능력
○ 폴크스바겐 납품기업 선정시 우대 조건
- 영업부 및 R &D 부서에 독일어 구사 가능 직원 보유
- 독일 거주 기술자 또는 독일 영업사무소 보유
- 동 유럽에 생산 공장 보유
○ 폴크스바겐 그룹은 B2B 플랫폼을 통해 연간 720억 유로의 자동차 부품을 구매하고 있으며 납품기업 선정절차는 다음과 같음.
- 첫 번째 단계는 폴크스바겐 B2B 플랫폼에 (http://www.vwgroupsupply.com) 등록해야 함.
- 두 번째 단계는 폴크스바겐 ESL (Electronic Supplier Link)시스템을 통해 RFQ 접수 → ESL 시스템을 이용 오퍼 제출 → 가격 네고 → 가격경쟁력 있을 경우 공장 방문을 통한 제조 공정 및 품질 관리 실사
- 마지막 세 번째 단계는 폴크스바겐 기업 소싱위원회에서 구매 프로젝트 노미네이션
□ 시사점
○ 폴크스바겐 서울구매소 프랑켄베르거씨는 해외 12개국 45개 폴크스바겐 그룹 생산공장에 성공적으로 납품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적절한 접촉 창구를 통해 접근해 나가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함.
○ 폴크스바겐사와 상담 후 폴크스바겐사에 납품기업으로 최종 선정되기까지는 수년이 걸릴 수 있으므로 장기간 투자할 수 있는 경영층의 확고한 의지와 지원이 중요함.
자료원 : 폴크스바겐사 홈페이지, 함부르크 코리아비즈니스센터 주관 수출상담회 자료 및 자체 보유정보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독일 폭스바겐사의 납품업체 선정절차)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일본의 전기자동차 산업 동향
일본 2021-11-01
-
2
日, EV 시대 도래로 자동차 부품업계 지각변동
일본 2017-08-10
-
3
나이지리아, 전력 인프라 확충에 올인
나이지리아 2008-10-17
-
4
[자원정보] 우간다 지하자원의 현주소와 투자 기회
케냐 2009-06-30
-
5
2009년 미국 게임시장을 진단한다 (하)
미국 2009-06-24
-
6
러시아 경제, 10년전 위기상황으로 후퇴 전망
러시아연방 2008-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