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대만, 3대 신성장동력산업–신재생에너지산업(上)
  • 경제·무역
  • 대만
  • 타이베이무역관 유기자
  • 2009-03-05
  • 출처 : KOTRA

 

대만, 3대 신성장동력산업 – 신재생에너지산업(上)

 

 

 

대만의 3대 신성장동력산업 개요

 - 대만 행정원은 2009년부터 신재생에너지산업, 통신산업, 바이오테크산업을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중점 육성할 계획을 밝힌 바 있음.

 - 금융위기로 과거 대만의 중점산업이 타격을 모면하지 못함에 따라 금융위기 이후 신규 중점산업을 발굴하여 육성해야 할 필요성이 부상함.

 - 경제부 예측에 따르면 2015년에는 3대 신성장동력산업의 생산액이 약 3조4300억 대만달러에 달하는 가운데 신재생에너지산업이 1조2834억 대만달러(2015년 기준), 통신산업이 1조5000억 대만달러(2013년 기준), 바이오테크산업이 6500억 대만달러(2015년 기준)에 달할 것으로 전망

·

1. 수소·연료전지

 

□ 산업규모 및 현황

 

 ○ 대만 경제부 에너지자원국은 수소·연료전지 산업규모(생산액 기준)가 2011년에는 40억 대만달러, 2016년에는 130억 대만달러, 2020년에는 1000억 대만달러에 육박하며 세계시장점유율 약 5%를 차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대만의 수소·연료전지 산업규모

                                                                                    (단위 : 억 대만달러)

연도

2007

2011(f)

2016(f)

2020(f)

생산액

3

40

130

1,000

자료원 : 經濟部 能源局(2008.4)

 

 ○ 대만의 수소·연료전지 응용 분야로는 소형 발전기, UPS 시스템, 4C제품의 휴대용 전력 서플라이가 각광받고 있음.

 

 ○ 발전기·스쿠터·보조보행기·노트북컴퓨터 전원 등 시스템 통합 기술은 비교적 성숙한 편이나 제품가격 및 수명은 다소 뒤지는 편으로 평가됨.

 

 ○ 또한, 기체환산층(GDL)과 분리막전극접합체(MEA) 등 핵심소자의 기술 자생력은 부족한 편으로 MEA의 핵심소자의 경우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전반적으로 대만 수소·연료전지 산업은 정밀기계·전자전기·화학재료 등 관련 산업 분야에서의 기술력 성숙과 정부의 장려조치 등으로 발전 여지가 큰 반면 현지 전문인력 부족과 객관적이고 공신력 있는 기술 테스트 체제가 미흡하고 국제 관련 규정에 부합하는 법규 및 각종 체제 수립이 다소 늦은 편으로 초기 상품의 시장화는 어려운 것으로 평가됨.

 

□ 업체 분포 현황

 

 ○ 현지업체는 대체로 가정·사업용 연료전지(PEMPC :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와 휴대용 연료전지(DMFC :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위주로 투입해 있으며 업스트림부터 다운스트림까지 공급선은 대체로 완비된 편이나 중소기업 형태의 업체가 대다수임.

 

 ○ 현지 연료전지 업체가 결성한 臺灣燃料電池夥伴聯盟(http://www.tfci.org.tw)에는 약 40개 업체가 가입한 상태로 주요 3C전자제품 업체들도 다수 가입하여 대만기업의 연료전지 발전에 대한 관심도가 반증됨.

 

대만 수소에너지 및 연료전지 업체 분포 현황

분류

업종

업체명

수소

공급

수소가스 생산

台灣中油, 聯華氣體

수소가스 운송

聯華氣體

수소공급설비

三福氣體

부분품·

시스템

리포머

大同世界科技, 碧科技

수소저장합금

科技, 亞太燃料電池

분리막전극접합체(MEA)

台灣杜邦, 必穎, 遠茂光電, 安炬科技

양극판

盛英, 恩良, 崇越科技

기체확산층

能科技

백금촉매

力揚

연료전지

亞太燃料電池, 大同世界科技, 台達電子,

勝光科技, 異能科技, 博燃料電池

전력전환·시스템제어

大同世界科技, 台達電子

시스템통합

大同世界科技, 盛英, 敏國際, 新永裕應用科技材料

응용상품

교통수단

亞太燃料電池, 台全電機, 博燃料電池

발전기

敏國際, 大同世界科技, 博燃料電池, 台達電子

3C 상품

勝光科技, 南亞電路板, 奇科技, 思柏科技, 中光電

교육 교구

呈友, 索羅爾

자료원 : 台灣燃料電池夥伴聯盟 : 華控月刊 61호 정리(2007.12.)

 

□ 발전 가능 분야

 

 ○ 연료전지의 응용 범위를 발전량을 기준으로 분류해 휴대용·교통수단용·고정용 연료전지로 분류할 때, 휴대용 연료전지의 경우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장기간 동안 꾸준히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것 외에도 최근에는 현지 업체에서도 연료전지 개발에 투입해 연료전지의 상품화 및 양산을 촉진하고 있음.

 

 ○ 고정형 연료전지의 경우 대만의 전력 네트워크가 밀집된 편이므로 현지에서는 전기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 및 고도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요망되는 제조업 공장, 병원 등을 위주로 수요됨.

 

 ○ 교통수단용 연료전지는 대체로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에서 주력 개발하고 있는 분야로, 대만의 경우 자동차공업은 비교적 발달된 편이 아니므로 자동차용 연료전지 발전여건은 우수하지 않은 편임.

  - 그러나 대만은 1300만 대를 초과하는 규모의 스쿠터 시장을 보유하고 있어 스쿠터 제조업 관련 부분품의 산업클러스터가 잘 정비돼 있음. 따라서 연료전지 스쿠터 산업은 대만의 또 다른 니치시장으로 평가됨.

  - 특히 스쿠터가 방출하는 공기오염수준은 연간 대만의 이동성 오염원의 20%를 차지하고 있는데, 교토의정서가 발효되고 친환경 교통수단의 중요성이 두각됨.

  - 최근에는 CPC와 공업기술연구원 및 관련 협력업체들이 제휴해 공업기술연구원 남부 분원 및 쟈이(嘉義) CPC 제련소 사이에 대만 최초의 수소에너지 도로를 설립할 계획이 발표되기도 해 단기적으로는 대만 내 소규모 수소에너지 지역이 점차 형성될 것으로 보임.

 

2. 생물연료(바이오매스)

 

□ 바이오디젤

 

 ○ 산업규모 및 현황

  - 2007년 기준 대만의 바이오디젤 생산가능량은 16만6000ℓ

  - 대만 행정원 환경보호서의 통계에 따르면 대만의 연간 폐기식용유는 약 7만~8만5000톤으로 그 중 72~80%는 패스트푸드업·식품공장·요식업 등 업종으로부터 마련됨.

  - 연간 현지에서 생성되는 폐기식용유를 이용할 경우 연간 약 8만~10만ℓ의 바이오디젤을 생산 가능한 것으로 추산

  - 한편, 대만 바이오매스 산업 발전과제 상에 원자재 자급량 부족이 치명적인 약점으로 평가되는데, 바이오디젤에 주로 사용되는 폐기식용유량을 기준으로 바이오디젤 자급량은 2%에 불과함.

 

 ○ 정부 지원방안

  - 2006년 말을 기준으로 16개 지방정부의 환경보호국 쓰레기 수거차량에서 바이오디젤을 사용하고 있으며 2008년 8월 말을 기준으로 총 570대의 버스가 바이오디젤을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2008년 7월 1일부터는 B1 바이오디젤 전면 실시 조치를 시행하여 연간 수요량이 약 4만5000톤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 바 있으며 2010년에는 수요량이 10만 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함.

 

 ○ 업체 현황

  - 대만 바이오매스산업은 폐기식용유 이용 바이오디젤 제조업체를 위주로 투입되어 있음.

  - 바이오디젤의 원료로는 폐기식용유가 주종, 일부분은 수입산 대두유·야자유 등을 이용함.

 

대만 바이오디젤 제조업체

회사명

설립시기

공장 소재지

사용원료

연간 생산가능량

台灣新日化

2004.11

嘉義縣

民雄工業區

폐기식용유 위주

1만5000~2만ℓ

積勝企業

2005.6

高雄市 小港區

폐기식용유 및 동남아 야자유 위주

약 8000톤(원료가격급등으로 2007년 하반기 생산중지)

承德油脂

2005.11

臺北縣 三峽

폐기식용유 위주

2008년 기준 3만ℓ

玉弘企業

2006.11

彰濱工業區

자국산 대두유 및 수입 야자유

4500톤(2008년 생산량 300톤)

鴻潔能源

2007.12

彰化縣 線西

폐기식용유 및 자국산 대두유

약 1만5000톤

世界生物能源

2006.5

彰濱工業區

단기 계획(수입산 야자유 및 폐기식용유 위주), 중장기(자트로파 위주)

약 10만 톤(시범공장 2008년
10월에 완공)

靖騰能源

2007.5

高雄加工出口區 

폐기식용유

1000ℓ

濠威能源

2006.1

瑞芳工業區

폐기식용유

2008년 기준 24~30ℓ

자료원 : 2009台灣各業景氣趨勢調報告(대만경제연구원, 2008.12)

 

□ 바이오에탄올

 

 ○ 산업현황

  - 현재 실질 생산은 없으나 투자기획 중인 업체를 중심으로 총 생산가능량은 약 20만ℓ로 추측됨.

  - 한편, 셀룰로오스(섬유소) 이용 기술의 미숙과 원자재 부족은 산업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 하는 숙제로 지적됨.

 

 ○ 정부 지원방안

  - 대만 경제부 에너지자원국은 3단계로 바이오에탄올 휘발유 사용 보조방안(95% 무연휘발유와 3% 바이오에탄올을 혼합한 연료를 사용할 경우 1ℓ당 가격을 95% 무연휘발유에 비해 1대만달러씩 싸게 적용해주는 제도)를 시행.

  - 1단계로 2007.9.29~2008.12.31까지는 타이베이시 8개 주유소에서 공급, 2단계로 2009~10년까지 타이베이시와 가오슝시에서 전면 공급, 3단계는 2011년부터 대만 전역에 전면 공급을 목표로 함.

 

 ○ 업체 현황

  - 대만 현지의 바이오에탄올 제조업에 관심을 보이는 업체로는 台糖·味丹·味王·台灣纖維酒精·中油·台榮·榮化 등이 있음.

  - 그러나 관련 정부 정책이 미숙하고 투자 리스크도 높기 때문에 투자 진척이 신속하게 추진되지 않고 있음.

  - 味王의 태국 바이오에탄올 공장은 자금 부족과 막대한 원자재 운송비의 부담으로 공장 완공을 앞두고 돌연 철수한 바 있으며, 기타 업체의 경우 지속적으로 관심을 보이며 투자기획을 추진 중에 있으나 전개가 다소 더딘 편임.

 

바이오에탄올 제조업 현지 업체 동향

회사명

공장 설립예정 소재지

투자 현황

사용원료

예측 생산가능량

台肥

타이중항

제8,9번 부두 근처

회사 내부 종합 검토 후

결정

단기(당질 또는 전분질),

중장기(섬유원료)

-

台糖

嘉義 南靖

빠르면 2009년 중으로

시공 착수

사탕수수+단수수

10만ℓ

味丹

台中 沙鹿

CPC와 합작으로 2009년

9월에 완공·생산 가동

수입산 당밀, 베트남산

카사바 에탄올 반제품

수입 후 국내 가공

1단계로
연간 6만 톤

味王

태국, 캄보디아

태국공장 2008년 10월

철수, 캄보디아 공장

2009년 말 전 시공 예정

태국 : 카사바

캄보디아 : 사탕수수

태국공장 연간 약 3만 톤, 캄보디아 공장 연간 약 15만 톤

台灣

纖維

酒精

彰濱工業區, 東農業生物技術園區

彰濱공장 2009년 2분기

시공, 東공장 2010년

2분기 시공

장빈(彰濱)공장 : 폐기

타이어 위주, 핑동

(東)공장 : 코끼리풀

彰濱공장과

東공장 연간

각각 4.3만ℓ

자료원 : 2009台灣各業景氣趨勢調報告(대만경제연구원, 2008.10)

 

 

자료원 : 經濟部 能源局, 臺灣經濟金融月刊, 2009台灣各業景氣趨勢調報告, 華控月刊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대만, 3대 신성장동력산업–신재생에너지산업(上))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