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칠레 리튬이온배터리 시장동향
  • 상품DB
  • 칠레
  • 산티아고무역관 신채현
  • 2025-07-01
  • 출처 : KOTRA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른 시장 확대

고성능 충전식 배터리에 대한 시장 수요 증가

상품명 및 HS 코드


리튬이온배터리의 HS 코드는 8507.60이다.


시장 동향

 

칠레의 리튬이온배터리 시장은 고성능 충전식 에너지 저장 기술에 대한 산업 수요 증가와 정부의 친환경 정책 추진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대표적인 정책은 에너지부(Ministerio de Energía)가 추진 중인 'e-모빌리티 전략(Estrategia Nacional de Electromovilidad)'으로, 2035년까지 경·중형 차량과 대중교통의 모든 신규 차량을 친환경 이동수단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도시 대중교통 분야에서 전기버스 도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2023년 칠레대학교 지속가능성관측소(Observatorio de Sostenibilidad de la Universidad de Chile) 조사에 따르면 칠레의 전기버스 보급 규모는 중국에 이어 세계 2위 수준으로 평가됐다. 이러한 수준은 2025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칠레 대중교통 전기버스>

[자료: 칠레 교통통신부(Ministerio de Transportes y Telecomunicaciones), 2024]


주택 및 상업 건물의 태양광 발전 확산에 따라 에너지 저장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 말 기준 칠레의 주거용 분산형 전원 누적 설치 용량은 62MW를 넘어섰다. 주거용 분산형 전원(residential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DERs)은 대규모 중앙 발전소에 의존하지 않고, 태양광 발전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건물 단위에 설치해 전력을 직접 생산·소비하는 자립형 발전 방식이다. 이 방식은 송·배전 손실을 줄이고 외부 전력망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며, 비상 시에도 안정적인 전력 공급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는 칠레 에너지부의 '에너지 아젠다(Energía Agenda) 2022–2026'에서 제시한 자가발전 및 에너지 저장 확대 정책 방향과도 일치한다.


이와 함께 광업과 통신업 등 주요 산업 현장에서도 리튬 기반 에너지 기술의 도입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광업에서는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화석연료 기반 장비의 전기화(electrification)가 추진되고 있으며, 통신업에서는 비상 전력 시스템에 리튬이온배터리를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들 산업은 칠레의 지리적·기후적 다양성 속에서도 안정적인 성능과 높은 내구성을 제공하는 리튬이온배터리를 실용적인 에너지 대안으로 주목하고 있다.

 

성장 요인

 

높은 에너지 효율과 긴 수명을 갖춘 리튬이온배터리는 환경 규제 대응과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주요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칠레의 리튬이온배터리 시장은 기존 납축전지에서 리튬이온배터리로의 전환과 수송·주거·산업 전반에서 활용 확대를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정부의 제도적 지원과 글로벌 지속가능성 기조도 이러한 확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리튬이온배터리의 재활용 문제는 여전히 기술적·경제적 과제로 지적되고 있으며, 칠레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16년부터 ‘생산자 책임 재활용법(Ley de Responsabilidad Extendida del Productor)’을 시행하고 있다. 이는 특정 품목의 생산자에게 폐기물 회수 및 재활용 의무를 부과함으로써 자원 순환과 지속가능한 생산체계의 구축을 유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칠레 정부는 2023년부터 리튬이온배터리를 비롯한 신규 대상 품목 확대를 위한 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리튬이온배터리 공급업체를 선정할 때는 UN 위험물 운송 규정 제38.3호(UN38.3) 등 운송 안전 기준 준수 여부와 IEC 62133(국제전기기술위원회 배터리 안전 규격) 등 국제 안전 인증 보유 여부, 에너지 밀도, 수명 등이 주요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배터리 셀과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전자 제어 장치를 통합한 일체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나, 산업 현장에서 성능이 입증된 업체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시장 세분화

 

칠레의 리튬이온배터리 시장은 특히 산업용 수요 측면에서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ESS는 재생에너지 발전의 출력 변동성을 보완해 전력 공급을 안정화시키고, 광업, 통신, 데이터센터 등 주요 산업 분야에서는 정전 시 비상 전력을 확보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2024년 기준 칠레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사상 처음으로 70%에 도달했으며, 개발 단계에 있는 배터리 저장 프로젝트는 총 3081MW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4년 말까지 배터리 저장설비의 누적 설치용량은 1113MW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이 중 738MW 규모는 7월 기준 이미 가동 중이거나 가동을 앞두고 있다.


통신 및 데이터센터 부문에서는 정전에 대비한 독립 전원 확보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2025년 2월 발생한 전국 정전 사태 이후, 통신 기지국이 외부 전력 없이 작동할 수 있는 시간(백업 자율 운영 시간)을 늘리기 위한 배터리 성능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칠레 투자청(InvestChile)은 2024년 상반기 기준 칠레 내 데이터센터의 연면적이 전년 동기 대비 두 배로 증가했다고 밝히며, 보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 인프라에 대한 수요 확대 가능성을 시사했다.


칠레 운송 부문에서도 리튬이온배터리의 활용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특히 2024년에는 전기차 판매량이 전년 대비 183.8% 증가한 4507대를 기록했다. 주요 언론은 2024년 하반기 보도를 통해 9월 한 달간 전기차 418대가 판매되며 8월 대비 480% 급증했고, 1~9월 누적 판매량도 2665대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점에 주목했다. 판매량에는 전기 오토바이, 전동 스쿠터, 전기 자전거 등 소형 e-모빌리티뿐만 아니라 승용 및 상용 전기차까지 포함되며, 이는 신차 구매뿐 아니라 기존 차량의 전기차로의 교체 수요 증가까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생활가전 및 휴대용 전자기기는 리튬이온배터리 시장에서 주요 분야는 아니지만, 일정한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리튬이온배터리는 무선 청소기, 전동 면도기, 노트북, 태블릿 등 다양한 가전 및 기기에 사용되며, 이들 제품은 대부분 완제품 형태로 수입돼 현지 유통망을 통해 판매되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주택용 및 DIY(Do-It-Yourself, 자가 설치) 부문의 리튬이온배터리 시장도 최근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가정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ESS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확대되는 추세다. 칠레 국가에너지위원회(Comisión Nacional de Energía)에 따르면, 2024년 2월 기준 9MW 이하 소형 및 중형 분산형 전원의 누적 설치용량은 2994MW에 달하며, 이는 국가 전체 발전설비의 약 8%를 차지한다. 이러한 주택용 태양광 보급 확대는 배터리 키트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해당 제품은 주로 대형 철물점이나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유통되고 있다.

 

수입 동향

 

최근 3년간 칠레의 리튬이온배터리 수입은 뚜렷한 변화를 보였다2022년 수입액은 약 6723만 달러를 기록한 후 2023년에 5449만 달러로 줄어들며 일시적으로 주춤했으나, 2024년에는 다시 7720달러로 전년 대비 41.68% 증가했다.

 

<2022~2024년 리튬이온배터리(HS 코드 850760) 국별 수입 현황>

(단위: US$, %)

순번

국가

수입액

점유율

증감율

2022

2023

2024

2024

'24/'23

 

총합

67,232,331

54,491,087

77,200,579

89.64

41.68

1

중국

52,993,417

41,381,398

57,727,398

74.78

39.5

2

일본

1,980,152

733,141

2,385,190

3.09

225.32

3

대한민국

1,821,865

424,309

2,019,558

2.62

375.87

4

이탈리아

1,465,174

602,376

1,192,663

1.54

98.01

5

미국

1,177,621

1,943,746

2,735,257

3.54

40.68

6

독일

860,799

733,252

1,515,018

1.96

106.65

7

말레이시아

834,210

950,586

835,178

1.08

-12.13

8

스페인

789,487

182,889

284,992

0.37

55.83

9

멕시코

452,681

312,474

303,162

0.39

-2.98

10

스위스

86,801

79,315

208,165

0.27

162.45

[자료: ECOMEX, 2025]


2024년 칠레의 리튬이온배터리 수입 시장에서 중국은 약 5773 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수입의 74.78%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대비 39.5% 증가한 수치로중국은 1위 비중을 계속해서 유지하고 있다. 이어 일본은 225.32%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375.87%의 특히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며 두각을 나타냈으며, 이는 칠레 내 고성능 리튬이온배터리에 대한 수요 확대를 반영한다. 미국과 독일도 3년 새 비중을 소폭 늘린 반면, 말레이시아와 멕시코는 다소 감소세를 보였다. 한편, 스위스는 비중은 작지만 금액은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해, 칠레의 리튬이온배터리 공급국이 점차 다변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수출 동향

 

칠레는 리튬이온배터리 셀이나 이를 조립한 완제품 형태의 배터리 팩을 생산하지 않으며, 대규모 배터리 제조 역량도 갖추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4년 칠레의 리튬이온배터리 수출액은 FOB 기준 189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수출 항목은 소량의 재수출품, 사후 교체용 소형 제품, 현지 업체가 단순 조립한 배터리 모듈 등으로 구성된다. 수출 대상국은 대부분 칠레 인접 국가인 아르헨티나(38.17%), 볼리비아(24.66%), 페루(11.65%)로, 광업·통신·운송 분야에서의 기존 산업 협력 관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칠레는 리튬이온배터리의 후방 산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전 세계 리튬 공급량의 약 30%를 차지하는 주요 생산국으로서, 북부 아타카마 염호(Salar de Atacama)에서 추출한 탄산리튬 및 수산화리튬 형태의 원재료를 아시아, 유럽, 북미 등 주요 배터리 생산 거점 국가로 공급하며 원료 공급국으로서의 전략적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경쟁 동향

 

칠레에서 리튬이온배터리는 다양한 전문 유통업체를 통해 판매되고 있다. 대부분의 제품은 수입 후 현지 업체 브랜드로 리브랜딩돼 유통되며, 유통사는 자체 브랜드를 바탕으로 가격을 유연하게 조정하고 현지 고객 대상 사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 가격은 기술 유형, 용도, 용량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예컨대 리튬인산철(LiFePO₄) 계열 배터리는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높고 수명이 길어, 일반 리튬이온배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용 용도에 따라 가격 차이가 발생하며, 통신용 중소형 제품은 약 180달러, 고용량 태양광 저장용 제품은 최대 900달러 수준까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칠레 리튬이온배터리 시장 진출을 모색하는 우리 기업은 가격뿐 아니라 기술 사양에서도 경쟁력을 갖춰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긴 수명, 높은 안전성, 현지 에너지 시스템과의 호환성 등에서 차별화 전략이 요구된다.

 

<칠레 주요 리튬이온배터리 유통업체>

(단위: US$)

주요 기업

홈페이지

대표 상품

가격

사진

DMC Battery Solutions

www.dmcbattery.cl

Lithium Battery 12V 100Ah, industrial use

340

Acuenergia

www.acuenergia.cl

LiFePO4 12V 100Ah, deep cycle

320

Powersafe

www.powersafe.cl

12.8V 50Ah Lithium Battery, telecom-grade

180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2025]


유통 구조

 

칠레의 리튬이온배터리 시장의 유통 구조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채널로 나뉜다. 유통 방식의 경우 판매 주체와 재고·수입 방식의 차이에 따라 네 가지로 구분 가능한데, 에이전트를 통한 간접판매 방식, 현지 자회사를 통한 직접판매 방식, 본사를 통한 직영판매 방식,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직접판매(D2C) 방식이 있다.


<칠레 리튬이온배터리 시장의 유통 구조>

[자료KOTRA 산티아고 무역관]


에이전트를 통한 간접판매 방식: 판매 에이전트는 제품을 직접 구매하거나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단순히 공급자와 현지 유통업체 간 거래를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현지 자회사를 통한 직접판매 방식: 본사가 현지에 설립한 법인이 직접 제품을 수입하고, 재고를 보유하며 판매를 담당한다.

- 본사 직영판매 방식: 기업 본사가 직접 제품을 수입하고, 재고를 보유하며 판매한다.

- 소비자 대상 직접판매(D2C) 방식: 자회사나 유통업체를 거치지 않고, 브랜드가 자사 온라인몰이나 이커머스 플랫폼을 통해 최종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구조다.


관세 및 인증


칠레는 리튬이온배터리 주요 수출국들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세가 면제된다. 반면, 칠레와 FTA가 체결되어 있지 않은 국가로부터 리튬이온배터리를 수입하는 경우에는 기본 관세율 6%가 부과된다.


칠레에서는 리튬이온배터리 수입과 관련해 의무적으로 요구되는 인증 제도는 없다. 다만, 리튬이온배터리는 가연성 물질인 리튬을 포함하고 있어 자체 발열에 따른 화재·폭발 위험이 있으며, 이로 인해 국제해사기구(IMO) 규정에 따라 위험물로 분류된다. 따라서 운송 및 포장과 관련된 국제 안전 기준을 준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제 거래 현장에서는 칠레 바이어들이 제품의 신뢰성과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국제표준 인증서나 기술 데이터 시트(Technical Data Sheet, TDS)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시사점

 

칠레의 리튬이온배터리 시장은 재생에너지 저장, 전기차, 산업 및 가정용 비상 전력 시스템에 대한 수요 증가에 힘입어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현지 소비자들은 배터리 선택 시 수명, 안전성, 에너지 밀도, 국제 운송 규정 준수 여부 등을 점점 더 중시하는 추세다. 현재는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산 제품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우리 기업 제품은 긴 수명, 극한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성능, 국제 인증 취득률 등에서 강점을 바탕으로 태양광 발전 설비나 통신 인프라의 비상 전력용과 같은 전략 분야에서 충분한 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칠레 에너지부(Ministerio de Energía), 교통통신부(Ministerio de Transportes y Telecomunicaciones), 국회도서관(Biblioteca del Congreso Nacional de Chile), 국가에너지위원회(Comisión Nacional de Energía), 투자청(InvestChile), 중앙은행(Banco Central de Chile), 관세청(Servicio Nacional de Aduanas), 스페인 수출투자진흥청(ICEX), 미국 지질조사국(USGS), 칠레 가톨릭대학교(Pontificia Universidad Católica de Chile), 칠레대학교 지속가능성 관측소(Observatorio de Sostenibilidad de la Universidad de Chile), 칠레자동차협회(ANAC), 각 기업 홈페이지, BNamericas, Diario Financiero, Emol, Revista Electricidad, KOTRA 산티아고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칠레 리튬이온배터리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