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미국 플라스틱병 시장동향
  • 상품DB
  • 미국
  • 애틀랜타무역관 이상미
  • 2025-07-01
  • 출처 : KOTRA

식음료 부문을 중심으로 연매출 3% 상승 추세

친환경 소비와 규제에 적합한 제품 개발 주목

지속가능한 제품과 틈새시장을 활용한 수출 가능성

상품명 및 HS 코드


플라스틱병의 HS 코드는 3923.30으로 여기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한 시약병(carboy)및 플라스크 병 등을 포함한 플라스틱제 생활용품이 해당된다. 플라스틱병은 음료와 조미료 등의 식품용기 및 자동차 용품을 포함한 화학제품의 포장재로 주로 사용된다. 


시장 규모 및 동향


시장조사기관 IBIS World에 따르면, 미국의 플라스틱병 제조업의 매출은 식품과 음료부문의 꾸준한 수요로 인해 지난 5년간 연평균 3.0%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2025년 매출은 전년 대비 0.7% 증가한 172억 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에는 연평균 약 2.0%씩 증가하여 2030년까지는 188억 달러 매출이 예상된다. 플라스틱병이 사용되는 품목별로는 음료수병이 전체 매출의 43.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조미료 등의 음식을 담는 병이 30%를 차지하고 있다. 이외에도 샴푸 및 세제등을 포함하는 가정용품을 위한 플라스틱병이 13.8%, 자동차 및 산업제품 용기로 사용되는 플라스틱병이 13.1%를 차지한다. 


<2025년 주요 품목별 플라스틱병 매출 점유율>

[자료: IBIS World]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음료수 용기는 최근 미국 소비자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점차 유리나 금속 같은 재사용이 가능한 용기를 선택하고 플라스틱을 사용을 줄이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제조업체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McKinsey & Company). 이와 같은 변화에 코카콜라, 펩시, 네슬레등 주요 음료 제조업체는 새로운 기술을 도입해 재활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용기 개발에 투자를 늘리고 있다. 균열과 얼룩, 악취를 방지할 수 있는 트리탄 코폴리에스테르 혹은 폴리프로필렌 등의 재질을 사용해 고품질의 플라스틱병을 제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고급 플라스틱병은 여러번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씨 180도까지 견딜 수 있는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Hot-Fill 기술의 발달로 뜨거운 식음료도 안전하게 담을 수 있도록 만들어 유리병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노력을 쏟고있다.


필 기술은 플라스틱병 시장의 두 번째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식품 용기에도 큰 편리성을 제공한다. 제품과 용기를 모두 높은 온도에서 멸균할 수 있기 때문에 산성 식품도 담을 수 있으며, 냉장 보관 없이 배송도 가능하다. 식품용 플라스틱병 부문에서는 쥐어짤 수 있는 플렉시블 (Flexible) 플라스틱병을 개발해 조미료 부문에서 편리성을 제공해 유리병과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가정용품을 위한 플라스틱병 시장은 미국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청소용품과 개인 위생용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가정용품 구매는 온라인 쇼핑이 증가하고 있어 기업들은 배달에 적합하도록 변조 방지와 누수 방지 용기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연 매출 22억 달러를 기록하는 자동차 및 산업제품 용기 시장은 자동차 수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자동차 수요는 자동차 오일, 부동액, 와이퍼액 등 플라스틱병으로 판매되는 제품의 수요도 함께 늘어나기 때문이다. 시장조사기관 JD POWER에 따르면 2025년 미국에서 약 120만대의 신차가 생산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나, 인플레이션에 따른 소비 지출 감소와 경기 둔화에 따른 여행 감소로 어려움을 맞고 있다.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2024년 미국의 플라스틱병 총수입액은 약 1억 1,980 달러로, 전년 대비 12.33% 증가했다. 주요 수입국별로는 중국, 캐나다, 멕시코가 상위 3개국을 차지하며, 전체 수입의 70% 이상의 비중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풍부하고 저렴한 노동력과 정부 인센티브, 낮은 운송비 덕분에 미국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해 오랫동안 미국 시장의 주요 수입국으로 자리잡았다. 2위와 3위를 차지하고 있는 캐나다와 멕시코는 지리적 근접성과 미·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에 따른 무역상 이점을 기반으로 성장세(각각+13.26%, +18.76%)를 보이고 있다. 한편, 수입국의 4위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은 전체 6% 미만의 점유율이지만 전년대비 24.4%의 증가를 보이며 주요 수입국 가운데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플라스틱병 시장은 저렴한 수입제품의 대한 수요가 높다. 코카콜라의 플라스틱병은 대부분이 저렴한 노동력을 가진 아프리카,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다. 완성품뿐만 아니라 플라스틱병 제조에 필요한 폴리에틸렌 및 폴리 프로필렌 수지와 같은 원자재를 중국에서 주로 수입해오고 있다. 그러나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고관세 부과 정책으로 중국산 원재료와 중동산 석유화학 원료 등의 원자재 비용이 증가하고 있어 미국 기업들은 공급처를 변경하고 재고를 비축하며 국내 생산에 투자하고 있다. 이는 2025년 수입에 큰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플라스틱병 수입 현황(HS Code 3923.30 기준)>

(단위: US$ 십만, %, %)

순위

구분

수입액

점유율

(2024)

증감율

(23-24)

2022

2023

2024

 

전체

1,253

1,066

1,198

100

12.33

1

중국

386

317

373

31.11

17.46

2

캐나다

358

310

352

29.35

13.26

3

멕시코

121

120

143

11.90

18.76

4

한국

64

57

71

5.89

24.40

5

대만

58

49

41

3.42

-16.57

6

독일

26

20

22

1.81

11.28

7

베트남

18

15

21

1.78

45.99

8

도미니카공화국

21

16

19

1.63

18.20

9

프랑스

25

18

18

1.49

-1.93

10

오스트리아

21

17

17

1.43

-18.27

[자료: Global Trade Atlas]


경쟁 동향


미국 플라스틱병 제조업은 지속적인 인수합병으로 인해 다국적 대기업이 소규모 지역 제조업체를 인수해 시장 범위를 확장하고 더 큰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면서 시장의 집중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현재까지는 주요 3개사가 전체 시장의 25% 미만을 점유하고 있는 구조이다. Graham Packagins은 펜실베니아에 본사를 둔 기업으로약 2,904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여러 음료 및 식품, 가정용 및 산업용 화학제품의 용기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며 플라스틱병 제조업에서 전체 산업 매출의 약 10.9%(18억 2,350만 달러)를 차지하고 있다. 2028년까지 에너지 사용량을 25% 감소할 목표를 설립하고 추진 중이며, 내구성이 뛰어난 경량 제품과 재사용 가능한 제품 개발 등으로 폐기물 감소에 집중하고 있다. 2025년까지 모든 제품을 100% 재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중이며, 2030년까지는 회사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30% 감축할 예정이다.


Plastipak Holdings는 미시간에 본사를 두고 있는 회사로 2025년 매출액 13억 8,130만으로 전체 산업 매출의 약 8.3%를 차지한다. 시장점유율은 10% 미만이지만 높은 수익과 매출 성장률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는 기업이다. 2016년에는 Evolve Polyers 사를 인수했고, 2022년에는 룩셈부르크와 스페인에 재활용 공장을 설립하는 등 유럽 사업 확장에 나서고 있다. 전체 산업 매출의 5.8%를 차지하고 있는 Loews는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약 12,05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Loews는 소규모 업체 인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017년 Altium Packing을 인수하고 2019년에는 Altium Packaging이 Tri-State Distribution Inc와 Sonic Plastics Enterprises를 인수했다. 


<미국의 주요 플라스틱 제조사>

 

Graham Packaging Co

Plastipak Holdings

Loews Corp

매출(US $, 백만)

1,823.5

1,381.3

965.6

이익(US $, 백만)

139.1

110.8

39.5

직원 수(명)

2,904명

4,000명

12,050명

생산업계 점유율(%)

10.6 %

8.0 %

5.6 %

[자료: IBIS World]


유통구조


플라스틱병 제조사와 플라스틱병을 활용해 제품을 완성하는 회사(음료, 식품, 가정 및 산업용 화학제품 제조사)간 B2B 거래가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자체 플라스틱병 제조사를 설립하는 식음료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PepsiCo는 비용 절감 및 운영 효율성을 위해 자체 플라스틱병을 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수직통합 전략은 비용절감과 함께 병생산을 자체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재활용 소재와 경량 디자인 등의 혁신을 빠르게 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코카콜라도 100% 재활용 PET 병 생산을 내부에서 할 수 있도록 투자해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였다. 생수업계 대기업인 Niagara Bottling은 자체 음료 브랜드를 위한 플라스틱병을 생산할 뿐만 아니라, 외부 공급용으로도 생산하고 있다.


플라스틱병을 미국으로 판매하고자 하는 수출업체의 경우는 미국 내 식음료회사, 화장품 회사, 화학 회사 등과 직접 계약을 통해 판매하는 것이 통상적이며, 이 경우에는 고객사의 브랜드에 따른 디자인으로 생산하는 OEM 방식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경우, 현지 유통업체를 통해 수출계약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인증 및 규제


식음료와 제약, 화장품등에 사용되는 플라스틱병은 미국 식약청(U.S. FDA)의 인증을 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식료품 용기는 식품 접촉 안전성을 입증하는 FDA 21 CFR 177등이 필요하고, 의약품의 경우에는 제약 등급 기준에 따라 안정성 시험에 해당하는 USP <661>, <671>, <381> 등을 통과해야 한다. 


최근에는 주에 따라 플라스틱병에 재활용이나 환경 규정을 요구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캘리포니아는 이러한 환경 규제에 가장 적극적인 주 가운데 하나로 2022년 6월에 제정된 SB 54 법안(Plastic Pollution Producer Responsibility Act)을 통해 2032년까지 일회용 플라스틱 포장을 25%까지 줄이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으며, 플라스틱 재활용을 2028년까지 30%, 2030년까지는 65%까지 의무화하고 있다. 또한, 이 법안에는 생산자가 폐기물 수거와 재활용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생산자 책임 확대(EPR,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가 포함된다. 뉴저지주에서도 가공식품 포장 용기 의무 사용법(P.L. 2021, c. 391)을 제정해 2024년부터 뉴저지주 내 유통되는 플라스틱 음료 용기는 최소 15%의 재활용 물질을 함유해야 하며 매3년마다 5%씩 증가해 2045년까지 50% 함유를 의무화했다. 


시사점


최근 미국 플라스틱병 시장은 환경규제와 지속 가능성에 대한 압박을 받고 있다. 플라스틱 오염과 미세 플라스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자제하고 젊은 층을 중심으로 텀블러 인기가 높아지면서 플라스틱 수요 감소를 초래하고 있다. 환경 및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와 규제 압력으로 제조업체들은 재활용 PET 병, 생분해성 플라스틱, 경량 디자인 등 지속 가능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특히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는 혁신은 생분해성 및 섬유 기반의 플라스틱병 개발이다. 재생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고 제품을 완전히 재활용하거나 퇴비화할 수 있도록 생산해 플라스틱 오염을 줄이고 환경규제에도 부합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우리 수출기업들은 이러한 시장변화를 감지하고 지속 가능한 플라스틱병 생산기술에 주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일반 식음료 용기뿐만 아니라 제약 포장, 퍼스널 케어 및 화장품, 특수 음료 및 친환경 용기 등의 틈새 시장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러한 틈새 시장에서는 독특하고 실용성있는 디자인과 브랜드 맞춤화, 염격한 규정 준수, 건강 소비와의 연계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산소, 습기, 빛 등을 차단해 용기내 제품을 보호하는 기술을 활용한 플라스틱 용기는 유통기한을 늘리고 지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어 제약 및 개인 위생용품, 각종 화학제품 포장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미국 플라스틱 용기 시장의 최신 트렌드와 규제에 대한 정보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플라스틱 산업 협회(Plastics Industry Association), 플라스틱 가공업체 협회(Manufacturers Association for Plastics Processors)등을 통해 미국 플라스틱 제품 규정 및 관련 무역 박람회 정보등을 얻을 수 있다. 


더불어, 생산자 책임이 확대되는 규제 속에서 미국 내 플라스틱 용기 사용업체의 규제 이행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수출기업이 더욱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다. 재질 인증, 재활용 설계, 탄소 배출 감소 정보 등을 명확히 제공할 수 있도록 사전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단순 공급업체를 넘어 규제 대응이 가능한 파트너로서의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 미국 시장 진출에 주요한 전략이 될 것이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IBIS World, McKinsey & Company, 관련 기업 홈페이지, KOTRA 애틀랜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플라스틱병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