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애완용품 전문 유통사가 전하는 중국 펫 시장 인사이트
  • 현장·인터뷰
  • 중국
  • 톈진무역관
  • 2025-07-02
  • 출처 : KOTRA

중국 Z세대를 타깃으로 한 프리미엄 펫케어 수요 폭발적 증가

멍맥주, 멍와인 등 의인화된 국산 아이디어 반려식품에 주목

중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반려동물 식품 및 용품 시장 중 하나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도 중국 펫 시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24년 기준 중국 반려동물 산업 규모는 약 7000억 위안(한화 약 133조 원)에 달하며, 사료, 의료, 서비스 등 전 분야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도시 지역의 반려동물 소비 시장은 3000억 위안(한화 약 57조 원) 규모로, 전년 대비 7.5% 성장했다. 2025년에는 반려동물 산업 전체 규모가 8114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전년 대비 15% 성장), 아이미디어컨설팅(艾媒咨询)에 따르면 2028년에는 11000억 위안을 돌파하고, 2030년까지는 세계 최대의 반려동물 식품·용품 시장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반려동물 산업 규모 추이>

(단위: 억 위안)

[자료: 아이미디어컨설팅(艾媒咨询)]

 

중국 반려동물 산업에서는 식품과 의료 부문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신규 서비스 산업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반려동물 식품은 전체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며, 의료 산업은 약 28%를 점유하고 있다. 사료와 의료 중심의 시장 구조 속에서, 반려동물을 위한 다양한 신서비스 시장도 빠르게 부상 중이다. 아이미디어컨설팅(艾媒咨询)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반려동물 미용, 데이케어, 장례 서비스 시장 규모는 2023년 대비 50% 이상 증가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반려동물 미용 및 데이케어 서비스>

[자료: 샤오홍슈(小红书)]


중국 반려동물 시장의 주요 소비층은 20~35세의 청·장년층이며, 특히 Z세대(2000년대 출생)가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중국에서 새롭게 반려동물을 기르기 시작한 인구 중 Z세대의 비율은 14.1%, 전년 대비 인원수가 39.5% 급증했다. 이들은 정성은 다하되 가성비를 중시하는, 즉 편하게 반려동물을 기르려는 게으른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Z세대는 반려동물을 세심하게 키우면서도 실용성과 가성비를 추구하는 대표적인 애완용품 소비층으로, 자동 급식기나 스마트 화장실 등의 제품을 주로 소비하고 있다. 또한 2024년 기준 반려동물을 기르는 중국인 중 30대가 41.2%를 차지하며, 이들은 과학적 사육을 중시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가장 활발히 이용하는 계층이자, 반려동물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최대 수요층으로 부상했다.

 

<반려동물 자동 급식기, 스마트 화장실>

[자료: 샤오홍슈(小红书)]

 

69, KOTRA 톈진무역관은 온라인 화상 미팅을 통해 반려동물 식품 및 용품 전문 수입업체 WUXI BUBU 사의 대표 HUO RAN 씨를 인터뷰했다.

 

<인터뷰 대상자 개요>

기업명

WUXI BUBU PET CLUB CO., LTD.

대표자

MR. HUO RAN

기업 소개

글로벌 프리미엄 애완식품·용품 수입 및 유통사로 미국·유럽·일본·한국 등 여러 국가의 인기 애완용품 브랜드와의 독점 유통 계약 체결 중.

·오프라인 유통망 및 애완 식품 물류 채널 보유 중이며,

마케팅·물류·A/S 등 애완용품 유통 솔루션 제공

화상 미팅 화면

[자료: KOTRA 톈진무역관 촬영 및 정리]


Q1. 반려동물과 관련된 사업을 선택하신 이유는 무엇인가요?

A1. 최근 1인 가구의 증가와 반려동물 양육 문화의 확산으로 중국 반려동물 시장은 연평균 20% 이상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Z세대를 타깃으로 한 프리미엄 펫케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미래 전망이 매우 밝다고 판단했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장쑤성 우시시(无锡市)에도 강아지나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이 많은 편입니다. 이러한 지역적 특성도 제가 이 분야를 선택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Q2. 한국산 반려동물 식품과 용품을 많이 구매하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2. 한국산 반려동물 제품을 선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품질에 대한 신뢰도와 트랜드 주도력 때문입니다. 한국은 식품 안전 기준이 세계적으로 높은 편이며, 반려동물 식품 역시 이러한 기준을 따르고 있어 신뢰할 수 있습니다. 저희가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한국 제품을 수입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반려동물 보호자들이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는 제품을 공급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한국 기업은 건강 관리, 편의성, 창의성을 고루 갖춘 차별화된 혁신 제품을 개발하는 역량이 뛰어나, 중국 본토 제품들과 비교했을 때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습니다.

 

Q3. 한국산 반려동물 식품은 중국의 엄격한 수입 규정들로 인해 유통이 어렵다고 들었습니다. 관련 애로사항은 어떻게 극복하고 계신가요?

A3. 반려동물 식품은 중국 세관에서 동물 사료로 분류되며, 중국 세관에서 사전 승인을 받은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만이 정식으로 수출이 가능합니다. 이 절차가 매우 까다롭고,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도 많기 때문에, 많은 한국 기업들이 중국 시장 진출을 주저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현재 조건을 갖춘 기업 제품을 먼저 홍콩으로 수입한 후, 주하이시(珠海市)를 통해 통관해 중국 본토로 유통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Q4. 한국에서 주로 어떤 제품을 소싱하고 계신가요?

A4. 저희는 사료, 고양이 모래, 모발 케어 용품 등 재구매율이 높은 상품을 주로 취급하고 있습니다. 재구매율이 높은 제품은 고객을 유지하고 유치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현지 시장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투자는 브랜드 인지도 형성에 매우 중요한데, 1회 구매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제품 위주로 판매할 경우, 마케팅 투자 대비 효율성이 낮아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Q5. 한국 브랜드 및 기업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고 계신가요?

A5. 한국 브랜드는 상상력이 풍부하고 제품 개발 능력이 혁신적입니다. 아시아권 반려동물 용품 시장의 최신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제가 직접 접촉한 일부 한국 기업들은 중국 시장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 듯합니다. 중국 현지 전시회에 참가하긴 하지만, 대부분의 목적이 중국 바이어 발굴보다는 중국을 방문한 해외 바이어 대상 홍보에 집중된 경우가 많습니다. 제품 소개 자료도 중국어로 된 버전은 드문 편입니다. 최근 몇 년간 상하이에서 개최된 아시아 펫 쇼에 한국관이 구성된 적이 있었는데, 일반적으로 저희 같은 기업은 전시회에서 판촉 및 판매를 적극적으로 진행하지만, 한국 기업은 단순 전시에만 그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 기업이 중국 시장을 회피하는 이유로는 지식재산권 침해 우려, 가격 경쟁력 부족 등이 있는 듯합니다. 이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일부 브랜드는 OEM 생산을 통해 산둥성 등 중국 현지에서 제품을 생산하기도 합니다.


Q6. 최근에는 어떤 제품에 주로 관심을 두고 계신가요?

A6. 최근 저희가 가장 주목하고 있는 제품은 한국의 의인화제품군입니다. ‘의인화제품이란 반려동물이 먹고 사용하는 상품을 사람의 것과 동일한 형태나 콘셉트로 만든 제품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 식품을 사람 음식처럼 디자인한 제품들이 대표적이며, 요즘 한국에서 인기가 높은 강아지 소주’, ‘강아지 막걸리’, ‘강아지 콜라’, ‘강아지 껌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당연히 강아지 주류에 알코올 성분은 없습니다. 또 저희는 디자인이 예쁜 식기, 의류, 편리성을 강화한 용품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통조림 캔용 실리콘 뚜껑 같은 제품이 최근 저희가 눈여겨보고 있는 편의성 제품 중 하나입니다.

 

<의인화(拟人化) 된 반려동물 식품 사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0b486a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90pixel, 세로 955pixel

[자료: 인터뷰이가 제공한 제품 예시 이미지]

 

Q7. 한국 반려동물 식품 및 용품 기업에 제안하고 싶은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A7. 한국 제품의 최대 강점은 혁신적이라는 점입니다. 반려동물 용품을 K-, 한국 음식, 인기 만화 캐릭터 등 한국의 대표 문화와 결합하고, 포장 디자인에서부터 제품 콘셉트까지 문화적 특성을 강화하는 전략을 고민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제품 라인업의 다변화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계절 한정판, IP 콜라보 제품을 정기적으로 출시하면 브랜드 인지도 확대에 효과적일 것입니다.

 

시사점

 

중국 반려동물 시장의 인기 제품은 스마트화라는 흐름 속에 진화하고 있으며, 한국 제품은 이와 차별화된 의인화전략으로 시장을 공략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자동 급식기 같은 제품은 Z세대 소비자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사육 방식을 만족시키는 반면, 강아지 맥주 같은 의인화 제품은 소비자의 감성적 욕구를 자극하며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기 때문에, 중국 소비자에게는 큰 신선함으로 다가올 수 있다.

 

인터뷰를 진행한 H 씨는 KOTRA 톈진무역관과의 온라인 미팅에서 혁신성과 문화가 한국 제품의 강점임을 강조하면서, “한국 기업은 중국에 없는 독창적인 제품으로 브랜드를 알리고, 샤오홍슈(小红书), 더우인(抖音) 같은 중국의 SNS 플랫폼을 통해 젊은 고객층을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제품을 홍보한 후, 현지 OEM 공장과 협업해 제품 라인업과 생산량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방식이 중국 시장 진출에 더욱 유리하다라고 제안했다. 우리 반려동물 관련 기업들은 의인화창의적인 제품을 내세우는 전략으로, 스마트한 중국 반려동물 시장의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전략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자료: 아이미디어컨설팅(艾媒咨询), KOTRA 톈진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애완용품 전문 유통사가 전하는 중국 펫 시장 인사이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