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집트, 철도 산업 현대화로 국가 위상 변화 기대
  • 트렌드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문숙미
  • 2025-07-02
  • 출처 : KOTRA

이집트, 전 세계 6위 규모 고속 철도 프로젝트 추진

열차 제조 현지화를 통한 중동·아프리카 철도 산업 허브 구축 추진

이집트 철도 현대화는 관광, 물류 산업 활성화에도 일조할 것

이집트 철도 네트워크 구축 현황


ENR(Egypt National Railway, 이집트 국가 철도청)에 따르면 이집트는 영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개통한 철도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이집트 1848년부터 1854년까지 6년에 걸쳐 카이로와 알렉산드리아를 잇는 최초 구간이 건설됐고, 이후 수에즈 항구까지 확장됐다. 이 철도는 영국이 건설한 것으로 당시 유럽(특히 영국)과 인도 사이의 우편 및 승객 운송 용도로 사용됐다. 이후 1854년부터 1887년까지 이집트는 무역과 교통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철도 노선을 전국으로 확장했다.

 

ENR(이집트 국가 철도청)의 발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이집트의 총 철도 길이는 9570km로 전국 23개 이상의 도시를 연결하며 약 705개 역을 갖추고 있다. 이집트에 건설된 터널은 약 100개, 다리는 약 826개, 철도 건널목은 약 1332개 수준이다. 보유 열차 수는 약 793대로 승객용 객차 수는 약 3040량이고 이 중 에어컨을 갖춘 객차는 850량이다. 철도 운영 조직은 전국적으로 6개 지역본부에 9개 기술 섹터, 8개 계열사를 두고 있다.

 

이집트 철도 산업의 문제점

 

첫 번째는 노후화된 인프라다. 철도 노선의 상당 부분이 50년 이상 된 노후 레일 및 침목으로 구성돼 사고 위험이 크다. 두 번째는 안전 시스템의 미비다. 전자 신호 체계가 미비해 수동 시스템에 의존하고 있어 열차 간 충돌 및 인명 사고가 잦은 상황이다. 세 번째, 기관차 및 객차의 노후화로 인해 고장 빈도가 증가하며 운송이 지연돼, 수송 효율성이 저하된 상황이다. 네 번째는 철도 인프라 부재로 도시 간 연결성이 미흡해 주요 도시 간 물류 및 인적 이동 효율이 낮다. 마지막으로 ENR(이집트 국가 철도청)의 과도한 중앙 집중적 운영으로, 민간 참여가 부족해 철도 산업의 구조 및 운영이 비효율적이다.

 

이집트 철도 사고는 악명이 높다. 이집트 통계청(CAPMAS)에 따르면 철도 사고 건수는 2020년 898건, 2021년 978건, 2022년 1046건으로 증가했다. 사망자 역시 2020년~2022년까지 각각 296명, 405명, 410명을 기록했고, 상자는 각각 525명, 768명, 2022년 554명 수준이다. 현지 언론인 Egypt Today는 2018년 연간 1000건의 철도 사고가 일어나고 있으며 이는 유럽의 5배, 영국의 7배, 일본의 20배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1000건에 달하는 열차 사고 건수는 2022년까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이집트 철도 시스템의 문제점은 자국민은 물론 외국인 관광객으로부터 신뢰를 얻는 데 큰 어려움을 겪어 왔다. 수십 년 동안 열차 시스템의 안전과 보안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한 열차 충돌 사고는 승객과 화물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감소시켰다. 이와 더불어 촘촘하지 못한 철도 교통망은 이집트의 핵심 외화 수입원인 관광산업과 물류산업 발전에 저해 요인이 되고 있다.


<2020~2022년 이집트 철도 사고 추이>

(단위: 건, 명)


[자료: 이집트 통계청,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체 편집]


이집트 정부의 철도 현대화 정책 추진 동향

 

엘시시 정부는 산적한 철도 문제를 바로잡기 위한 계획을 수립했다. 2020년부터 정부는 승객 신뢰 회복, 화물 운송 개선, 관광 유치 및 향후 민간 및 해외 투자 활성화를 위한 조치로, 총 110억 이집트 파운드(약 3000억 원)를 배정해 총 191만 평방마일에 이르는 미개발 지역을 통과하는 철도 확장 사업을 진행 중이다. 또 교통부를 중심으로 기존 철도 노선, 건널목, 신호 시스템의 구조적 결함을 개선하면서 철도 플랫폼의 확장까지 실행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세계은행(World Bank)은 이집트의 철도 확장 및 개선을 위해 총 4억7000만 달러 중 1억3500만 달러에 달하는 융자를 승인했다(WBR, 2021). 이 자금은 선로, 장비, 자재 및 기존 시스템의 업그레이드와 현대화에 사용되고 있다. 세계은행 이외에 유럽투자은행(EIB),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프랑스개발청(AFD) 등 국제 금융기관들도 자금 지원에 참여하고 있다.

 

Egypt Today에 따르면, 2024년 이집트 철도는 매일 100만 명의 승객이 이용하고 있고, 화물은 연간 800만 톤이 운송되고 있다. 이집트 정부는 철도 분야의 현대화를 통해 2030년까지 일일 철도 이용 승객수를 200만 명까지 늘리고, 화물의 철도 운송량도 1300만 톤으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엘시시 대통령 체제하의 이집트는 부동산, 교통, 외국인 투자 분야에서 공격적인 개발 전략을 펼치고 있다. 철도망 현대화뿐만 아니라, 미개척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한 신규 철도 노선 확장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는 21세기 이집트 최대 규모의 개발 프로젝트로, 외국인 투자 유치, 기반 시설 건설, 관광 확대를 위한 핵심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집트 정부의 철도 개발 계획

 

이집트 정부는 Vision 2030의 일환으로 철도 산업을 국가 기반 인프라로 지정하고, 다음과 같은 4개 항목을 중심으로 개발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첫 번째, 열차 고장률 감소, 에너지 효율 향상, 여객 수송의 질 향상을 위해 신규 객차 1000대를 도입하고 기관차 1000대를 정비 및 교체한다. 두 번째, 도시 간 수송 시간 단축, 물류 경쟁력 제고, 관광 유입 증대를 위해 총 2000km 이상의 고속 노선 건설 및 300km/h급 운행 체계를 구현한다. 셋째, 열차 충돌 사고 방지, 운행 안전성 강화, 정시 운행률 제고를 위해 760km 구간에 중앙통제식 신호 시스템 및 전자 인터로킹을 도입한다. 넷째, 역사 및 철도 부속 인프라 개선을 통해 여객 편의성 향상, 장애인 접근성 개선, 사고 예방을 위해 20개 이상의 주요 역사 리노베이션, 철도 건널목(레벨 크로싱) 안전시설 설치를 확대한다. 

 

이집트 철도 프로젝트의 주요 트렌드

 

이집트 정부는 교통 부문 전체 개발을 위해 1조5000억 이집트파운드(약 294억 달러)를 배정했다. 이중 철도망 개발에 약 2240억 이집트파운드(약 43억9000만 달러)를 배정했다. 이 계획은 신규 교통수단과 신규 노선을 개설하는 것과 기존의 약 1만 km의 철도를 현대화하고 철도 인력 역량을 강화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집트 철도 산업의 특징은 고속철도 시장의 폭발적 성장, 아프리카 최초 고속철도 인프라 구축, 국제 개발금융기관 참여 증가(세계은행, EBRD, AfDB 등 자금지원 확대), 현지화(Localization) 정책 강화(차량, 신호 부품의 현지 제조 요구 증가), PPP(민관협력) 확대 지향(운영·유지보수 사업에 민간 부문 참여 유도), 기술 표준 고도화(ETCS, CBTC 등 유럽형 신호 시스템 채택) 등으로 말할 수 있다.

 

(1) 고속철도(HSR: Electric High Speed Rail) 구축

 

전 세계 6번째 고속철도 프로젝트이자 아프리카 최초의 고속철도 프로젝트로 총 예산은 230억 달러 이상이 소요된다. 총 길이 2000km, 정차역 60개로 구성된 3개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이동 시간을 절반으로 줄이며, 홍해와 지중해를 잇는다. 기차는 사막 위를 시속 250km로 달리며 카이로에서 후르가다까지의 이동 시간을 단 3시간으로 단축한다. 이 프로젝트는 2021년 독일의 지멘스 모빌리티, 이집트 오라스콤(Orascom) 건설, 아랍 계약자(Arab Contractors) 컨소시엄이 수주했다. 향후 이 고속철도의 운영 및 유지 보수는 독일 철도 회사 도이체반(DB)과 이집트 민간기업 엘-세웨디 일렉트릭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15년간 추진하는 것으로 이집트 정부와 계약을 체결했다.

 

첫 번째 노선인 그린 라인(Green Line)은 총 660km 길이로, 이집트 동부 홍해 연안의 아인 소크나(Sokhna)에서 출발해 신 행정수도를 거쳐, 카이로 남부와 스 옥토버시(6th of October City), 기자, 와디 엘나트룬(Wadi El-Natrun), 보르그 엘아랍(Borg El Arab), 알렉산드리아를 지나 최종적으로 지중해 연안의 마르사 마트루(Marsa Matrouh)에서 끝난다. 이 노선은 소크나와 마트루라는 두 대형 항구를 연결함으로써, 해안 간 수송로 역할을 해 육상 수에즈 운하라고 불리기도 한다. 여기에는 고속열차용 13개 역과 지역 열차용 8개 역, 총 21개 역이 포함된다. 설계는 시속 250km로 하고, 운행 속도는 시속 230km로 할 예정이다. 이 철도는 연간 최대 3000만 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으며 2027년 완공될 예정이다.

 

두 번째 노선인 블루 라인(Blue Line)은 이보다 더 긴 약 1100km 길이로, 카이로 인근의 스 옥토버시(6th of October City)에서 시작돼 나일강 서쪽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간다. 이 노선은 파윰, 미냐, 아시우트, 소하그, 카나, 룩소르를 거쳐, 수단 국경 근처의 아부심벨(Abu Simbel)에서 끝난다. 이 노선에는 이집트 남서부의 타슈카(Toshka) 및 수단의 와디 할파(Wadi Halfa)까지 확장하는 연장선도 추진되고 있다. 이 라인은 이집트 중부와 최남단을 연결하는 남북 간 대동맥 역할을 하며,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의 무역 루트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노선은 토목작업 및 부설작업이 진행 중이다.

 

세 번째이자 가장 짧은 노선인 레드라인(Red Line)은 총 225km로, 룩소르에서 시작해 홍해로 이어진다. 이 노선은 카나에서 동쪽으로 이동해 이스트 소하그, 후르가다, 사파가를 지나며, 이집트의 대표적인 홍해 항구이자 관광지 두 곳을 연결한다. 이 노선은 관광, 농업, 화물을 하나로 연결하며 국가 물류 네트워크의 핵심 구간을 형성한다. 이 노선은 2025년 착공해 2028년 완공할 예정으로 알려져 있다.

 

(2) 열차 개선 및 현대화

 

2023년 2월, 이집트 국가 정보청(Egypt State Information Service, SIS)의 발표에 따르면이집트 철도청(ENR)은 철도 기관차의 성능 강화를 위해 260대의 기관차를 신규 도입했고, 기존 기관차 172대를 현대화해 운행 효율성을 개선하고자 하고 있다. 

 

이집트 청(ENR)은 유럽 부흥 개발은행(EBRD)의 자금 지원으로, 2021년 11월 미국 와빗(Wabtec) 사와 2억4730만 유로 규모의 열차 100대 공급 계약과 1억9590만 달러 규모의 유지보수 계약을 체결했고, 2024년 4월에 열차 납품을 완료했다. 두 번째는 미국 프로그레스 레일(Progress Rail) 사와 EMD 모델의 신규 열차 50대 공급 계약을 체결했으며, 헨셜(Henschel) 모델 기관차 50대 현대화 및 추가로 41대 열차에 대한 전면 수리도 진행한다. 총 계약액은 4억6610만 달러이며, 141대 기관차에 대한 15년간 유지보수 계약도 포함했다. 세 번째는 미국 GE(General Electric)와 6억2만 달러 규모의 110대 신규 열차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 이 계약은 15년간 열차 81대 대한 수리와 부품 공급을 포함하고 있다. 2025년 4월까지 110대의 신규 열차를 납품했고 기존 열차 62대에 대한 수리를 완료했다.

 

또한 2019년 스페인 회사 탈고(Talgo)와 1억5700만 유로 규모의 6대의 고급형 고속열차인 탈고(Talgo) 공급 계약을 체결하여 획기적인 변화를 이뤘다. 6대의 고속열차는 모두 15량으로 1등석 5량, 2등석 8량, 레스토랑 1량, 기관차 1량으로 구성돼   160km  하다.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해 무게를 줄여 연료 소비 감축이 가능하며, 녹에 강해 물 청소에도 부식되지 않아 수명이 연장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럽의 고급 열차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전체 열차에 에어컨이 설치돼 있으며, 1등석에는 각 좌석에 열차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 있고, 2등석에는 중앙스크린이 설치돼 있으며, 각 객차에는 보안용 감시 카메라가 설치 있다. 2022년 5월, 카이로-알렉산드리아 노선에 승객 약 492명을 수용할 수 있고, 에어컨이 설치된 탈고 열차가 시범 운행됐고, 2023년부터 본격 운영됐다. 


또한 이집트 정부는 2021 탈고와 2억8000만 유로 규모의 침대 열차 공급 계약 결했고, 이 계약에는 15년 간의 유지보수를 포함하고 있다. 스페인 정부는 계약금액 중 2억 유로에 대해 이집트 정부에 40년간 우대 금융을 지원하는 조건으로 계약을 체결했다. 이 열차는 2022년 12월부터 카이로-룩소르 노선 첫 운행을 시작했으며, 밤 10시에 카이로를 출발해 아침 8시에 룩소르에 도착하는 일정이다. 일등석 5량, 이등석 1량, 침대차 1량, 기관차 1량으로 구성됐다.

 

<주요 철도 건설‧열차공급‧유지보수 계약내역>

No.

참여기업(국가)

내용

예산

1

지멘스

(독일)

• 2000km에 4개 고속철도 건설 계약(‘24.5월)

 ① 수에즈 아인 소크나~신행정수도~카이로~기자~

     스 옥토버시티~알렉산드리아~뉴알라메인 연결

 ② 알렉산드리아 항구~마트루의 마고브 연결

 ③ 후르가다 사파가~ 케나 및 룩소르와 연결

 ④ 식스 오토버시티~룩소르-아스완 연결

• 230억 달러(360억 EGP)

 * 15년간 유지보수 포함

 * 컨소시엄에 참여한 이집트 기업이 프로젝트 시작 후 6년차부터 14년간 지급

2

DB

(독일)

 

• 고속철도 네트워크 관리 및 운영 예비 계약(‘24.8월)

 * NAT(이집트 터널청), 독일 철도 회사 도이체반(DB), 엘-스웨디 일렉트릭(이집트 민간기업) 컨소시엄 간 계약

 * 15년간 유지 보수 조건, 15년 추가 옵션 포함

-

3

Talgo

(스페인)

• 카이로~룩소르 노선에 침대 열차 운행(’22.12월)

 * 일등석 5량, 이등석 1량, 객차 1량, 기관차 1량

 * 15년간의 유지 보수 포함

• 2억8000만 유로

 * 스페인 정부가 2억 유로 우대 금융지원

4

PRL

*Progress Rail   Locomotives

(미국)

• 지방 철도 현대화 계약 3건 체결(‘25.4월)

 ① 디젤 전기 기관차 1000대 업그레이드

 ② 15년간 141대의 열차에 대한 예비 부품 공급

 ③ 열차 유지 보수에 대한 5년 기술 지원(5년 연장 가능)

2억3200만 달러

 ① 1억8500만 달러

 ② 4200만 달러

 ③ 500만 달러

 5

탈레스

(프랑스)

• 탄다-세드파-알오우사이랏 등 3곳에 철도 차량 납품

 * 알렉산드리아~카이로~아스완 노선 회랑의 일부

-

프랑스 개발청

(AFD)

• 탄타-만수라-다미에타 노선(119km) 신호 및 통신시스템 개발 계약(‘22.11월)

 * 이집트 북부의 18개 역으로 구성된 탄타-만수라의 54km 복선 철도와 21개 역으로 구성된 만수라-다미에타의 64km 단일 노선

-

[자료: 현지 언론 보도 자료 종합,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체 편집]

 

(3) 철도 신호 시스템 현대화

 

기존 이집트의 철도는 총 971km에 이른다. 정부는 18억5000만 이집트파운드(약 3627만 달러)의 비용을 투자해 5개의 철도 노선에 신호 시스템 개선을 추진했다. 한국 현대로템도 룩소르에서 철도 신호 시스템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이집트의 주요 신호 시스템 개선 프로젝트>

No.

구간(길이)

(국가)** 계약자

시공사

예산출처

예산

공정률

1

카이로–알렉산드리아

(208km)

(프)탈리스(Thales)

(이)GTS

세계은행

1억340만 유로 + 

4억5210만 이집트파운드

100%

2

베니수웨프-아시우트(250km)

(프)알스톰(Alstom)

(이)Hassan Allam Sons

세계은행

6660만 유로

3억4820만 이집트파운드

100%

3

아시우트-나그함마디

(181km)

(프)탈리스(Thales)

(이)GTS

세계은행

8650만 유로+ 

8억4600만 이집트파운드

94%

4

벤하-포드사이드

(214km)

(독)지멘스(Siemens)

(이)Hassan Allam Sons 및 GTS

KFAED

(쿠웨이트 아랍 경제개발 펀드)

6100만 유로

3억9950만 이집트파운드

+ 870만 스위스 프랑

89%

5

나그함마디–룩소르

(118km)

(한)현대로템& 

대아티아이 컨소시엄

(이)Orascom

한국

수출입은행

1억 1500만 달러

35%

* EGP 1 = USD 0.02 (2025.06.18.)

** 국가 : (프) 프랑스, (독) 독일, (한) 한국, (이) 이집트

[자료: 이집트 교통부 공식 홈페이지 및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체 조사]

 

(4) 철도 제조의 국산화 추진

 

이집트 교통부는 철도 분야의 현대화를 위해 글로벌 기업과 협력하되, 글로벌 기업의 현지 열차 제조를 강조하고 있다. 정부는 철도의 국내 생산을 통해 외화 유출을 최소화하고 이집트 노동자에게 기술 이전을 유도해 장기적으로 과잉 생산분을 중동‧아프리카 국가로 수출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철도 제조의 메카는 포트사이드가 될 예정이며 대표적으로 8개의 글로벌 기업과 협력해 철도 분야의 다양한 공장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

 

철도 제조의 현지화를 위해서 이집트 국영철도산업회사(NERIC), 이집트 국립은행(NBE), 상업국제은행(CIB), 아랍아프리카국제은행(AAIB)이 협약을 맺고 이스트 포트사이드에 30만 평방미터에 달하는 제조시설을 건설 중이며 NERIC의 프로젝트 매니저인 아메드 엘 모티는 2025년 중반까지 완공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때 3단계로 나누어 제조할 예정으로 첫 번째 단계에서는 철도 및 지하철 차량을 생산하고, 2단계에서는 모노레일, 고속 열차, 경전철을 생산할 예정이며, 3단계에서는 노후 지하철 및 철도 차량 개조에 주력할 계획이다. 우선 첫 단계에는 42억 이집트파운드(약 8300만 달러)가 투자됐다.

 

이 제조시설이 가동되면 현대로템과 협력해 에어컨 객차 320량으로 구성된 지하철 열차 40대를 생산해 카이로 지하철 2호선과 3호선에 공급할 예정이다. 또한 국제 운송 회사의 참여로 철도 객차 500량을 현지에서 제조 및 공급하는 계약도 마무리 단계에 있다.

 

이 외 글로벌 기업들도 자체 공장을 세우고 현지 생산을 계획하고 있다. 철도 및 열차의 현지 생산이 순조로이 진행된다면 이집트는 중동‧아프리카에서 열차를 제조하는 최초의 국가가 될 것이다.


<철도 분야의 국내 생산 활성화 내역> 

No.

협력 기업

제조공장

생산 제품

비고

1

(프랑스) 알스톰(Alstom)

• 부르즈 알-아랍(Burj Al Arab) 지역에 66페단(약 27만7254m²) 규모의 산업단지 설립 예정

• 철도 시스템 및 부품 

  * 신호기, 건널목 장비, 전기 회로판, 제어 시스템, 전선 등

• 메트로, 트램, LRT, 모노레일, 고속열차 등 철도차량

• 물류 단지도 마련할 예정

2

(스페인) 탈고(Talgo)


• 베니수에프(Beni Suef)주의 콤 아부 라디(Koum Abu Radi)에 10만5020m² 부지의 공장 설립

1~2계에 걸쳐 각 50량씩 총 100량의 객차 생산

• 국산화 비율 45% 목표

3

(스페인) 콜웨이COLWAY)

• 이집트 철도청 산하 콤 아부 라디(Koum Abu Radi)에 3000m² 규모의 공장 설립

* 향후 1만 m²로 확장 계획

• 철도 차량 및 대중교통 수단의 부품

• 열차/기관차 유지보수 

• 향후 열차 수출 목표

4

(이집트) 린자(Linza)

• 베니수에프(Beni Suef)주의 콤 아부 라디 산업단지에 약 3만3606m² 규모의 공장 설립

• 철도 부품 및 물 펌프

• NERIC 철도 공장 운영

5

(오스트리아) 

푀스트알파인(Voestalpine)

• 철도 분기기(Turnout) 생산 공장 설립

• 철도 분기기

• 압바시아(Abbassia) 작업장 관리, 운영 개발

6

(이집트) 수에즈철강(Suez Steel)

• 철도 레일 및 부품 생산 공장 설립 중

• 연간 80만~100만 톤의 철도 레일 및 중량 부품 제조 예정

-

[자료: 현지 언론(Ahram, Egypt Today, Daily Business 등) 종합]

 

향후 추진 예정인 프로젝트

 

Meed에 따르면, 이집트의 철도 관련 프로젝트는 향후에도 다수 추진될 예정이며 대표적인 10개 프로젝트는 아래와 같다.

 

<향후 추진 예정인 상위 10개 철도 분야 프로젝트>

No.

프로젝트명

발주처

예산(안)

(US$ 백만)

입찰연도

(완공예정)

진행 단계

1

로베이키(Robeiky)- 텐스 오브 라마단(10th of Ramadan)-벨베이스(Belbeis) 철도 건설 

철도청(ENR)

244

2025(2027)

메인 계약 PQ

2

카이로-알렉산드리어 철도 시스템 및 철도 건설

철도청(ENR)

450

2025(2027)

입찰 평가

3

카이로-알렉산드리아 무역 물류 개발 : LOT 1

철도청(ENR)

379

2025(2027)

입찰 평가

4

카이로-알렉산드리아 무역 물류 개발: LOT 2

철도청(ENR)

428

2025(2028)

입찰 평가

5

카이로 알렉산드리아 무역 물류 개발

철도청(ENR)

973

2025(2028)

연구조사

6

알타이 알 마우드(Atay Al-Baroud) 복선 

철도청(ENR)

453

2026(2028)

연구조사

7

시와(Siwa)-마트루(Matruh)-젤고우브(Gergoub) 철도

철도청(ENR)

500

2026(2028)

연구조사

8

임바바(Duplication of Imbaba) - 멘헤야(Mansheya) - 알렉산드리아(Alexandria) 철도

철도청(ENR)

600

2026(2028)

연구조사

9

콸유브(Qalyu)-탄타(Tanta) 철도 라인

철도청(ENR)

318

2027(2029)

연구조사

10

메르사(Mersa)-마트루(Matruh) Benghazi(벵하지) 철도

이집트교통부 & 리비아교통부

1,000

2026(2029)

입찰 평가

[자료: Meed projects, ‘25.5월 기준]

 

기관차 및 부품 수입 동향

 

이집트는 최근 자국 내 철도 관련 제조업을 육성하고 있다. 특히 현지 열차 공급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글로벌 기업들의 현지 열차 생산을 강조하고 있다. 현재 이집트 내에는 철도 관련 부품 산업이 발달해 있지 않아 대부분의 부품을 수입해 현지에서 조립 생산부터 시작하는 단계다. 


2024년 기준 이집트의 철도용 기관차 및 관련 부품 수입은 260억 달러 수준이다. 국가별로는 스페인이 1위로 96억8300만 달러, 미국이 2위로 56억5300만 달러, 한국은 3위로 54억8700만 달러 수준이다. 주로 프로젝트에 낙찰된 기업의 본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 외 주요 수입국은 중국, 캐나다, 헝가리, 독일, 영국, 폴란드, 이탈리아 순이다.

 

<최근 3년간 HS CODE 8607(철도용 기관차 및 부품)의 이집트 국별 수입 동향>

(단위: US$ 백만, %)

순번

국가

2022년

2023년

2024년

수입액

증감률

점유율

수입액

증감률

점유율

수입액

증감률

점유율

전 세계

114,470

-7.9

100

27,405

-76.1

100

26,059

-4.9

100

1

스페인

1,068

-

0.9

276

-74.2

1.0

9,683

3,408.3

37.2

2

미국

18,800

-52.2

16.4

3,330

-82.3

12.2

5,653

69.8

21.7

3

한국

58,649

173.2

51.2

9,599

-83.6

35

5,487

-42.8

21.1

4

중국

5,581

233

4.9

3,853

-31.0

14.1

1,102

-71.4

4.2

5

캐나다

305

125.9

0.3

471

54.4

1.7

856

81.7

3.3

6

헝가리

1,311

-78.2

1.1

968

-26.2

3.5

602

-37.8

2.3

7

독일

2,498

0.4

2.2

2,889

15.7

10.5

517

-82.1

2.0

8

영국

131

-

0.1

632

382.4

2.3

458

-27.5

1.8

9

폴란드

1,170

434.2

1.0

29

-97.5

0.1

377

1,200

1.4

10

이탈리아

1,337

-64.6

1.2

551

-58.8

2.0

368

-33.2

1.4

* HS CODE 8607: 철도용이나 궤도용 기관차나 차량의 부분품

[자료: IHS Markit]

 

이집트 전문가 인터뷰: 이집트 진출에 필요한 것들

 

KOTRA 카이로무역관이 이집트 철도청(ENR) 프로젝트 중앙부서장인 모스타파 타이아(Mostafa Tayea)와 진행한 인터뷰에 따르면, 이집트 철도청이 발주한 철도 프로젝트에는 높은 전문성과 기술력을 갖춘 한국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나그 함마디-룩소르(Nagh Hammadi–Luxor) 구간의 철도 신호 및 통신 시스템 현대화 사업에 한국철도공사(KNR), 에이알텍(ARTech), 현대로템(Hyundai Rotem) 등이 참여하고 있다. 또 이 라인과 연결되는 룩소르-아스완-하이댐(Luxor–High Dam) 구간의 신호 시스템 현대화 프로젝트의 최종 입찰에도 한국기업이 유력 후보로 참여하고 있고, 조만간 최종 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다.

 

모스타파 씨는 ENR의 입찰 평가에서 한국 기업들은 긍정적인 평판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경쟁력 있는 가격 제안과 프로젝트 실행 중 예산 준수 능력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구체적으로 모스타파 씨가 경험한 한국 기업들의 신호 시스템은 품질이 우수해 신뢰도가 높다고 전했다. 또한 유럽 기업들이 구축한 시스템보다 현지 상황에 대한 적응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즉 한국 기업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신호 시스템을 각 프로젝트 기준에 맞게 맞춤형으로 설계해 공급하고 있는 것이다. 이 신호 시스템의 구성 요소인 신호기, 궤도 회로, 선로 전환기, 연동 장치 등이 모두 프로젝트에 맞게 제공되고 있다. 

 

한국 기업과 관련해 한 가지 아쉬운 점은 하나의 프로젝트를 여러 기업에 나누어 입찰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라고 한다. 유럽 기업들이 광범위한 업무를 수행하는 데 반해 한국 기업들의 프로젝트 수행 범위는 좁은 편이다. 이집트의 입찰 기업 평가 체계에서는 프로젝트에 참여한 건수뿐만 아니라 각 프로젝트에서 수행한 업무 범위 역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여기고 있어 이로 인해 유럽 기업들이 입찰에서 더 유리한 경향이 있다고 전했다. 

 

시사점

 

이집트 철도 산업은 향후 10년간 꾸준히 성장하며 자국의 관광과 물류 산업 발전에 기여할 뿐 아니라 철도 분야의 중동‧아프리카의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한국기업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한국 기업은 그동안 높은 기술력과 풍부한 국제 협력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으며 현지에서 좋은 이미지를 쌓아오고 있다. 


이집트 철도 프로젝트 진출에 관심 있는 기업들은 철도 분야에 네트워크가 좋은 현지 파트너쉽을 구축하고 이집트 정부가 매력적으로 느낄 수 있는 금융 전략을 세우는 등의 진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현지 EPC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성해 진출하고, 이집트 정부의 예산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인 만큼 프로젝트 참여기업들이 각국의 프로젝트 금융을 활용해 입찰에 참여한다면 낙찰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또 진출 분야에 있어서도 철도 차량, 제동 시스템, 신호 및 전력시스템 등에 특화 수출하거나 O&M(운영·유지 보수) 분야 등 폭넓은 범위로 진출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반면 유의 사항은 입찰 시 현지화 비율 최소 40%를 요구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집트 관료제 및 입찰 지연 리스크에 대한 대비와 자금 조달 구조에 대한 이해(대출, 보증, ECA 등)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집트가 만성적인 재정 적자 구조를 지닌 만큼 환율 리스크에 대한 대비가 항시 필요하다.

 

 

자료: ENR, 통계청, SIS, 세계은행, Egypt Today, Ahram, 및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철도 산업 현대화로 국가 위상 변화 기대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