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프랑스 마스크팩 시장 동향
  • 상품DB
  • 프랑스
  • 파리무역관 곽미성
  • 2025-06-23
  • 출처 : KOTRA

천연성분, 유기농, 미니멀 트렌드 심화

프랑스 시장에서 주목받으며 꾸준히 성장 중인 K-뷰티

브랜드 인지도가 낮을수록 SNS, 인터넷 활용 마케팅 중요

상품명 및 HS code


기타 화장품류 중 마스크팩, HS code 3307.90

 

시장 동향

 

2024년 기준 프랑스의 스킨 케어 시장 규모는 약 377500만 유로로, 전년 대비 4% 상승했다. Euromonitor의 분석에 따르면, 2024년 대중적인 제품과 프리미엄 제품군 사이에 분명한 차이가 나기는 했지만, 시장 전반적으로 큰 성장을 이뤘으며, 특히 약국에서만 구매할 수 있는 피부과용 코스메틱 제품이 큰 인기를 끌었다.


스킨 케어 제품군별 시장 규모를 살펴보면, 페이셜 케어 제품 시장 규모가 296910만 유로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그다음으로 바디 케어(473만 유로), 스킨 케어 세트(216만 유로), 핸드 케어(116만 유로) 순으로 나타났다.

 

<프랑스 스킨 케어 제품 시장 규모 추이>

(단위: 백만 유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a44457f.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11pixel, 세로 416pixel

[자료: Euromonitor]

 

2024년 프랑스 스킨 케어 제품 시장에서 두드러진 트렌드를 살펴보면, 천연 성분과 유기농 제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됐고, 안티 에이징 시장이 성장했다.


안티 에이징 제품은 가치 측면에서 스킨케어의 가장 큰 하위 카테고리이며, 과학적 근거가 입증된 제품들이 선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안티 에이징 시장에서는 스키니멀리즘 트렌드도 발견되는데, 소비자들은 제품이 주장하는 결과가 보장된다면 기꺼이 고가의 제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스키니멀리즘(Skinimalism)’은 스킨과 미니멀리즘의 합성어로 최소한의 단순화된 제품으로 최대의 효과를 추구하는 뷰티 루틴 개념이다. 이 트렌드는 일상생활에 만연한 과소비를 줄이기 위해 소비 방식 전반에서 미니멀리즘이 부상하면서 떠오르고 있으며, 화장품에서도 마찬가지로 수많은 제품과 불필요한 스킨케어 등 과잉 소비에 반대하며 삶을 단순화하고 소비를 줄이려는 경향이다.


약국 제품은 오랫동안 프랑스 고급 스킨케어 시장의 중심에 있었고, 뷰티 전문점과 이커머스와 함께 2024년 큰 성장세를 보였다. 슈퍼마켓, 대형마트 등에서 판매하는 매스마켓 제품은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 프랑스 소비자들은 고급 제품의 경우 조언과 추천을 받을 수 있는 전문 매장을 선호하고, 이에 따라 세포라(Sephora) 등 뷰티 전문 소매업체는 웹사이트와 일부 매장에 ‘약국’ 섹션을 도입, 고객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합성 성분이 아닌 천연 성분을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의 인기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개인의 웰빙과 환경적 책임을 연결하는 것이 일상화되고 있으며, 많은 새로운 스킨케어 제품들이 지속 가능한 천연성분을 사용하면서 트렌드를 이끌어가고 있다. 관련해서 많은 브랜드가 자연주의 뷰티에 대한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섰으며, 계속 새로운 기술이 발표되고 있다. 한 예로 프랑스의 코디프 테크놀로지 나투렐(Codif Technologie Naturelle) 사는 사과 부산물에서 개발한 기능성 성분을 스킨케어에 사용해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고 매끄럽게 만드는 제품을 선보였고, 라보라투아 엑스팬사이언스(Laboratoires Expansceince)는 아마 씨에서 추출한 활성 성분인 가이알린을 개발해 피부 보호, 재생 및 강화에 사용했다.

 

프랑스 시장에 공고히 자리 잡은 K-뷰티

 

최근 몇 년 동안 한국의 스킨케어 제품은 프랑스 뷰티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았으며, 현재 가장 성장하는 틈새시장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가장 인기를 끈 품목은 BB크림과 토너 제품 그리고 패브릭 마스크다. 패브릭 마스크 제품의 인기는 현재도 계속되고 있으며, 현지의 많은 뷰티 매거진에서 다양한 기능의 마스크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최근에는 콜라젠 마스크가 인기를 끄는 추세다. 특히 틱톡 등 SNS에서 인플루언서들이 자기 전 K-뷰티 콜라젠 마스크를 하고 깨어났을 때 제품이 완전히 흡수돼 피부가 매끈해진 모습을 올리면서 수요가 많이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프랑스의 전문가들은 한국 화장품이 최근 몇 년 동안 ‘귀여운’ 이미지의 디자인으로 젊은 층에 주로 어필했다면, 현재는 더 효과적이고 혁신적인 제형을 갖춘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성공적으로 넘어오고 있다고 분석했다. 무엇보다 메이크업이나 교정보다 정기적인 피부 관리와 유지(스킨케어)를 중요하게 여기는 방식이 웰빙과 자연주의를 선호하는 현재의 프랑스 시장에 어필됐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패브릭 마스크, 하이드로겔 패치 등이 성공적으로 대중화됐다.

 

<세포라(Sephora) 사이트에 단독 섹션으로 마련된 K-뷰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a4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467pixel, 세로 560pixel

[자료: Sephora]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HS 코드 3307.90 기준, 프랑스의 마스크팩 제품 수입 동향을 살펴보면, 2024년 프랑스의 총수입액은 2억223만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11.4%가 감소한 수치다. 주요 수입 대상국은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벨기에, 네덜란드 등 주변국이며 10위권 내 유럽 외 국가로는 중국과 미국이 있다. 점유율로 보면, 상위 4개국이 전체 점유율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2024년 프랑스의 15번째 수입 대상국으로 조사됐고,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약 253만 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147.7% 증가한 수치다.

 

<프랑스의 마스크팩 제품(HS 코드 3307.90 기준) 수입 동향>

(단위: US$ , %)

순위

국가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4/23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체

210,495

228,290

202,230

100.0

100.0

100.0

-11.4

1

영국

35,296

45,230

47,920

16.8

19.8

23.7

6.0

2

이탈리아

53,622

56,800

32,315

25.5

24.9

16.0

-43.1

3

스페인

17,465

20,970

21,873

8.3

9.2

10.8

4.3

4

벨기에

30,022

24,132

20,402

14.3

10.6

10.1

-15.5

5

네덜란드

10,721

17,422

15,015

5.1

7.6

7.4

-13.8

6

독일

9,294

10,241

11,486

4.4

4.5

5.7

12.2

7

스위스

11,264

10,625

8,515

5.4

4.7

4.2

-19.9

8

중국

9,621

6,523

7,250

4.6

2.9

3.6

11.2

9

덴마크

2,979

4,979

6,222

1.4

2.2

3.1

25.0

10

미국

3,289

5,812

5,960

1.6

2.5

2.9

2.6

15

한국

1,857

1,023

2,535

0.9

0.4

1.3

147.7

[자료: GTA, 2025.6.6.]

 

경쟁 동향

 

현재 프랑스의 코스메틱 전문 쇼핑몰에선 K-Beauty 제품이 인기를 끌며 판매되고 있다. 프랑스 소비자들은 친환경 포장에 천연 성분으로 구성된 제품을 선호하며, 동물실험을 하지 않았다는 인증이 있거나 비건 인증이 있는 제품을 선호하는 추세다.


프랑스 바이어들에 따르면, 프랑스 소비자들은 모공 팩, 스크럽 팩 종류 중 피부에 자극이 되거나 건조해지는 종류의 마스크팩을 꺼리는 경향이 있고, 에센셜 오일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 제품은 선호하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제품은 다음과 같다.

 

<프랑스 대표적인 인기 마스크팩 제품>

브랜드/ 제품명

설명

이미지

가격

Antipodes/
Aura Manuka Honey Masque Purifiant

 

마누카 꿀 함유

클렌징 및 정화, 강력한 보습 공급, 안색 개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3303f6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0pixel, 세로 700pixel

 

37 유로/75 ML

*K-Beauty

Torriden/

Dive in Masque Hydratant Intense

100% 천연소재, 100% 생분해

5가지 히알루론산 함유
얼굴 모양에 맞게 밀착돼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33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0pixel, 세로 700pixel

7 유로

/ 1 개입

*K-Beauty

Beauty of Joseon/

Masque Tissu Apaisant Centella Asiatica

병풀성분 15% 함유

피부 진정, 수분공급 효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33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0pixel, 세로 700pixel

7 유로

/ 1 개입

BIOEFFECT/

Imprinting Hydrogel Masque

피부의 모든 층에 히알루론산을 침투시켜 EGF 세럼의 효과를 10배 높여줌

촉촉하고 빛나는 피부 효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330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0pixel, 세로 700pixel

17 유로

/ 1 개입

*K-Beauty

DR.JART+

Cryo Rubber-

Masque Hydratant Visage a l’Acide Hyaluronique

크라이오테라피에서 영감을 받아 수분 마스크에 냉각기술을 접목한 마스크

혈액 미세 순환을 증가시켜 성분이 피부에 더 깊숙이 흡수되도록 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330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5pixel, 세로 265pixel

16 유로

/ 앰플+마스크

*K-Beauty

SKIN1004

Water Centella Watergel Sheet Ampoule Mask

고농축 병풀 에센스가 함유된 하이드로겔 마스크

피부의 즉각적인 보습과 진정 효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330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00pixel, 세로 500pixel

5 유로

/1 개입

*K-Beauty

Biodance

Bio-Collagen Real Deep Mask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 함유

올리고 히알루론산으로 보습 효과

피부 탄력 개선, 피부톤 밝고 고르게 개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dc7c69d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00pixel, 세로 800pixel

6.95 유로

/ 1 개입

[자료: 코스메틱 전문 쇼핑몰 Sephora, Oh my cream]

 

유통구조

 

2024년 프랑스 스킨케어 소매 유통망 현황을 보면, 온라인 유통 점유율이 계속적 확장되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202313%였던 온라인 리테일 점유율은 202414.1%로 증가했다. 오프라인 점유율 중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유통망은 화장품 전문 매장으로 61.7%를 차지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프랑스의 뷰티 제품이 가장 많이 팔리고 있는 채널이며 오프라인 매장 중 여전히 점유율이 상승 중인 유일한 채널이기도 하다. 화장품 전문 매장 이외에는 대형마트가 8.4%의 점유율로 가장 높은 편이다.

 

한편, 천연 화장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슈퍼마켓 등 대형 유통체인보다는 약국이나 온라인 쇼핑몰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설명한 인플레이션에 따라, 오프라인 유통채널 진열대 경쟁이 치열해지는 과정에서 천연 화장품의 입지가 좁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관세율


-EU FTA에 따라, HS Code 3307.90에 해당하는 상품의 관세율은 0%.


인증

 

유럽의회 및 EU이사회 규정 (EC) N.1223//2009(13)에 따라, EU 시장에 유통되는 모든 코스메틱 제품은 반드시 CPNP 등록을 거쳐야 한다. CPNPEU차원의 화장품 등록 포털로, 여기에 제품의 성분과 원료에 대한 정보를 의무적으로 미리 제출해야 한다. CPNP 등록 절차에 대해서는 KOTRA 파리무역관에서 작성한 다음의 페이지를 참고 할 수 있다. CPNP 등록절차

 

또한, 프랑스에는 천연 및 유기농 화장품을 구별하는 다양한 라벨이 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코스메비오(Cosmebio), 유기농 및 천연 성분을 함유하고, 파라벤, 실리콘, 페녹시 에탄올과 같은 독성 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제품에 부여된다. 크루얼티프리(Cruelty Free), 비건(Vegan)과 같은 라벨도 소비자에게 좋은 이미지로 어필될 수 있다.

 

시사점

 

프랑스 바이어들은, 현재 프랑스 코스메틱 시장 내 K-뷰티 제품 간 경쟁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SNS 및 인터넷 마케팅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프랑스의 뷰티 소비자들 사이에 K-뷰티에 대한 인지도는 높아졌지만, 아직 각 브랜드의 인지도는 높지 않아서, 매장에 오기 전에 인터넷 검색으로 알게 된 제품을 주로 찾는다는 설명이다. 또한, 프랑스 소비자들은 마스크팩을 고르는 기준에 있어 기능을 가장 중요하게 살피며, 보습, 미백, 안티 에이징 등 다양한 수요가 공존하고 있다고 밝혔다.


프랑스 스킨케어 시장은 갈수록 친환경, 천연성분 제품의 인기가 높아지는 추세다. 이에 유기농/자연 성분 베이스 인증이 유럽 시장에 진출에 필수적인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CPNP 인증이 가장 중요하다. 한번 인증을 받으면 10년간 유효하므로 프랑스 시장에 진출하고자 한다면 투자할 가치가 있다. 또한, EU 규정에 맞는 패키징과 현지어로 된 라벨링도 갖춰야 한다. 현지어로 된 정책 안내서를 전문가 도움을 받아 정확히 번역하고, 브랜드 정체성에 맞는 일관된 패키징을 갖춰 ESG 관련 요소들을 패키지에 명시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자료: Euromonitor, Sepoora, GTA, 일간지 Le monde, Les echos, Le figaro, KOTRA 파리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프랑스 마스크팩 시장 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