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콘서트 한번에 도시가 들썩! 중국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콘서트 소비
- 트렌드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5-07-04
- 출처 : KOTRA
-
공연이 도시를 움직인다: 문화 소비가 만든 지역 활성화
중국 젊은 층의 한류 소비 방식 변화
중국 내에서는 콘서트가 ‘이동하는 GDP(行走的 GDP)’로 불릴 만큼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평가된다. 업계에서는 ‘1:4.8’이라는 표현을 통해 그 소비 유발 효과를 설명하는데, 이는 '콘서트 티켓에 1위안을 지출할 경우 같은 기간 발생하는 관련 소비가 최소 4.8위안에 달한다'라는 의미다. 이러한 경제적 파급력을 기반으로 대형 공연을 유치하고, 이를 통해 지역 내 소비를 촉진하려는 전략은 현재 중국 각지에서 자발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주요 정책 방향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중국의 대표 티켓 예매 플랫폼 다마이왕(大麦网)에 따르면, 올해 노동절 연휴(5월 1일~5일) 동안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 주요 1선 및 2선 도시에서 총 63회의 대형 콘서트가 열렸다. 일부 인기 아티스트는 며칠 연속 공연을 이어가며 화제를 모았다. 예를 들어, 왕리홍(王力宏)은 5월 1일부터 3일까지 항저우에서 3일 연속 공연을 펼쳤고, 장지에(张杰) 역시 5월 2일부터 4일까지 베이징에서 연속 무대에 올랐다. 같은 기간 베이징, 상하이, 청두, 취저우 등지에서는 30개 이상의 음악 축제가 개최됐으며, 그 규모와 장르도 다양하게 구성됐다.
중국 매체 『21세기 경제보도』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상하이에서는 총 281회, 청두에서는 176회, 광저우에서는 159회의 콘서트가 개최됐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이들 콘서트가 지역 경제 활성화에 실질적인 기여를 했다는 사실이다. 그중에서도 영화 『말할 수 없는 비밀』로 한국에서도 잘 알려진 대만 출신 가수 주걸륜(周杰倫)의 콘서트는 가장 큰 경제적 파급 효과를 보였다. 그의 공연은 항저우에서 13억 위안, 하이커우에서 9억7600만 위안, 창사에서 5억1800만 위안의 문화관광 소비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중국 내 주요 도시 콘서트 개최 횟수>
(단위: 회)
[자료: 21세기 경제보도]
<중국 내 관광소비 파급력이 가장 높은 남녀 아티스트>
가수
주걸륜(周杰倫)
덩쯔치(邓紫棋)
참고
이미지
관광소비
기여도
항저우, 13억 위안
하이커우, 9.76억 위안
창사, 5.18억 위안
후허하오터, 3.43억 위안
후이저우, 2.5억 위안
타이위안 관광지 티켓 예매 수 10배 이상 증가
[자료: 21세기 경제보도]
뿐만 아니라 중국공연업협회(中国演出行业协会)의 조사에 따르면, 2024년 타지역으로 이동해 대형 콘서트나 음악축제를 관람한 관객 중 41.5%는 공연 개최지에 2일간 체류했으며, 37%는 3일 이상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0.2%의 관객은 공연 외에도 현지에서 관광 소비를 한 것으로 조사됐다. 즉, 한 번의 콘서트는 몇 시간 동안의 희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수만 명 관람객의 숙박, 교통, 관광, 쇼핑, 여가활동 등 다양한 소비를 유도하는 등 지속적인 소비 파급 효과로 이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중국의 콘서트 소비는 어떻게 이토록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된 것일까?
콘서트는 끝나도 소비는 계속된다
중국 Z세대는 콘서트를 단순히 ‘관람’하는 행위로 보지 않는다. 이들은 콘서트를 중심으로 직접 참여하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기획하며, 소비 구조 자체를 재구성하고 있다. 이들에게 콘서트 소비는 단순한 ‘상품 구매’가 아닌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또래와의 사회적 소속감을 구축하는 수단이다.
같은 공연에 참여하더라도 관람객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자신을 드러낸다. 일부는 직접 디자인한 티셔츠를 입고, 또 일부는 슬로건 배너를 제작해 들고 공연장을 찾는다. 공연장 앞에서 하루 종일 대기하며 Vlog를 촬영하거나, 샤오훙슈에 콘서트 착장(OOTD) 스타일링 팁을 공유하는 등 공연 전후를 포함한 ‘전체 경험’을 콘텐츠로 소비하는 모습도 두드러진다.
실제로 샤오훙슈에서 "콘서트 OOTD"를 검색하면 5만 건 이상의 게시물이 확인될 정도로 관련 콘텐츠가 활발히 생성되고 있다. 이 외에도 일부 열혈 팬들은 콘서트 당일 ‘단체 응원’, ‘굿즈 교환’, ‘슬로건 나눔’ 등의 오프라인 활동을 자발적으로 조직한다. 이는 아티스트에 대한 애정을 넘어, 팬들 간 유대감을 형성하고 공동체 문화를 확장해 가는 방식으로 볼 수 있다.
콘서트 OOTD
콘서트 Vlog
콘서트 굿즈
콘서트 슬로건
[자료: 샤오훙슈]
또한 중국 Z세대의 콘서트 소비는 공연장에서 끝나지 않는다. 공연이 종료된 직후부터 팬들은 온라인 플랫폼을 중심으로 '콘서트 후기'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한다. 후기는 단순한 감상문을 넘어 영상 편집이 포함된 브이로그, 스타일링 리뷰, 굿즈 언박싱, 콘서트 명장면 클립 등 다양한 형태의 게시물로 업로드된다.
이처럼 팬들이 자체 제작한 후기 콘텐츠는 차기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굿즈 언박싱 영상은 구매를 망설이는 이들에게 결정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좌석 시야 비교 영상은 예매 시 좌석 선택에 직접적인 가이드를 제시한다. 후기 콘텐츠가 일종의 사용자 제작 마케팅(UGC)으로 기능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콘텐츠는 알고리즘에 의해 동일한 관심사를 가진 사용자에게 빠르게 도달하며, 검색 결과 상단에 노출돼 콘서트 관련 소비를 순환시키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처럼 후기 콘텐츠 제작은 열혈팬들에게 있어 또 하나의 ‘참여 방식’이다. 누가 더 생생하게, 창의적으로 경험을 기록하고 전달했는지가 팬덤 내 영향력을 좌우하기도 한다. 이들이 영상 편집과 텍스트 구성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단지 가수가 좋아서가 아니라, 자신만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팬 커뮤니티 내에서의 입지를 확보하려는 전략이기도 하다. 즉, 이제는 콘서트에 갔다는 사실보다 그 경험을 어떻게 재구성하고 공유하느냐가 더욱 중요한 시대가 되고 있다.
이러한 Z세대의 디지털 소비 생태계는 관련 브랜드들에도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과거에는 콘서트 전후에 광고를 노출하는 수준에 그쳤다면, 이제는 팬들의 후기 콘텐츠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방식의 협업이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어, 후기 영상 속 패션 아이템이나 메이크업 브랜드를 간접적으로 노출하거나, 공연장 인근 상권에서 팬을 겨냥한 제휴 프로모션을 전개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접근은 Z세대의 자발적 콘텐츠 생산 흐름에 조화롭게 녹아들며, 보다 효과적인 브랜드 인지도 확산과 소비 유도로 이어지고 있다.
도시 인프라와 소비 구조를 재편하는 콘서트의 전략적 가치
중국에서의 대형 콘서트는 더 이상 단순한 오락 행사가 아니다. 특히 인기 아이돌이나 대형 밴드의 공연은 도시 전체의 인프라와 소비 구조를 일시적으로 재편할 정도로 강한 파급력을 지닌다. 콘서트가 열리는 주말이면 고속열차 예약이 조기에 마감되고, 인근 숙박시설도 대부분 만실이 된다. 관람객 유입 시간대에 맞춰 상권은 영업시간을 조정하고, 지역 카페나 편의점에서는 ‘콘서트 한정 굿즈’를 판매하기도 한다.
이러한 흐름은 더 이상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같은 1선 도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청두, 항저우, 우한 등 신흥 2선 도시뿐 아니라 장자커우, 진화와 같은 3선 도시까지도 대형 콘서트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Z세대 관람객들은 공연을 보기 위해 도시 간 장거리 이동도 마다하지 않는다. 샤오훙슈 등 소셜 플랫폼에서는 “항저우 콘서트 후기 공유”와 같은 해시태그가 수천 건 등록되고 있으며, 팬들은 콘서트 관람과 여행을 결합한 일정을 통해 하나의 ‘경험 소비’를 즐기고 있다.
<샤오훙슈 내 콘서트 연계 관광 관련 게시물>
[자료: 샤오훙슈]
중국 지방정부들도 이와 같은 팬덤 문화를 지역경제 회복의 기회로 보고 있다. 콘서트 관람을 위한 단기 체류가 아닌, 장기 관광 소비로 연결되도록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일부 도시는 공연 유치를 위해 스타디움 리모델링, 교통시설 정비, 호텔과 협력한 패키지 상품까지 선보였다. 이처럼 콘서트는 단발성 행사가 아니라 지역 활성화를 위한 핵심 경제 정책 도구가 되고 있다.
특정 아티스트의 콘서트를 통해 도시는 새로운 정체성을 획득하기도 한다. 중국 인기 보이그룹인 TFBOYS는 데뷔 10주년을 맞아 지난 2023년 시안 올림픽 스포츠 센터(西安奥林匹克体育中心)에서 대규모 콘서트를 개최했다. 이 콘서트는 단일 이벤트임에도 불구하고, 공연 전후로 수십 만 명의 팬이 시안을 방문하며 도시 전반에 큰 파급력을 미쳤다. 이로 인해 시안이 일시적으로 “TFBOYS의 도시”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받았다. 팬들 사이에서는 이 도시가 하나의 인기 도시로 부상하게 된 것이다.
<시안 곳곳에서 보이는 TFBOYS 현수막 및 팝업스토어>
[자료: 샤오훙슈]
<시안 지하철역 TFBOYS 응원 광고>
[자료: 샤오훙슈]
뿐만 아니라 교통, 숙박, 요식업, 관광까지 전 산업군이 공연 일정에 맞춰 일시적 재배치를 진행하는 콘서트 산업은 더 이상 단순한 문화 이벤트가 아닌, 도시 인프라를 설계하는 장치로 진화하고 있다.
중국 Z세대의 새로운 K-POP 소비 공간
Z세대 사이에서는 ‘K-POP 파티’라 불리는 팬 문화 행사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가수가 직접 출연하지 않지만, 팬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음악을 즐기는 새로운 형태의 소비 공간이자 참여형 이벤트다. 이러한 K-POP 파티는 DJ가 다양한 아이돌 곡을 믹싱하고, 팬들이 콘서트처럼 응원봉을 흔들며 함께 춤추고 노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단순한 음악 감상이 아니라, 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교류하는 문화적 장으로 자리 잡고 있다. 행사는 주로 클럽, 소규모 공연장, 문화공간 등에서 열리며, 특정 아티스트(세븐틴, 트와이스 등)의 곡만으로 구성된 테마형 파티도 인기를 끌고 있다.
이처럼 중국 내에서 ‘K-POP 파티’와 같은 이벤트가 성행하게 된 배경에는, K-POP 아티스트들의 공식 공연 활동이 과거보다 제한된 환경에 놓였다는 점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아티스트를 직접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자, 팬들은 공동체와 함께 K-POP을 즐길 수 있는 대안적 공간을 자발적으로 만들어 나가기 시작한 것이다.
실제로 최근 수년간 일부 한국 아티스트들이 중국에서 비공개 팬미팅이나 사인회와 같은 소규모 행사는 개최한 바 있으나, 대중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콘서트는 열리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제약 속에서 중국의 K-POP 팬들은 공연의 갈증을 해소하고, K-POP을 함께 나누기 위한 새로운 방식으로 ‘참여형 문화 소비’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팬클럽, 문화기획팀, 클럽 운영자들은 K-POP 콘텐츠를 활용해 상업화된 테마 파티를 기획하고 있으며, 일부는 브랜딩을 통해 도시별 정기 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샤오훙슈, 더우인 등 SNS에서는 ‘K-POP 파티’ 관련 콘텐츠가 활발히 생산·확산되고 있으며, 이들 이벤트는 단순 소비를 넘어 콘텐츠 생성의 장이자 커뮤니티 확장의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특히 베이징, 상하이, 청두, 우한 등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지역 기반 커뮤니티가 형성되며, K-POP 파티 문화가 점차 체계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샤오훙슈 K-POP 파티 관련 게시물>
K-POP 파티
QQ뮤직xK-POP 파티 지역별 시간 및 장소 안내 포스터
K-POP 파티 후기
[자료: 샤오훙슈]
콘서트 지원 정책 추진에 앞장서는 중국
중국 내 관련 정부 부처는 음악 공연 산업의 발전을 장려하고 규제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발표된 정책들은 콘서트, 음악 페스티벌 등 콘텐츠 공급을 확대하고 ‘음악+관광’과 같은 융합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연극축제, 음악축제 등 다양한 공연 형태의 건강한 발전을 유도하며 중국인들의 정신적·문화적 수요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대형 공연 활동에 대한 현장 관리 및 감독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아래와 같이 몇 가지 주요 정책에 대해 소개해보고자 한다.
<중국 내 콘서트 지원 관련 정책>
발표일
발표 기관
정책
주요내용
2023.7.
국무원 판공청
소비 회복 및 확대에 관한 조치
(关于恢复和扩大消费的措施)
- 공연 및 축제 등 대형 문화 행사의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심사·승인 절차를 간소화하고, 안전 관리와 서비스 지원 체계 강화
2023.9.
국무원 판공청
관광 소비 활성화와 관광업 고품질 발전을 위한 조치
(关于释放旅游消费潜力推动旅游业高质量发展的若干措施)
- 문화와 관광의 심층 융합 발전 추진
- 연극축제, 음악축제, 콘서트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건전한 발전 추진
- “X+관광” 형태의 소비 구조 확장
2023.12.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상무부
헝친 협력구의 시장 개방 확대를 위한 특별 조치 방안
(关于支持横琴粤澳深度合作区放宽市场准入特别措施的意见)
- 광둥과 마카오가 공동으로 문화 축제, 콘서트 등 국제 대형 행사를 개최하도록 추진
2024.1.
국무원 판공청
실버 경제 발전과 노인 복지 향상에 관한 의견
(关于发展银发经济增进老年人福祉的意见)
- 노년층 대상 문화 콘텐츠 산업 발전 장려
- 노인 문화 단체 및 공연팀 간의 교류와 발표 활동 지원
2024.8.
국무원
서비스 소비 고품질 발전 촉진에 관한 의견
(关于促进服务消费高质量发展的意见)
- 상업, 관광, 문화, 체육, 건강 등 산업의 융합 발전 추진
- 다양한 유형의 특색 있는 관광 상품 개발 격려
2024.11.
공업정보화부 등 13개 기관
5G 대규모 응용 업그레이드 방안
(5G规模化应用“扬帆”行动升级方案)
- 대형 콘서트 및 음악축제 등 공연 현장의 5G 통신 서비스 역량 강화
[자료: 관옌티엔시아(观研天下)]
중국 내 각 도시에서도 콘서트 산업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이뤄가고 있다. 예를 들어 톈진은 ‘톈진 음악축제’와 ‘하이허 연극축제’ 같은 고품질 공연 문화를 기획·개최하며 지역 문화 활성화에 힘쓰고 있으며, 산시성은 관광과 공연이 결합된 집적 단지를 조성해 ‘음악+관광’, ‘공연+관광’ 등 융합 산업을 확대하고, 공연 예술의 중심지로 도약하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지린성은 문화 행사의 신속한 승인과 안전 관리를 강화해 공연 산업의 안정적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도시별 콘서트 지원 관련 정책>
발표일
지역
정책
주요내용
2023.3.
허베이
(河北)
허베이성 관광산업 육성 가속화 행동방안(2023-2027년)
(河北省加快建设旅游强省行动方案(2023-2027年))
- 신규 관광업태 제품 전략 육성
- 캠핑, 천문 관측 등 혁신 프로그램 도입
- 몰입형 음악축제, 연극축제 도입을 통해 관광객 유치 및 체험 강화
2023.4.
티베트
(西藏)
티베트 소비 회복 및 활성화 조치
(西藏自治区关于恢复和扩大消费的若干措施)
- 스포츠 관광 산업 발전 촉진
- 캠핑축제, 음악축제 등 산업 행사 장려
2023.5.
허난
(河南)
문화 및 관광 소비 촉진에 관한 조치
(进一步促进文化和旅游消费若干政策措施)
- 지역 홍보와 마케팅 강화
- 관광지 내 음악 축제 및 특별 전시 등 행사 개최 장려
2023.6.
톈진
(天津)
톈진시 국제 소비 중심 도시 건설 가속화 행동 계획(2023-2027년)
(天津市加快建设国际消费中心城市行动方案(2023—2027年))
- 국내외 대량 관광객 유입 및 화제성 높은 행사 도입
- 영화축제, 음악축제, 콘서트 등 개최 지원
2023.8.
후난
(湖南)
후난성 소비 회복 및 확대를 위한 조치
(湖南省恢复和扩大消费的若干政策措施)
- 문화·엔터테인먼트·스포츠·전시회 소비 촉진
2023.9.
지린
(吉林)
소비 촉진에 관한 조치
(关于促进消费的若干措施)
- 문화 및 엔터테인먼트 행사에 자금 지원
- 행사 승인 절차 최적화
- 행사 안전 감독 및 서비스 지원 강화
2023.9.
윈난
(云南)
소비 회복 및 확대에 관한 조치
(关于恢复和扩大消费的若干措施)
- 문화 공연 승인 절차 최적화
- 대중이 선호하는 콘서트 및 문화 행사 적극 유치
2023.9.
선전
(深圳)
선전시 소비 촉진에 관한 조치
(深圳市关于促进消费的若干措施)
- 문화예술 공연 공급 확대
- 체육관 내 대형 콘서트 유치 장려
- 민간 공연단체 적극 지원
- 암표 판매 등 불법 행위에 대한 단속 강화
2023.2.
베이징
(北京)
베이징 문화관광구 발전 및 건설 3개년 행동 계획(2023-2025년)
(北京城市副中心文化旅游区发展建设三年行动计划(2023-2025年))
- 디지털 혁신 산업 발전·육성
- 과학기술 활용 문화 산업 발전 촉진
2023.9.
베이징
(北京)
베이징 전시 산업 고품질 발전 촉진을 위한 주요 조치
(关于促进本市会展业高质量发展的若干措施)
- 영화, 음악, 게임, 애니메이션, 문예, 스포츠 축제 및 대회를 중심으로 산업 협회, 클럽, 전문 기업과의 협력 강화
2023.12.
산시
(陕西)
산시성 문화관광 산업 발전 가속화를 위한 주요 조치
(陕西省关于加快文旅产业发展的若干措施)
- 관광과 공연이 어우러진 소도시와 공연 집적 단지 조성, 시안시를 중국 공연 예술의 중심지로 육성
- ‘음악+관광’, ‘공연+관광’과 같은 융합형 산업을 확대해 관광 콘텐츠 활성화
2023.3.
산둥
(山东)
농촌 관광 고품질 발전 추진 실행 방안(2023-2025년)
(关于推进乡村旅游高质量发展的实施方案(2023-2025年))
- 매년 100여 개의 인기 농촌 관광 명소를 선정해 홍보
- 음악축제, 캠핑축제 등 다양한 행사 지원
2024.6.
지린
(吉林)
서비스업 발전 가속화 관련 주요 정책 및 실행 방안
(关于加快服务业高质量发展的若干政策举措)
- 문화관광 소비 확대, 문화 공연 시장 활성화
- 퀄리티 높은 공연과 콘서트 유치 강화
2024.7.
톈진
(天津)
톈진시 현대 서비스업 고품질 발전 촉진 실행 방안
(天津市促进现代服务业高质量发展实施方案)
- 톈진 음악축제, 하이허 연극축제 등 고품질 공연 문화 행사 기획 및 개최
[자료: 관옌티엔시아(观研天下)]
시사점
중국 내 콘서트 소비시장은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문화 소비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Z세대를 중심으로 한 젊은 층의 팬덤 문화가 강력한 수요를 만들어내며, 대형 아이돌 그룹과 인기 아티스트의 공연은 단순한 문화 행사를 넘어 지역 경제 활성화의 촉매 역할을 하고 있다.
향후 중국 내 콘서트 시장은 기술 발전과 정책 지원에 힘입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중국 내 인기 여가수 Jolin Tsai의 콘서트 관계자는 KOTRA 베이징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작년 7월 22일에 광저우에서 콘서트를 개최했는데, 전국에서 약 4만 명에 달하는 관람객이 이곳으로 모였다. 특히 콘서트 기간 소셜 플랫폼에서는 ‘톈허 스타디움 주변 맛집’, ‘광저우 여행 코스’ 등 화제를 다룬 게시물이 수없이 올라왔다. 이러한 현상에서 알 수 있듯이, 이제 콘서트는 하나의 공연을 넘어 관광 소비를 촉진하는 핵심 동력이 됐다”라며 콘서트 소비와 도시경제의 관계성에 대해 설명했다.
중국 콘서트 시장의 급성장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우리 기업들에도 다양한 기회를 시사한다. 첫째, 콘서트 연계 소비의 확대는 한국의 콘텐츠 기업, 굿즈 제작사,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에 새로운 진출 가능성을 열어준다. 팬덤을 기반으로 한 콘서트 한정 상품, 협업 굿즈, 현장 체험 마케팅은 중국 소비자들의 감성적 소비를 자극할 수 있는 좋은 진입 방식이다. 특히 샤오훙슈, 더우인 등 로컬 플랫폼을 활용한 팬 커뮤니티 기반 마케팅이 중요하다. 또한 기존의 ‘공연 콘텐츠 수출’ 방식에서 한발 더 나아가 단순히 K-POP 공연만 기획·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교통·관광·숙박·외식 등 여러 산업과 결합해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K-pop 공연 티켓, 숙박, 지역 관광, 팬미팅 등을 묶은 패키지 상품을 현지 여행사와 협업해 출시하거나 콘서트 도시 한정 굿즈, 한류 체험존, 사진존 등 팬들이 SNS에 공유하고 싶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 등이 있다.
둘째, 기술 기반 공연 솔루션의 수요 증가는 한국의 IT 및 공연 기술 기업들에 유리하다. AR·VR 공연 기술, 팬덤 플랫폼, 실시간 스트리밍 시스템 등 한국이 강점을 가진 디지털 공연 솔루션은 중국 공연 주최자나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수출 또는 공동 사업 모델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중국의 콘서트 소비 시장은 단순한 문화 트렌드를 넘어 도시 경제와 소비 생태계를 움직이는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러한 동향이 우리 한국 기업들에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이제는 ‘무대 위’뿐 아니라 ‘무대 밖’까지 함께 바라봐야 할 때이다.
자료: 다마이왕(大麦网), 21세기 경제보도(21世纪经济报道), 중국공연업협회(中国演出行业协会), 관옌티엔시아(观研天下), 샤오훙슈(小红书), 더우인(抖音) 및 KOTRA 베이징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콘서트 한번에 도시가 들썩! 중국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콘서트 소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통 큰' 보조금으로 승부하는 인도, 연이은 '역대급' 반도체 합작투자
인도 2025-07-04
-
2
기술이 바꾸는 일본 이러닝 시장의 진화와 과제
일본 2025-07-03
-
3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펼쳐진 K-모빌리티의 내일
미국 2025-07-01
-
4
빠르게 진화하는 인도 스타트업, 기술과 투자로 날아오르다
인도 2025-07-04
-
5
전력 인프라 혁신 가속하는 호주, 한국 기업에 ‘기회 ON’
호주 2025-07-01
-
6
애완용품 전문 유통사가 전하는 중국 펫 시장 인사이트
중국 2025-07-02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