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사출성형기 시장 동향
- 상품DB
- 중국
- 우한무역관
- 2025-06-23
- 출처 : KOTRA
-
전 세계 시장의 3분의 1 수준인 중국 사출성형기 소비시장
신에너지 자동차, 완구, 위생도기(세면대, 변기) 등 제조에서 사용 증가
최신 트렌드는 투 플레이튼(two-platen) 방식과 모터화(모터식 구동)방식
제품명 및 HS 코드
HS CODE
한국어 명칭
영어 명칭
847710
고무 또는 플라스틱 가공용 사출 성형기
Injection-Molding Machines For Working Rubber Or Plastics
[자료: 중국 상무부(商務部)]
중국 사출 성형기 시장 현황
사출 성형 장비 (통칭: 사출기)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금형을 통해 복잡한 형상의 플라스틱 제품으로 성형하는 장비다. 사출기는 플라스틱 가공 산업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성형 장비로, 전체 플라스틱 성형 기계(압출기·금형제조기·사출기) 생산액의 40%를 차지하며, 플라스틱 성형 기계 제조 능력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이기도 하다.
사출기 산업 생태계의 업스트림은 금형 및 부품, 미드스트림은 사출기 제조사로 구성되며, 다운스트림 적용 분야는 자동차(27.9%), 전자 제품(13.5%), 포장(8.0%), 가전제품(6.7%), 생활용품(5.1%), 건축자재(4.1%), 완구(2.9%) 등으로 다양한 편이다.
<사출기 산업 생태계>
[자료: 중국산업경제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중국은 세계 최대의 사출기 생산국이자 소비국으로, 2024년 중국 사출기 생산능력은 글로벌 생산의 65%를 차지하며, 소비 시장 규모는 전 세계 시장의 34.2%를 넘는다.
쯔옌컨설팅(智研咨询) 연구 데이터에 따르면, 2019~2024년 중국 사출기 시장 규모는 233억 위안(한화 약 4조4000억 원)에서 278억4000만 위안(한화 5조2500억 원)으로 성장했으며,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은 3.6%를 기록했다.
<2019~2024년 중국 사출기 시장 규모>
(단위: 억 위안, %)
[자료: 지얀컨설팅(智研咨询)]
중국 사출기 수입 동향
2021년 이후 중국 국산 사출기가 고급형 수입 사출기를 대체하며 수입 규모는 지속 감소하고 있다. 2024년 중국 사출기 수입액은 4억4800만 달러로, 2023년 대비 4% 감소했으며 2021년 대비 43.2% 하락했다.
<2015~2024년 중국 사출기 수입 금액>
(단위: US$ 천, %)
[자료: Trademap (2025.6.2.)]
2024년 중국 사출기 수입 국가(지역)별 점유율은 일본이 60.6%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으며, 그다음으로 캐나다(10.5%), 독일(9.5%) 순이다. 2024년 한국의 대중(對中) 사출기 수출액은 2620만 달러로 점유율 5.8%를 기록, 2023년도(7.1%) 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2024년 중국 사출기 수입 국가(지역) TOP10>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지역)
2022년
2023년
2024년
수입금액
점유율
수입금액
점유율
수입금액
점유율
세계
630,668
100.0
466,954
100.0
448,087
100.0
1
일본
421,140
66.8
284,034
60.8
271,805
60.6
2
캐나다
27,223
4.3
23,822
5.1
47,210
10.5
3
독일
72,462
11.5
71,466
15.3
42,706
9.5
4
대한민국
36,542
5.8
33,181
7.1
26,198
5.8
5
오스트리아
11,435
1.8
10,754
2.3
15,836
3.5
6
중국
4,963
0.8
7,243
1.6
11,472
2.6
7
대만
22,436
3.6
11,029
2.4
10,684
2.4
8
이탈리아
12,537
2.0
12,688
2.7
9,313
2.2
9
스위스
13,226
2.1
6,511
1.4
7,349
1.6
10
프랑스
1,707
0.3
585
0.1
1,543
0.3
[자료: Trademap (2025.6.3. 기준)]
2024년 중국 사출기 수입 상위 10개 국가(지역) 평균 단가는 7만7672달러/대로, 캐나다산 사출기 수입 단가가 188만8400달러/대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산은 평균 13만2985달러/대로 일본, 대만 제품보다도 단가가 높았다.
<2024년 중국 사출기 수입 단가 순위>
국가(지역)
단가(US$ /대)
수량(대)
캐나다
1,888,400
25
이탈리아
582,063
16
스위스
319,522
23
오스트리아
287,927
55
프랑스
220,429
7
독일
168,134
254
대한민국
132,985
197
대만
67,195
159
일본
57,561
4,722
중국
45,344
253
평균 단가/총량
77,672
5,711
[자료: Trademap (2025.6.3.기준)]
중국 사출성형기 시장 경쟁 현황
2024년 말 기준, 중국 규모 이상(연간 영업수입 2000만 위안 이상) 플라스틱 기계 생산 기업 수는 약 450개사로 집계됐다. 중국 기업으로는 하이티엔 그룹(海天集团), 천슝 그룹(震雄集团, 홍콩), 리진 테크놀로지(力劲科技, 홍콩), 이즈미(伊之密) 등이 있고, 이 중 하이티엔 그룹은 사출성형기 생산 기준 글로벌 최대 기업이다. 이처럼 2024년 중국 사출성형기 시장에서 중국 국내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은 85%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주요 사출성형기 제조사>
회사명칭
사출성형기 매출액
(억 위안)
회사소개
회사 홈페이지
Haitian Group
하이티엔 그룹(海天集团)
161.1
(2024년)
-1966년 설립, 글로벌 사출성형기 생산량 1위 기업, 연간 5만3000대 생산
-제품 라인업이 포괄적이며 플라스틱 가공 산업의 거의 모든 영역을 아우름
www.haitian.com
Chen Hsong Group
천슝 그룹
(震雄集团)
(香港)
18.2
(2023년)
-1958년 설립, 클램핑력 20~6500톤 사출성형기 제조
-연간 생산량 1만5000대, 전 세계 약 100여 개국에 판매
chenhsong.com.cn
Yizumi Holdings
이즈미 그룹
(伊之密集团)
35.6
(2024년)
-2002년 설립, 주력 제품은 사출성형기·고무성형기·3D 프린터 등임
-인도·미국·독일 현지공장 및 R&D 센터 운영, 90여 개국에 사업 진출
www.yizumi.com
Tederic Machinery Co., Ltd.
태서이 머시너리
(泰瑞机器)
11.5
(2024년)
-2003년 설립, 클램핑력 60~7000톤 급 사출성형기 제조 가능
-전 세계 140여 개국에 수출
cn.tedericglobal.com
LK Technology Holdings
리진 테크놀로지
(力劲科技集团)
(香港)
12.1
(2023년)
-1979년 설립된 글로벌 유명 사출성형기 제조사 및 CNC가공센터 제조사
-글로벌 판매량 1위 다이캐스팅 머신 제조사
www.lkimm.cn
[자료: 각 기업 공시 및 동우증권연구소(东吴证券研究所)]
이 밖에 중국 시장에 진출해 있는 외국계 사출성형기 브랜드는 40여 개로, 이 중 KraussMaffei(독일)·Husky(캐나다)·MILACRON(미국)·JSW(일본) 등 글로벌 선두 기업이 중국 현지에 생산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 LS엠트론(LS Mtron)도 2004년 중국 장쑤성(江苏省) 우시(无锡市)에 생산공장을 설립했으며, 중국 시장에 진출한 또다른 한국 사출성형기 브랜드로는 우진(Woojin)·동신(Dongshin) 등이 있다.
<글로벌 사출성형기 기업의 중국 내 생산 거점 분포>
기업
국가
중국 내 생산 거점
KraussMaffei
독일
싼밍(三明)(2019),
자싱(嘉兴)(2020)
Husky
케나다
상해(上海)(2002),
심천(深圳)(2005)
ENGEL
오스트리아
상해(上海)(2005),
창저우(常州)(2014)
ARBURG
독일
상해(上海)(2003),
심천(深圳)(2006)
Demag
독일
닝보(宁波)(1998)
MILACRON
미국
우시(无锡)(2004)
Wittmann Bettenfeld
오스트리아
쑤저우(苏州)(2005,2024년 확장)
JSW
일본
닝보(宁波)(2003)
LS Mtron
한국
우시(无锡)(2004)
UBE
일본
상해(上海)(2001)
[자료: 선전기업투자 산업연구원(深企投产业研究院)]
브랜드 점유율 측면에서, 중국 사출성형기 시장은 이미 '초일류 강자 및 다수 강자(only super power and multi-great power)' 구도가 형성돼 있다. 2024년 기준, 하이티엔(Haitian)이 31.7%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 이즈미(Yizumi)가 8.1%, 천슝그룹(Chen Hsong)이 5.3%의 점유율로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이들 중 이즈미(Yizumi)의 성장 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사출성형기 부문 매출은 2016년 6억5400만 위안(약 1200억 원)에서 2024년 35억6000만 위안(약 6500억 원)으로 8년간 5.44배 증가, 연평균 성장률은 23.6%를 기록했다.
<2024년 중국 국내 사출성형기 브랜드 시장 점유율>
(단위: %)
[자료: 중신건설(中信建设)]
중국 사출성형기 산업은 10개 이상 지역에 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했으며, 주로 장강삼각주(长三角), 주강삼각주(珠三角), 발해만 연안(环渤海) 3대 지역에 집중돼 있다. 절강성(浙江), 광동성(广东), 산동성(山东) 세 지역의 생산량만 해도 중국 전국 생산량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이 중 절강성(浙江省) 닝보(宁波) 지역이 가장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며, 중국 최대의 사출성형기 생산 거점으로 자리매김했다.
중국 사출성형기의 유통 구조
중국 사출성형기 유통 구조는 크게 다운스트림 공급망 제조사에 직접 판매, 유통사를 통한 판매, 온라인 판매 채널로 구분된다.
다운스트림 공급망 제조사에 직접 판매는 대형 사출성형기 제조사에 있어 경제성 높은 운영 방식이다. 직접판매를 통해 제조사는 제품 품질의 안정성과 공급망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 및 마진폭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광범위한 판매망과 유통채널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유통사를 통한 판매는 사출성형기 제조사가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판매 비용을 절감하는 데 효율적이다. 사출성형기 유통사는 시장 수요와 가격 변동성에 따라 판매 전략을 민첩하게 조정함으로써 판매 효율성과 수익성을 제고할 수 있다.
중국 내 주요 산업용품 B2B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알리바바(阿里巴巴, www.1688.com), 아이차이구(爱采购, b2b.baidu.com), 중국제조(中国制造, cn.made-in-china.com) 등을 통한 온라인 판매 역시 되고 있다. 사출성형기 업체가 직접 자체 공식 웹사이트나 자체 온라인 스토어를 통해 제품 전시 및 판매를 하는 경우도 있다.
관세 및 수입 규정
<중국 사출 성형기 수입 관세율>
(단위: %)
HS CODE
제품명칭
최혜국(MFN) 관세율
한중FTA 관세율
RCEP 관세율
수입 부가가치세율
847710
사출 성형기
45%
0
0
13%
[자료: 중국상무부(商务部)]
한국산 사출성형기를 중국으로 수출 시 한·중 FTA, RCEP 등의 협정을 통해 무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별도의 인증 또는 규제 요건은 없다.
전망 및 시사점
현재 중국 사출성형기 시장은 패러다임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투 플레이튼(Two-Platen) 사출성형기는 대량 생산에서의 높은 생산 효율성과 원가 경쟁력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향후 시장 점유율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이와 동시에, 전동식 사출성형기는 소규모 생산에서의 운영 안정성, 가공 정밀도 및 에너지 절감 특성으로 전자, 의료, 완구 산업에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해당 기술은 업계 기업들의 핵심 개발 분야로 부상했다.
중국 가전, 일용품 포장 및 전자 분야의 사출성형기 수요는 최근 2년간 다소 줄어들었으나, 신에너지차(전기차)의 부상으로 자동차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이 창출되고 있다. 동시에, 중국의 생활용품, 완구, 위생용품 수출 호조에 따른 수요 역시 사출성형기 시장에 성장 동력을 계속 공급하며 핵심 성장 영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편, 산업 전시회는 사출성형기 기업에 잠재 고객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최신 설비와 기술 솔루션을 전시함으로써 기업은 자사 역량을 직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장 피드백 및 수요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전시회 기간 중 비즈니스 협상은 즉시 주문이나 장기적 협력 의향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우리 기업의 관심이 필요하다.
<2025~2026년 중국 유명 플라스틱(기계) 전시회>
명칭(한글)
2025 중국(위야오, 余姚) 국제 플라스틱 박람회
명칭(영어)
2025 China(Yuyao)International Plastics Expo
& The 26th China Plastics Expo
전시 시간
2025년 11월 4~10일(매년 1회)
전시 장소
중국 절강성(浙江省) 위야오시(余姚市)
전시 품목
플라스틱 원료, 플라스틱 기계, 플라스틱 금형
전시 규모
4만2000제곱미터 (㎡)/2000개 부스/19개 국가(지역)
사이트
https://cpe.21cp.com/
명칭(한글)
제38회 중국 국제 플라스틱·고무 산업 전시회
명칭(영어)
The 38th International Exhibition on Plastics
and Rubber Industries(CHINAPLAS 2026)
전시 시간
2026년 4월 21~24일(매년1회)
전시 장소
중국 상해시(上海市)
전시 품목
플라스틱 기계, 플라스틱 원료, 3D 프린팅 소재
전시 규모
38만 제곱미터 (㎡)/4500개 부스/39국가(지역)
사이트
www.chinaplasonline.com
[자료: 각 전시회 홈페이지, 우한무역관 정리]
자료: 중국 상무부(商务部), 화징 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즈옌 컨설팅(智研咨询), Trademap(트레이드맵), 동우 증권 연구소(东吴证券研究所), 중신 건설(中信建设), 선전기업투자 산업연구원(深企投产业研究院), 전시정보망(展会信息网), 우한 무역관 연구(武汉贸易馆研究) 및 KOTRA 우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사출성형기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소비 촉진의 새로운 엔진, ‘스포츠 소비’
중국 2025-06-12
-
2
케냐 작물보호제 시장 트렌드 및 진출 전략
케냐 2025-06-23
-
3
중국 감속기 시장 동향
중국 2025-06-19
-
4
파키스탄 중고 건설기계 굴삭기 시장동향
파키스탄 2025-06-22
-
5
캐나다 유압실린더 시장 동향
캐나다 2025-06-20
-
6
중국 무인운반로봇(AGV) 시장동향
중국 2025-06-24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