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캐나다 립 메이크업 제품 시장동향
  • 상품DB
  • 캐나다
  • 밴쿠버무역관 최희원
  • 2025-06-13
  • 출처 : KOTRA

물가 상승으로 인한 경기 침체 속 ‘합리적 사치’ 립 메이크업 제품 수요 확대

스킨케어 성분·클린 뷰티를 앞세운 기능성 색조 제품의 성장

‘틱톡커블’ 콘텐츠를 겨냥한 색조 브랜드의 디지털 마케팅 강화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3304.10

ㅇ 상품명: 색조화장품(립 메이크업 제품)

 

시장 동향

 

캐나다 색조화장품 시장은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마스크 착용 의무화와 봉쇄령의 영향으로 2020년도의 규모가 전년 대비 약 13% 급감했으나, 이후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며 안정적인 성장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Euromonitor에 따르면, 2023년 시장 규모는 235100만 캐나다 달러였으며, 2028년에는 279930만 캐나다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 기간의 연평균 성장률(CAGR) 3.4%, 캐나다 내 색조화장품 수요가 꾸준히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캐나다 색조화장품 시장 규모 추이>

(단위: C$ 백만)

Sales_of_Colour_Cosmetics_in_Canada

[자료: Euromonitor 2025.4.23]

 

이처럼 회복세 이후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할 수 있었던 이유는 색조화장품이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심리적 만족감을 주는합리적 사치품목으로 자리잡은 데 있다. 팬데믹 이후 전반적인 물가 상승 속에서도 소비자들은 일상 속 기분 전환 수단으로 색조화장품을 선택했고, 특히 립 제품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립 제품은 시장 전체 성장률인 3.4%보다 높은 3.9%의 연평균 성장률이 예상되며, ‘가장 저렴한 사치품이라는 상징성과 소셜미디어를 통한 홍보 효과가 시너지를 내며 시장을 견인하는 핵심 품목으로 부상했다.

 

이러한 소비 트렌드 변화와 함께 온라인 판매 채널의 확장도 시장 성장에 영향을 미쳤다. 팬데믹 시기 급성장한 온라인 판매 채널은 접근성이 낮은 지역 소비자들도 손쉽게 제품을 구매할 수 있게 했고, 일상 회복 이후에도 자세한 제품 설명, 소비자 리뷰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여전히 중요한 구매 채널로 자리하고 있다. 일부 브랜드와 유통업체들은 자사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에 증강현실(AR) 기능을 도입해, 소비자들이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가상으로 제품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며 자사 제품에 대한 접근성과 몰입도를 높이고 있다.

 

특히 최근 시장 성장의 촉매제로 작용하는 것은 소셜미디어 기반의 마케팅 전략이다. 틱톡과 인스타그램과 같은 플랫폼에서의 제품 노출은 신제품 출시와 브랜드 인지도 제고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젊은 Z세대와 밀레니얼 소비자들과의 소통 채널로 적극 활용되고 있다. 뷰티 브랜드들은 인플루언서와 협업하여 제품을 알리고, 이를 본 소비자들이 직접 매장을 방문하거나 온라인 채널을 찾아 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후다 뷰티(Huda Beauty), 카일리 코스메틱스(Kylie Cosmetics), 펜티 뷰티(Fenty Beauty) 등은 이러한 전략을 통해 시장 내 입지를 공고히 한 대표 브랜드들이다.

 

또한 팬데믹 기간 색조화장품 수요가 일시적으로 위축되는 사이, 스킨케어나 헤어케어 등 홈케어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러한 흐름은 일상 회복 이후 색조화장품에도 영향을 미쳤다. 최근에는 스킨케어 성분이 결합된기능성 색조화장품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는 얼굴 스킨 케어 루틴만큼 몸 피부 전체를 집중하여 관리한다는 스키니피케이션(Skinification)’ 트렌드로도 설명된다. 노화 방지 성분을 함유한 파운데이션,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립 제품처럼 피부 건강까지 고려한 색조화장 제품들이 소비자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다. 알이엠 뷰티(r.e.m. beauty) ‘Sweetener foundation’은 대표적인 예로, 스킨케어 성분이 포함돼 있어 메이크업과 피부 관리를 동시에 원하는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특히 립스틱, 립밤, 립글로즈 등 립 제품군 전반에서도 보습 기능과 다채로운 색상을 모두 갖춘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수요에 부응하며, 색조화장품의 기능성 트렌드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색조화장품 세트와 키트 제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연말연시 시즌을 중심으로 선물용뿐만 아니라 자기 만족을 위한 소비가 확대되면서 소비자들은 테마형 구성과 높은 가성비를 갖춘 키트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따라 브랜드들은 인기 제품으로 구성된 한정판 키트를 출시하거나, 디자인과 휴대성을 강조한 컬렉션을 선보이며 구매를 유도하고 있다.

 

주재국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최근 5년간의 캐나다 립 메이크업 제품(HS 코드 3304.10)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전체 수입액은 2021년도부터 꾸준히 증가해 2024년에는 전년 대비 10.6% 상승한 31535만 캐나다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수입국은 미국으로, 2024년 기준 전체 수입액의 43.7%를 차지했으며, 이탈리아, 중국, 한국이 그 뒤를 이었다. 한국은 약 3180만 캐나다 달러를 기록해 전체 수입액의 10.1%를 차지하며 네 번째 수입국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수입 비중은 0.1% 소폭 하락했지만, 이는 전체 시장 수입액 규모가 커진 영향이며, 한국산 제품 수입액 자체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캐나다의 립 메이크업 제품 수입 동향 (HS Code 3304.10 기준)>

(단위: C$ , %)

순위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4

수입 비중

-

전체

160,554

147,651

217,995

285,032

315,356

100

1

미국

82,357

75,375

107,369

129,486

137,838

43.7

2

이탈리

21,703

17,278

25,497

32,876

39,057

12.4

3

12,727

8,684

15,031

27,865

32,718

10.4

4

9,504

10,069

17,982

28,900

31,799

10.1

5

프랑

11,919

11,967

16,952

23,494

26,168

8.3

6

4,872

5,790

6,820

6,823

6,128

1.9

7

1,142

2,174

3,316

3,439

6,005

1.9

8

1,619

1,420

3,532

4,945

5,420

1.7

9

벨기

1,666

3,130

4,054

5,703

4,765

1.5

10

1,813

1,488

1,458

2,826

3,000

1.0

[자료: 캐나다 통계청 2025.4.23]

: 순위는 2024년 수입액을 기준으로 함

 

경쟁동향

 

캐나다 색조화장품 시장에서 브랜드 점유율을 보면, 2024년 기준 로레알 파리(L’Oreal Paris)와 메이블린 뉴욕(Maybelline New York)이 비슷한 수치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랑콤(Lancôme)과 커버 걸(Cover Girl), (Mac) 등의 브랜드들이 그 뒤를 잇고 있다. 기업별 점유율은 로레알(L'Oréal S.A.), 에스티로더(The Estée Lauder Companies Inc.) 그리고 코티(Coty Inc.)가 업계 상위 3개 기업으로, 전체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글로벌 뷰티 소매 체인인 세포라(Sephora)의 캐나다 웹사이트에서 최근 가장 많이 판매되는 립 메이크업 제품들을 살펴보면, 립밤, 립세럼, 립오일 등 윤기 있고 가볍게 발리는 포뮬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는 발색력보다는 보습력과 수분감을 중시하는 소비자 니즈가 반영된 결과로, 캐나다 색조화장품 시장에서 나타나는스키니피케이션트렌드와 맥을 같이 한다.

 

특히 립라이너나 블러셔와 립스틱을 함께 구성한 키트형 제품이 눈에 띄게 인기를 끌고 있다. 이는 립 메이크업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컬러 매칭에 대한 고민을 줄여주고 실용성과 휴대성 측면에서도 강점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연말연시 시즌을 중심으로 키트 제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립 키트는 선물용은 물론 자신을 위한 구매 수요까지 아우르며 소비자들 사이에서 높은 반응을 얻고 있다.

 

한편, 제품 선택 시 성분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Statista 자료에 따르면, 유기농 성분을 사용하고 동물 실험을 하지 않은 크루얼티 프리(Cruelty-free) 립 제품에 대한 수요가 캐나다 내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습력과 윤기 있는 제형을 선호하는 흐름과 맞물려, 클린 뷰티와 윤리적 소비를 중요시하는 젊은 소비자층을 중심으로 관련 제품의 시장성이 더욱 확대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캐나다 세포라 립 메이크업 제품군 베스트셀러>

(단위: C$)

브랜드/ 제품명

설명

이미지

가격

LANEIGE/

Glaze Craze Tinted Polypeptide Lip Serum

-        입술 볼륨 및 탄력 개선, 최대 12시간 보습 지속

-        폴리펩타이드, 세라마이드, PGA 함유

-        비건 포뮬라

-        유해 성분 15종 무첨가

-        기타 특징: 95% 스킨케어 성분 함유, 도넛 향과 컬러

30

Summer Fridays/

Lip Butter Balm for Hydration & Shine

-      즉각 보습 및 진정, 입술 각질 개선, 건강한 윤기 부여

-      시어버터, 무루무루씨버터 함유

-      비건 밤 포뮬라

-      비건·크루얼티 프리, 재활용 패키징

-      기타 특징: 끈적임 없이 매끄럽고 촉촉한 텍스처, 9가지 향과 컬러

32.5

Tower 28 Beauty/

ShineOn Lip Jelly Hydrating Non-Sticky Lip Oil

-      고광택 립글로스+립오일 하이브리드

-      살구씨 오일, 라즈베리씨 오일, 로즈힙 오일, 비타민 A, 비타민 E 함유

-      비건 포뮬라

-      비건·크루얼티 프리, 민감 피부용

-      기타 특징: 끈적임 없이 촉촉하고 편안한 사용감

22

HUDA BEAUTY/

Faux Filler Shiny Non-Sticky Lip Gloss

-      입술 보습 및 잔주름 블러링 효과

-      비건 콜라겐, 비타민 E 함유

-      SLS·SLES 무첨가

-      기타 특징: 끈적임 없는 고광택 피니시, 빅 사이즈 어플리케이터

29

Charlotte Tilbury/

Mini Pillow Talk Lipstick & Liner Set

-      입술 보습, 보호, 볼륨감 개선

-      트리 추출물, 오키드 추출물 함유

-      파라벤 무첨가

-      기타 특징: 립스틱+립라이너 미니 듀오 세트, 4가지 컬러 구성

34

Rare Beauty by Selena Gomez/

Mini Soft Pinch Liquid Blush and Lip Oil Set

-      입술 보습 효과

-      호호바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함유

-      비건 포뮬라

-      비건·크루얼티 프리, 파라벤·유해 성분 무첨가

-      기타 특징: 미니 액체형 블러시 & 립 오일 세트

36

[자료: 캐나다 세포라 홈페이지]

 

유통구조

 

IBISWorld에 따르면, 캐나다 화장품 시장의 유통 구조는 1·2단계 공급업체, 제조업체, 그리고 1·2단계 구매자로 구분된다. 2단계 공급업체로부터 원재료를 제공받은 1단계 공급업체는 이를 화학적으로 가공해 제조업체에 공급하며, 제조업체는 생산 제품을 도매업체(1단계 구매자)를 거쳐 소매업체(2단계 구매자)를 통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한다.

 

<캐나다 화장품 시장 유통 구조>

[자료: IBISWorld 2025.4.17]

 

유통 채널별 비중을 살펴보면, 오프라인 채널이 여전히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Euromonitor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오프라인 소매업체가 전체 색조화장품 시장의 77%를 차지하고 있다. 오프라인 비중은 2019 91%에서 팬데믹 발생 직후인 2020 71.8%로 급락했으나, 이후 점차 회복세를 보였다. 특히 화장품 전문 매장이나 드럭스토어 등 비식료품 소매업체가 오프라인 유통 내 62%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기록했다. 이는 팬데믹 이후 대면 소비 활동이 재개되면서 색조화장품 특성상 직접 발색 테스트와 사용감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오프라인 선호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한편, 온라인 채널의 비중은 팬데믹을 계기로 빠르게 확대됐다. ‘19년도 9%에 불과했던 온라인 채널 비중은 202028.2%로 급등했다. 이후 오프라인 매장이 정상 운영을 재개한 2021~2022년에는 22% 초반대로 다소 감소했지만, 2023~2024년에는 23%로 소폭 반등하며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색조화장품 구매에서 직접 테스트를 중시하는 소비자 특성에 따라 오프라인 선호가 일부 복원된 한편, 팬데믹 시기 형성된 온라인 구매 습관도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고착화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캐나다 색조화장품 시장 유통채널별 비중>

[자료: Euromonitor 2025.4.17]

*: 상승/하락 기호는 ‘19년 대비 2024년 시장점유율을 비교한 결과를 의미

 

관세율

 

<HS Code 3304.10 관세>

품목

립 메이크업 제품

HS Code

3304.10

수입관세

무관세(KRT=0%)

[자료: Canada Tariff Finder]

 

HS Code 3304.10에 해당하는 한국산 립 메이크업 제품의 캐나다 관세율은 0%이다. 기존 관세율은 6.5%이나, 한국-캐나다 자유무역협정(Canada-Korea Free Trade Agreement, CKFTA)에 따라 무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인증

 

캐나다에 색조화장품을 수출하려면, 제품 유통 전 등록 절차를 먼저 이행해야 한다. 모든 화장품은 캐나다 보건부에 등록돼야 하며, 이를 위해 '화장품 신고서(Cosmetic Notification Form, CNF)' 제출이 요구된다. CNF에는 제품에 포함된 성분, 사용 용도, 사용 방식 등 주요 정보가 포함돼야 하며, 캐나다 시장에 제품을 처음 출시한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제출을 완료해야 한다. 이는 제조업체와 수입업체 모두에게 적용되는 기본 요건이다.


·         화장품 신고 안내: https://www.canada.ca/en/health-canada/services/consumer-product-safety/cosmetics/notification-cosmetics.html

 

제조 과정 역시 별도의 기준을 따라야 한다. 캐나다에서는 위생적이고 품질이 보장된 환경에서 생산된 화장품만 유통이 가능하므로, 화장품 제조업체들은 제품 제조, 테스트, 보관, 취급 및 유통에 대한 기준이 되는 우수제조관리기준(Good Manufacturing Practics, GMP) 인증을 통해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입증해야 한다.


·         우수제조관리기준 인증 안내: https://www.canada.ca/en/health-canada/services/consumer-product-safety/cosmetics/regulatory-information/good-manufacturing-practices.html

 

또한, 제품에 포함된 성분이 현지 규정을 위반하지 않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캐나다 보건부는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물질이나 사용에 제한이 있는 성분을 정리한핫리스트(Hotlist)’를 운용 중이다. 이 목록은 정기적으로 갱신되며, 제조사는 수출 전 해당 리스트를 검토하고 성분 구성이 문제되지 않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         핫리스트 설명: https://www.canada.ca/en/health-canada/services/consumer-product-safety/cosmetics/cosmetic-ingredient-hotlist-prohibited-restricted-ingredients.html

·         핫리스트: https://www.canada.ca/en/health-canada/services/consumer-product-safety/cosmetics/cosmetic-ingredient-hotlist-prohibited-restricted-ingredients/hotlist.html

 

제품 라벨링은 1) 식품의약법(Food and Drugs Act, FDA) 및 화장품 규정(Cosmetic Regulations, CR) 2) 소비자 포장 및 라벨링법(Consumer Packagig and Labelling Act, CPLA) 및 소비자 포장 및 라벨링 규정(Consumer Packaging and Labelling regulations, CPLR) 이 두 가지 법률 및 관련 규정의 적용을 받는다. 제품 포장에는 제품명, 성분, 제조사 정보, 주의사항 등이 명확하게 표시돼야 하며, 영어와 프랑스어로 병기하는 것이 필수다. 이는 단순한 권장이 아니라 영어와 프랑스어가 공용어인 캐나다 전역에서의 판매를 위한 기본 요건으로, 라벨 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제품은 유통이 제한될 수 있다.


·         제품 라벨링 규정: https://www.canada.ca/en/health-canada/services/consumer-product-safety/reports-publications/industry-professionals/labelling-cosmetics.html

 

마지막으로, 유통하고자 하는 제품이 동물 실험을 활용한 제품이 아닌지 확인이 필요하다. 캐나다는 관련 법 개정을 통해, 2023 12월부터 동물 실험을 기반으로 안전성을 입증한 화장품의 수입과 판매를 전면 금지하고 있다. 이는 캐나다로 수입되는 화장품과 캐나다에서 제조되는 화장품 모두에게 적용되며, 기업은 자사 제품이 비()동물실험 제품임을 시장에서 납득 가능한 수준으로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일부 제한적 예외가 인정되기는 하지만, 원칙적으로 동물 실험에 의존한 안전성 검증은 허용되지 않는다.


·         동물 실험 금지 규정: https://www.canada.ca/en/health-canada/services/cosmetics/animal-testing-ban.html

 

시사점

 

캐나다 색조화장품 시장은 팬데믹 이후합리적 사치스키니피케이션트렌드가 자리 잡으면서, 립 제품을 중심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스킨케어 성분이 결합된 기능성 색조 제품과 윤리적 소비를 반영한 클린 뷰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며, 단순한 색조 제품을 넘어 피부 건강과 가치 소비를 함께 고려한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산 립 제품이 캐나다 전체 수입 시장의 약 10%를 차지하는 상황이나 세포라에서 라네즈 등 국내 브랜드가 판매 상위권에 오른 점을 보면, 이미 한국의 립 메이크업 제품들은 일정 수준의 인지도와 신뢰도를 확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는 만큼, 보습·항산화 등 기능적 요소를 강화하거나, 미니 사이즈나 키트 구성 등 제품군을 다변화하고 크루얼티 프리나 비건과 같이 가치 소비를 위한 키워드를 강조하는 전략 등이 차별화에 효과적인 접근이 될 수 있다.


덧붙여, 틱톡과 인스타그램 기반의 마케팅은 이제 단순한 홍보를 넘어, 캐나다 색조화장품 시장에서 제품 성공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다. ‘틱톡커블(TikTokable)’한 콘텐츠, 즉 짧고 강렬한 영상에서 시각적 매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제품은 인플루언서를 통한 입소문을 타고 빠르게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감각적인 패키지 디자인, 가성비 좋은 립 키트, 시즌 한정 컬렉션 등은 이러한 플랫폼에 더욱 적합하다. 한국 기업은 Z세대와 밀레니얼 소비자의 구매 여정을 고려해 콘텐츠 마케팅 역량을 강화하고, 오프라인 진출에 앞서 온라인 채널 및 협업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브랜딩 전략을 우선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자료: 캐나다 보건부, Canada Tariff Finder, Euromonitor, IBISWorld, Sephora 그 외 KOTRA 밴쿠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캐나다 립 메이크업 제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