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실내 방향제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창춘무역관
  • 2025-06-18
  • 출처 : KOTRA

중국 방향제 시장은 2024년 약 24.2억 달러에서 2028년까지 74.9억 달러 규모로 약 3배 이상 급성장 전망, 성장 초기 단계로 해외 기업이 진출하기에 적합

중국의 실내 방향제 수입은 지난 3년간 하락세를 기록했으나, 디자인, 품질 등 경쟁력을 바탕으로 소비자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한국산 제품의 수입은 지속 증가 추세

디자인과 기능성 혁신, 타깃별 맞춤형 신제품 출시, 프리미엄 이미지 마케팅 등 효과적인 전략을 마련해 중국 시장 진출 필요

상품명 및 HS CODE


품목명

실내 방향제

HS CODE

3307.90

품목 설명

기타 방향제 제품 (화장 및 세면품 포함)

301 위험화학품, 인화성 있는 액체

302 기타 화공품

303 의료기계, 콘택트렌즈 등 청결과 소독 보양제품

304 의료기계, 해수 비강 세정액


시장동향

 

방향제는 향기를 통해 가정과 주변 공간의 공기질을 개선해 아늑하고 편한 느낌을 주는 제품이다. 가정용 방향제는 유불향(火香氛)성과 무불향(无火香氛) 카테고리로 구분된다. 유불향 제품군에는 향초와 선향(线香)이, 무불향 제품군에는 고체 디퓨저(固体香薰)가 포함된다.

 

중국의 가정용 방향제 시장은 아직 성장 초기 단계로 글로벌 브랜드들이 먼저 시장에 진입해 시장 점유율을 차지해 왔다. 2020년 이후 개인 소득 증가와 실내 공기 질 개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국 브랜드들이 성장하고 시장이 빠르게 성장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쯔앤컨설팅(智研咨询)의 보고에 따르면, 중국의 방향제 전체 시장규모는 2024년 174억3000만 위안(약 24억2000만 달러)규모에서 2028년 약 539억 위안(약 74억9000만 달러)까지 성장하며 약 3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화경산업연구원(華経産業研究院)의 분석에 따르면, 가정용 방향제는 전체 방향제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품목으로 가장 빠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2023년 기준 86억8000만 위안(약 12억560만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15.3%의 성장을 기록했다. 중국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실내 공기질 개선에 대한 수요 증가가 주요 성장 동력이 되는 것으로 조사된다. 


<2018~2023년 중국 가정용 방향제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자료: 쯔앤컨설팅(智研咨询)]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한국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중국 실내 방향제 수입시장은 2019년 2억6100만 달러에서 2024년 2억1900만 달러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중국의 개인 소득 증가와 실내 공기질 개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국의 방향제 업체들이 두각을 나타내며 성장하고 있고, 주요 수입제품의 현지 생산 확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서는 최근 동방향(东方香) 및 중국풍의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중국 실내방향제 수입현황 (HS CODE 3307.90 기준)>

(단위: US$ 백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4a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8pixel, 세로 380pixel

[자료: 한국무역협회]


2024년 기준 중국 실내 방향제 제품 주요 수입국은 미국(7260만 달러), 일본(3670만 달러), 한국(800만 달러), 영국, 싱가포르, 태국, 홍콩,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등이다. 최대 수입국인 미국과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은 크게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반면,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2022년 365만 달러에서 808만 달러까지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 제품이 가진 우수한 품질과 차별화된 , 효과적인 브랜드 스토리텔링 등 특징이 현지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어 현지 소비자들의 구매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중국 실내 방향제 국가별 수입현황 랭크 (HS CODE 3307.90기준)>

(단위: US$ 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6e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21pixel, 세로 438pixel

 [자료: 한국무역협회]

 

경쟁동향

 

중국 실내 방향제 시장은 현재 딥티크(Diptyque), 조말론(Jo Malone) 등 해외 프리미엄 브랜드가 38%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이들은 온·오프라인 통합 채널 전략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 확산에 주력하고 있다. 징둥(JD)과 티몰(T-mall) 등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는 글로벌 브랜드의 판매량과 단가가 중국 로컬 브랜드 대비 월등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중국 로컬 방향제 브랜드들은 아직 초기 성장 단계로 주요 제품들은 글로벌 브랜드와 비교해 약 30% 저렴한 가격대에서 경쟁하고 있다. 최근 중국 브랜드들은 "애국소비(国风)" 컨셉을 활용한 브랜드 스토리텔링과 프리미엄화 전략을 통해 제품 단가 상승과 브랜드 이미지 개선에 집중하고 있다. 중국 브랜드들은 주로 베이징, 상해, 산둥, 절강, 광동 등 1선 도시를 위주로 시장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중국 소매시장 판매 중 주요 실내방향제 제품>

(단위: US$ 달러)

연번

기업명

방향제 이미지

제조사

(원산지)

가격(달러)

1

Jo Malone

祖马龙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ed82e4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96pixel, 세로 422pixel

영국

110.1

2

Diptyque

蒂普提克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ed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4pixel, 세로 365pixel

프랑스

171.2

3

THE BEAST 野兽派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ed8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01pixel, 세로 476pixel

중국

64.0

4

Dior

迪奥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ed8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6pixel, 세로 414pixel

프랑스

100.6

5

Estee Lauder

雅诗兰黛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ed8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5pixel, 세로 567pixel

미국

40.0

6

Burberry

博柏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ed8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39pixel, 세로 319pixel

영국

62.8

7

Tosummer

观夏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ed8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5pixel, 세로 366pixel

중국

24.2

8

Songchao

宋朝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ed8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1pixel, 세로 407pixel

중국

28.1

9

Qiwei tushuguan

气味图书馆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ed8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29pixel, 세로 423pixel

중국

15.2

10

RECLASSIFIED

调香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ed800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16pixel, 세로 556pixel

중국

26.3

[자료: 징둥(JD) 및 티몰(T-mall) 등 중국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


유통구조

 

중국의 실내 방향제 시장은 원료 공급 → 제품 생산 → 유통 → 최종 판매의 전형적인 4단계 밸류체인을 형성하고 있다. 채널별 비중 및 특성을 살펴보면, 온라인 채널이 전체 매출의 약 67% 이상을 차지하고, 징동(JD), T몰(T-mall) 등 대형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중심으로 판매가 이뤄진다. 최근에는 라이브 커머스와 소셜 마케팅 활용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오프라인 채널 매출은 전체 매출의 약 33%를 차지하는데, 주로 백화점의 프리미엄 매장과 방향제 전문 소매점, 편의점 및 생활 용품점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중국 실내 방향제 주요 밸류체인>

단계

주요 특징

원료 공급

천연 및 합성향료, 알코올, 고정제 등 핵심 원재료 조달

제품 생산

향료 배합기술, R&D 역량, 제품 디자인 경쟁력 결정

유통 단계

온라인 플랫폼과 오프라인 매장의 멀티채널 전략

최종 판매

전자상거래, 브랜드 직영, 오프라인 백화점, 전문매장

[자료: 쯔앤컨설팅(智研咨询)]


관세율 및 수입 인증

 

2025년 기준, 원산지가 한국인 실내 방향제 제품을 중국으로 수입할 때, 최혜국 MFN 협정에 따른 3.0% 관세가 적용된다.

 

<실내 방향제 제품 수입 세율>

HS Code

품목명

관세

(한중 FTA)

RCEP

증치세

(부가세)

한중

FTA

최혜국

MFN

3307.90

실내 방향제

5.8%

3.0%

-

13.0%

[자료: 중국 해관 수출입 세칙 (2025년)]



중국 《화장품 등록비안 자료 관리 규정(化妆品注册备案资料管理规定)》에 의해 처음으로 특수화장품 혹은 보통화장품 등록을 신청할 경우, 중국 내 등록 신청인 및 비안인(备案), 중국 경내 책임자는 아래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중국 실내 방향제 수출 관련 인증 서류>

 기업에 대한 인증 요구

연번

요구 내용

1

등록인, 비안인 기본정보표 및 품질 안전 책임자 이력서

2

등록인, 비안인 품질 관리 체계 개요

3

등록인, 비안인 불량 반응 모니터링 및 평가 계 개요

4

중국 경내 책임자 정보표

5

중국 내 책임자 수권서 원본 및 공증서 원본

6

생산 업체 기본정보표

*생산 업체가 해외업체일 경우 해외생산규범 증명자료 원본 제출 필요

수입 인증 관련 등록 자료

연번

요구 내용

1

<화장품 등록비안 기본정보(化妆品注册备案信息表)>

2

제품 명칭

3

제품 성분표

4

제품 집행 표준

5

제품 라벨 견본

6

제품 검사보고서

7

제품 안전평가자료

[자료: 업계통찰(行业洞察)]


시사점

 

중국 실내 방향제 시장은 높은 성장성과 낮은 브랜드 집중도 등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디자인과 품질 등에서 경쟁력을 갖춘 한국 제품의 전략적 시장 진입의 기회는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 기업들은 제품 차별화 전략으로 독창적인 디자인과 기능성 혁신을 통한 경쟁우위 확보, 타깃 세분화 전략으로 직장 여성 및 신혼부부 등 세부 타깃별 맞춤형 제품 기획, 프리미엄 포지셔닝 전략으로 고급 이미지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가치 제고 등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 효과적인 전략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지역별로는 높은 구매력을 바탕으로 신제품 수용성이 높은 1선 도시인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을 진출 거점으로 설정하고, 효과적인 유통 인프라를 구축해 나가는 것이 유리해 보인다. 중국 시장에서 적정 인지도를 확보한 후에는 중산층이 많고, 구매력이 뒷받침되는 2선 도시인 항저우, 청두, 시안, 선양, 창춘 등 도시로의 확장도 검토해 나가야 할 것이다. 

  

 

자료: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쯔앤컨설팅(智研咨询), 한국무역협회, 산업연구원(产业研究院), 중국해관 수출입 세칙(2025년), 징둥 및 T몰, 업계통찰(察), KOTRA 창춘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실내 방향제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