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네시아 선박 추진용 엔진 시장동향
- 상품DB
- 인도네시아
- 수라바야무역관 이우주
- 2025-06-18
- 출처 : KOTRA
-
세계 최대의 군도국가 인도네시아, 조선산업은 국가 경제 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산업
HS Code 및 상품명
HS Code
품목 설명
840810
선박 추진용 엔진
시장 동향
인도네시아는 전체 해양 면적이 육지 면적의 3분의 2 이상이며, 1만7000개의 섬으로 이뤄진 세계 최대 군도국가이다. 이는 인도네시아의 거의 모든 섬에서 연안선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 수 있는데(약 8만1000 km), 이를 통해 인도네시아가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긴 해안선을 가진 나라임을 알 수 있다. 1982년 12월 10일에 체결된 유엔해양법협약(UNCLOS) 기준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해역 면적은 약 325만7357km²이고, 육지 면적은 약 191만9440km²에 이른다. 이 광활한 해역은 인도네시아에 풍부한 수산자원을 비롯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인도네시아의 선박용 엔진 시장은 그 규모가 작지 않다. 인도네시아는 수많은 섬으로 이루어진 해양 국가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바다에 의존해 생계를 유지하며 교통수단으로 활용하기 때문이다. 이는 농어촌에서의 생계와 어업, 그리고 섬 간 교통을 위한 보트, 페리, 섬 간 수송 선박 등에 필요한 소형 엔진 수요를 촉진한다.
인도네시아 내 선박용 엔진 시장이 큰 이유는 해양 국가적 특성과 해양 활용을 통한 생계유지, 섬 간 교통 수요, 선박 건조 및 수리 산업 등에서 기인한다. 인도네시아에서 널리 판매되는 600마력 미만(약 447 kW)의 디젤 엔진(소형 해양 엔진 범주)에 대해 살펴보면, 어선, 페리, 어선 등 다양한 선종에 적합한 엔진이다. 인기 있는 디젤 엔진 브랜드로는 Yanmar, Mitsubishi, Nigata, Cummins, Volvo, Weichai, Yuchai 등이 있다. 이 밖에도 한국의 현대(Hyundai), 두산(Doosan), 이탈리아의 BRP와 FPT, 핀란드의 Wartsilla 등 여러 나라 브랜드도 시장에 진입해 있다.
주요 모델로는, Yanmar의 6AYM 시리즈, 6HA2M 등, Cummins의 KTA19 시리즈, 그리고 Weichai의 다양한 모델이 인도네시아에서 인기이다. 전반적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소형 해양 엔진은 약 40에서 800마력(약 447 kW) 범위의 디젤 엔진이 주로 사용되며, 이들 엔진은 기어박스와 함께 다양한 소형 선박(어선, 섬 간 페리 등)에 탑재돼 사용된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어선, 페리, LCT(경량대형선), 예인선 등 소형 선박의 필요성이 매우 높다. 지리적 특성상 인도네시아는 군도 국가이기 때문에, 섬 간 이동과 화물 운송을 지원하기 위해 소형 및 중형 선박 교통 수요는 매년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바탐 조선소 및 해양 협회(Batam Shipyard & Offshore Association, BSOA) 소속 모니시 노비 하스니 왈리울루(Mrs. Novi Hasni Waliulu) 회장은 “많은 광산이 해상 운송을 통해 석탄을 운반하는 만큼, 예인선에 대한 수요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에서는 월 평균 600척 이상의 바지선(크기 270피트 ~ 330피트)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를 1년간 곱하면 약 7500~8000척에 달하는 규모이다. 이 유형의 예인선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선박 엔진 출력 범위는 350마력에서 1200마력 사이이다”라고 말했다.
수입 동향
인도네시아 시장에서는 여러 브랜드의 선박 엔진이 판매되고 있으며, 이는 시장이 여전히 넓은 기회를 갖고 있음을 시사한다. 경쟁이 치열하지만, 시장 기회는 상당히 크다. 일본, 미국, 중국, 한국, 네덜란드 등 여러 나라의 브랜드들이 인도네시아 내에서 판매되고 있다.
또 다른 이유는, 2023년에는 1000마력 이하(750kW 이하) 소형 엔진 범주의 수입액이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며, 2024년에는 더욱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돼, 이 제품에 대한 시장 수요가 상당히 높고 시장 기회도 지속해서 열려 있음을 나타낸다.
<인도네시아 최근 3년간 HS 코드 840810(선박 추진 엔진; 100kW 초과 but 750kW 이하)의 수입 규모 및 수입 동향>
연번
구분
Amount ( USD )
Share (%)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1
일본
5,558,114
9,560,795
15,512,539
52.21
58.49
62.27
2
중국
2,590,748
3,410,028
5,138,211
24.33
20.86
20.62
3
미국
530,773
858,254
2,182,590
4.98
5.25
8.76
4
스웨덴
751,549
861,276
973,633
7.06
5.26
3.90
5
싱가포르
191,396
752,230
316,157
1.79
4.60
1.26
6
말레이시아
366,085
299,357
281,476
3.43
1.83
1.13
7
대한민국
127,219
215,197
207,110
1.19
1.31
0.83
8
인도
158,997
35,921
167,346
1.49
0.21
0.67
9
대만
85,807
144,023
81,335
0.8
0.88
0.32
10
독일
271,449
169,267
30,916
2.55
1.03
0.12
11
UAE
12,765
37,410
17,720
0.11
0.22
0.07
Total
10,644,902
16,343,758
24,909,033
[자료: https://www.bps.go.id/id/exim]
2022년 기준으로 일본이 수출액 555만8114달러로 1위를 차지했으며, 그 뒤를 이어 중국이 2위, 스웨덴이 3위에 올랐다. 4위는 미국이었으며, 상위 5개국 마지막 순위에는 말레이시아가 이름을 올렸다.
2023년에도 1위는 일본이 차지했으며, 인도네시아로의 수출액이 956만795달러에 달하여 시장 점유율 58.49%를 확보했다. 2위, 3위, 4위는 작년과 동일하게 중국, 스웨덴, 미국이 각각 차지했다. 한편, 5위는 말레이시아를 대신하여 싱가포르가 자리 잡았다.
2024년에는 1위와 2위를 차지하는 국가가 여전히 일본과 중국으로 유지되고 있다. 일본의 수출액은 계속 증가하며, 시장 점유율은 62.27%에 달하여 인도네시아로의 수출액이 1551만2539달러에 이른다. 3위는 미국이 차지했으며, 스웨덴은 4위로 밀려났다. 미국은 2024년에 수출액이 많이 늘어나 2,182,590달러를 기록하며 시장 점유율은 8.76%에 달한다. 한편, 5위는 여전히 싱가포르가 차지하고 있다. 추가로, 인도네시아는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로부터도 선박 엔진을 수입하고 있는데, 두 나라 모두 일본, 미국, 한국, 중국, 스웨덴, 유럽 등 여러 나라에서 제조된 선박 엔진의 유통업체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 현상은 여러 원인에 기인한다. 예를 들어, 바탐주의 많은 조선소는 일본, 미국, 한국 등에서 제조된 선박 엔진과 기타 부품을 싱가포르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데, 바탐과 싱가포르는 모두 특별경제구역이어서 세금 혜택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싱가포르에 위치한 일부 회사의 창고가 바탐에 있어, 세금이 없기 때문에 가격이 직접 제조국에서 수입하는 것보다 훨씬 저렴하게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동부자바의 조선소 및 바지선 제조 업체인 PT Lintech Duta Partama에 따르면, 많은 선박 엔진이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서 수입되는 이유로 때때로 신규 선박 프로젝트용 엔진을 구하는 데 생산과 배송이 1년 이상 걸리는 어려움이 발생하는데, 선주가 요구하는 작업이 지체될 수 없어서 선박 엔진을 인근국 싱가포르 또는 말레이시아에서 수입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고 전했다. 또한, 재고가 없을 경우, 필요에 따라 다른 나라에서 재고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엔진을 구한다. 이와 같은 상황은 인도네시아 조선산업에서 흔히 발생하는데, 이는 연도별로 엔진 제조사별로 인도네시아 시장의 할당량이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수요가 할당량보다 클 경우, 재고가 부족하게 되고, 결국 사용자는 다른 나라의 대리점을 통해 엔진을 구매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수입 시스템, 관세 및 유통 구조
수입 통제 시스템 (통관 관련 참고사항 포함):
인도네시아 INSW(Indonesia National Single Window) 정보에 따르면, 이 품목은 수입 규제가 따로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www.insw.go.id)
관세:
HS 코드 84081010(선박 추진 엔진; 출력 최대 22.38kW)에 부과되는 관세는 다음과 같다:
수입 관세: 5%
부가가치세(VAT): 12%
소득세: 2.50% (API / Angka Pengenal Importir 보유 시)
소득세: 7.50% (API / Angka Pengenal Importir 미보유 시)
수입자가 이미 API(수입자 등록번호)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소득세는 2.50%로 적용되고, 아직 API가 없는 경우에는 7.50%의 소득세가 부과된다.
이 규정은 인도네시아 재무부의 PMK.26/PMK.010/2022와 2024년 제131호 규정을 기준으로 한다.
주요 유통 채널
인도네시아의 선박 엔진 제품 유통 구조는 대략 다음과 같다
1. 제조사 → 수입업체(유통사 또는 대리점) → 유통업체 → 조선소, 선박 엔진 판매점 → 최종 사용자/고객
2. 제조사→ 수입업체(유통사 또는 대리점) → 조선소 또는 최종 사용자/고객
경쟁 트렌드
인도네시아 내 선박 엔진 시장에서 주요 경쟁 업체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여러 조선소(예: PT Dok Pantai Lamongan, PT Orella Shipyard, PT Dumas Tanjung Perak Shipyard)와 접촉하여, 1000마력 이하 또는 750kW 이하 범주의 가장 인기 있고 널리 사용되는 선박 엔진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그 결과, 가장 인기 있고 널리 쓰이는 브랜드는 Yanmar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Nigata, Mitsubishi, Cummins, 그리고 Caterpillar 브랜드가 따르고 있으며, 이들도 많은 고객과 선주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중국산인 Weichai 브랜드도 어부와 소형 선박(예: 어선)에서 상당히 널리 쓰이고 있다. 다만, 예인선(트라우트), 페리, 소형 여객선, 섬 간 연결선 등의 경우는 여전히 Yanmar와 Cummins 엔진 또는 Volvo 브랜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한국 소형 해양 엔진 제품에 대한 인지도
한국산 선박 엔진 브랜드는 인도네시아에서도 꽤 잘 알려져 있는데, 특히 인도네시아 조선소들이 잘 알고 있는 브랜드로는 현대 해양엔진(Hyundai Marine Engine), 두산 해양엔진(Doosan Marine Engine), 그리고 대우조선해양(DSME)이 있다. 다만, 대우조선해양은 대형 선박용(750kW 이상) 디젤 엔진에 주로 적용되는 브랜드임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가격 정보 (환율 약 1 USD = IDR 16,400 기준)
아래는 1000마력 미만 범위의 선박 엔진 가격 데이터이며, 무작위로 수집된 고객(최종 사용자) 가격이다.
Weichai 165 HP (CWPC 165): 약 USD 9,600
Weichai TL 12 450 HP: 약 USD 26,00
현대(Hyundai) 403 TA 시리즈 120-150 HP: 약 USD 26,554
현대 403 시리즈 100 HP: 약 USD 22,865
Yanmar 250-350 HP: 가격 범위는 USD 18,292에서 USD 30,487 사이이며, 가격은 모델, 사양, 최신 또는 구형 모델의 상태, 배송비, 설치, 예비 부품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Cummins QSB, QSC, QSL 시리즈 100-400 HP: 가격은 USD 50,000에서 USD 200,000까지 다양하다.
Cummins는 QSB, QSC, QSL 등 다양한 해양 엔진 시리즈를 제공하며, 출력이 높거나 최신 모델일수록 가격이 더 비싸다.
시사점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의 도서국으로서, 자연스럽게 선박이 국민들의 일상생활과 교통수단으로서 필수적 역할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산업적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국가임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인도네시아의 조선산업은 단순한 선박 생산을 넘어서 국가 경제 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경제적 발전을 이끄는 핵심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우리 기업이 인도네시아 시장에 선박용 엔진을 공급하고자 한다면, 단순한 시장 진출 전략을 넘어, 인도네시아 조선산업의 전반적인 생태계와 산업 구조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볼 수 있다.
자료: 인도네시아 선주협회, 인도네시아 바탐조선소협회, 인도네시아 산업부 등 정부부처 발표자료, KOTRA 수라바야 무역관 자체 인터뷰 및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인도네시아 선박 추진용 엔진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미국 LA 도심 누비는 배달 로봇, 실험을 넘어 확산으로
미국 2025-06-18
-
2
2025 캄보디아 세무·회계 최신동향 및 EU 통상·FTA 이슈 세미나 참관기
캄보디아 2025-06-18
-
3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 격변기, 일본의 준비 상태는?
일본 2025-06-18
-
4
베트남 콘택트렌즈 시장동향
베트남 2025-06-18
-
5
파키스탄 색조 립스틱 화장품 시장동향
파키스탄 2025-06-18
-
6
독일 자동차 산업 흔든 공급망 충격파,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부상
독일 2025-06-19
-
1
2025년 인도네시아 의료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5-03-04
-
2
2024년 인도네시아 기초금속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4-10-24
-
3
2024년 인도네시아 관광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4-10-10
-
4
2021년 인도네시아 소비재 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2-01-10
-
5
2021년 인도네시아 기계 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2-01-10
-
6
2021 인도네시아 건설 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2-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