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철도 인프라 확장 정책과 공공조달, 우리 기업에 열리는 기회는?
- 트렌드
- 영국
- 런던무역관 박선민
- 2025-06-11
- 출처 : KOTRA
-
영국의 핵심 교통 인프라 철도산업, 단계적 국영화 추진
공공조달 방식을 통해 철도산업에 필요한 제품과 서비스 조달, 다양한 기업에 기회
산업혁명의 상징인 영국의 철도산업은 영국 경제의 발전을 이끈 전통적인 인프라 산업 중 하나이다. 영국 철도산업협회(Railway Industry Association)에 따르면, 영국의 철도산업은 약 360억 파운드의 경제적 가치와 60만 개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현재 영국 전역에는 총 2585개의 기차역과 1만5846km의 철도노선이 구축돼 있으며, 철도 이용객 수는 2023년 3월부터 2024년 3월까지 연간 총 16억1200만 명을 기록했다. 또한, 영국 정부의 전체 대중교통 인프라 지출금액 가운데 철도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59%로, 이를 통해 철도산업이 영국 내 지역경제를 연결하는 핵심 교통 인프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 1 GBP = 1,860.03 KRW (‘25.5월 우리은행 월평균 환율 기준)
영국 정부는 철도 인프라 개선을 위해 철도망 확장 등 지속적인 인프라 개발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앞으로도 영국 철도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 철도 운영 시스템
영국의 철도 시스템은 공공과 민간이 혼합된 형태의 운영 방식을 가지고 있다. 공공기관인 네트워크 레일(Network Rail)이 선로, 역, 신호체계 등 전반적인 철도 인프라를 관리하며, 국가 철도 인프라의 대부분을 소유하고 운영한다. 철도 노선의 운영은 철도운영사(Train Operating Companies, TOCs)가 맡고 있으며, 철도운영사는 영국 교통부(Department for Transport, DfT)가 소유한 공기업과 철도운영권을 위탁받아 운영하는 민간기업으로 구성돼 있다.
현재 영국 노동당 정부는 주요 총선 공약 중 하나였던 철도 국영화 정책을 추진 중이다. 민간 운영사의 잦은 파업과 이에 따른 서비스 불안정 문제, 복잡한 승차권 체계, 높은 정부 보조금 의존도 등의 문제가 주된 이유이다. 현재 영국 교통부(DfT) 산하 공기업인 DfT Operator*가 잉글랜드 지역의 철도운영권을 인수할 계획으로, 각 민간 철도운영사와의 계약기간이 종료되면 이를 갱신하지 않고 공공 운영으로 전환 예정이다. 2025년 5월에는 런던의 도심과 광역 런던 남서부를 잇는 사우스웨스턴 레일웨이(Southwestern Railway), 7월에는 런던과 에식스(Essex)를 연결하는 C2C, 가을에는 동부해안의 그레이터 앵글리아(Greater Anglia)가 차례로 국영화될 계획이다. 전체 국영화 과정에는 약 3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국영화 이후에는 DfT Operator에서 해당 철도 노선을 직접 운영하게 된다. 이후에는 국영철도회사인 그레이트 브리티시 레일웨이(Great British Railways, GBR)로 통합될 예정이다.
* 주: DfT Operator는 법적으로 “Operator of Last Resort(OLR)”로 알려져 있으며, 민간 운영사 계약이 해지됐을 때 공공 운영을 맡는 역할을 담당
영국 국영철도회사 GBR은 영국의 철도 인프라 및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해 신설되는 새로운 독립기관으로, 2026년 말부터 운영될 예정이다. GBR은 열차운행 뿐만 아니라 철도 인프라 관리까지 책임질 예정이며, 현재의 복잡한 승차권 체계를 개혁해 더 간편한 티켓 구매와 승객수를 최대한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기업
영국에는 총 24개의 철도운영사(TOCs)가 있으며, 철도운영사들은 열차임대회사(Rolling stock leasing companies, ROSCO)에게 임대료를 지불해 철도 차량을 장기 임대하는 방식으로 노선을 운영한다. 최근에는 철도운영사 Grand Central이 히타치(Hitachi)와 전기·디젤·배터리 3중 구동 방식의 5칸 1편성 열차 도입 계약을 체결했으며, 2028년부터 10년간 임대 방식으로 9대의 히타치 레일 차량을 도입할 예정이다.
영국 내 운영 중인 주요 철도운영사는 다음과 같다.
<영국 철도운영사(TOCs) 목록>
기업명
소유처
홈페이지
Avanti West Coast
First Group / Trenitalia
https://www.avantiwestcoast.co.uk
C2C
Trenitalia
http://www.c2c-online.co.uk
Caledonian Sleeper
Scottish Rail Holdings
https://www.sleeper.scot/
Chiltern Railways
Arriva UK Trains
http://www.chilternrailways.co.uk
CrossCountry
Arriva UK Trains
http://www.crosscountrytrains.co.uk
East Midlands Railway
Transport UK Group
http://www.eastmidlandsrailway.co.uk
Elizabeth line
MTR Elizabelth line
* TfL 계약
https://tfl.gov.uk/modes/Elizabeth-line
Govia Thameslink Railway
(Gatwick Express, Great Northern, Southern, Thameslink)
Govia
https://gtrailway.com/
Grand Central
Arrival UK Trains
http://www.grandcentralrail.com
GWR
First Group
http://www.gwr.com
Greater Anglia
Transport UK
https://www.greateranglia.co.uk/
Heathrow Express
Heathrow Airport Holdings
http://www.heathrowexpress.com
Hull Trains
FirstGroup
https://www.hulltrains.co.uk
LNER
(London North Eastern Railway)
DfT Operator
https://www.lner.co.uk/
London Overground
Arrival Rail
* TfL 계약
http://www.tfl.gov.uk/overground
Lumo
FirstGroup
https://www.lumo.co.uk/
Merseyrail
Serco / Abellio
https://www.merseyrail.org/
Northern
DfT Operator
https://www.northernrailway.co.uk/
ScotRail
Scottish Rail Holdings
http://www.scotrail.co.uk
South Western Railway
FirstGroup / MTR Corporation
https://www.southwesternrailway.com
Southeastern
DfT Operator
http://www.southeasternrailway.co.uk
TransPennine Express(TP)
DfT Operator
http://www.tpexpress.co.uk
Transport for Wales(AW)
Welsh Government
https://tfw.wales/
West Midlands Trains
(West Midlands Railway, London Northwestern Railway)
Transport UK Group
http://www.westmidlandsrailway.co.uk
[자료: 네트워크 레일(Network Rail), KOTRA 런던무역관 가공]
영국 내 주요 열차임대회사(ROSCO) 및 제조기업은 다음과 같은 곳들이 있다.
<영국 주요 열차임대회사(ROSCO) 및 제조기업>
구분
기업명
홈페이지
열차임대회사
(Leasing Companies)
Angel Trains Ltd
https://angeltrains.co.uk/
Beacon Rail
https://beaconrail.com/
Caledonian Rail Leasing
-
Eversholt Rail Group
https://eversholtrail.co.uk/
GE Capital
https://www.gevernova.com/
Halifax Asset Finance
-
Macquarie European Rail
-
Lombard North Central
https://www.lombard.co.uk/
Porterbrook Leasing Company Ltd
https://www.porterbrook.co.uk/index.html
Rock Rail
-
열차제조기업
(Train builders)
Alstom
https://www.alstom.com/alstom-uk-and-ireland
Hitachi Europe Ltd
-
Siemens Transportation Systems Ltd
-
[자료: 영국철도도로청(Office of Rail and Road, ORR)]
이외에도 선로, 건축 및 토목, 신호, 전력 및 통신 등의 철도산업 전반에 제품 및 서비스를 공급하는 기업은 다음과 같다.
<영국 지역별 주요 철도산업 관련 기업>
[자료: 네트워크 레일(Network Rail)]
영국 철도시장 공공조달
영국 철도시장은 필요한 차량과 부품 등을 대부분 공공 입찰 방식을 통해 조달한다. 철도 인프라 전반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인 네트워크 레일(Network Rail)은 현재 공공조달 방식을 통해 4000개 이상의 기업들로부터 영국 철도산업에 필요한 서비스와 물품들을 조달하고 있다. 매년 약 70억 파운드 규모의 공공조달 거래가 진행되고 있으며, 전체 거래 규모 중 최소 33%인 20억 파운드를 중소기업과의 거래에 사용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이와 관련해 네트워크 레일 관계자는 KOTRA 런던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것은 혁신, 비용 효율성, 지역 경제 성장, 경쟁 촉진, 다양성, 지역 정보 및 기술 도입 등의 다양한 이익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이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2023년 영국 정부의 ‘2023 공공조달법’ 도입에 따라 네트워크 레일 역시 해당 법안에 부합하도록 철도산업 분야 조달 방식을 개정했다. 주요 업데이트 내용은 △네트워크 레일 웹사이트와 영국 정부의 ‘Find a Tender Service(FTS)’ 사이트 모두에 조달 정보 공개, △구체적인 예비 입찰 정보 공개, △입찰 절차 축소 및 유연한 개방형 프레임워크 확대 운영, △네트워크 레일 자체 조달 프로세스 설계, △중앙 디지털 플랫폼에 공급기업 등록 및 저장 등이다.
<2023 공공조달법(The Procurement Act 2023)>
개요
- 2023년 10월 제정, 2025년 2월 24일부터 본격 시행
- 영국의 공공조달 체계를 전면 개편해 절차를 간소화하고 투명성을 높이며 중소기업과 사회적 기업의 참여를 확대하는 것이 주요 목표
- 정부 부처, NHS, 지방자치단체, 학교, 공공서비스 제공기업, 경찰 및 소방서 등에 제품을 공급하는 모든 기업에 적용
주요 내용
- 계약 체결 절차 간소화
- 공공계약에서 가격 외에도 품질, 혁신, 사회적 가치 등 고려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참여 확대 및 지원 강화
- 정보 공개 의무 확대
- 환경 위반, 노동시장 위반, 계약 불이행 등 부적격 업체에 대한 제재 강화
- 공공기관 조달 시 사회적 가치 고려 (고용 창출, 기술 개발, 탄소배출 감소 등 다양한 사회적 목표 포함)
[자료: 영국 정부 웹사이트(GOV.UK)]
네트워크 레일에 제품 및 서비스 공급기업으로 등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 레일(Network Rail) 공급기업 등록 절차>
1
ㅇ 영국 정부의 중앙 디지털플랫폼에 등록
- 모든 공공부문 조달에 참여하려는 공급기업 등록 필수
2
ㅇ 네트워크 레일의 공공조달 포털 Bravo NR 등록
3
ㅇ 공급하려는 상품 및 서비스가 철도산업 품목분류목록(RICCL)에 포함되는 경우, RISQS 시스템에 공급기업으로 등록
- 안전과 관련된 핵심 물품 및 서비스를 공급하고자 하는 공급기업의 경우, RISQS 시스템에 감사(audit)를 받는 공급기업으로 등록 필요
* 철도산업 품목분류목록(RICCL): https://www.risqs.org/riccl
** RISQS 시스템 등록: https://www.risqs.org/
4
ㅇ Bravo NR 및 Network Rail procurement pipeline을 통해, 입찰 가능한 프로젝트 및 연락처 정보 확인
* '25년 5월 기준 조달 파이프라인 정보: https://www.networkrail.co.uk/industry-and-commercial/supply-chain/procurement/
5
ㅇ 해당 조달과 관련된 네트워크 레일 표준(Network Rail Standards) 숙지
[자료: 네트워크 레일(Network Rail), KOTRA 런던무역관 가공]
네트워크 레일은 철도안전표준위원회(Rail Safety and Standards Board, RSSB)가 운영하는 철도 공급기업 품질보증체계(Railway Industry Supplier Qualification Scheme, RISQS)를 공식 자격시스템(Qualification System)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레일에 철도산업 품목분류목록(Rail Industry Commodity Classification List, RICCL)에 해당하는 제품 및 서비스를 공급하려는 기업의 경우, RISQS 시스템에 공급기업으로 등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해당 시스템 포털은 잠재 구매자와 공급기업을 연결해 주는 포털로써의 역할도 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레일은 해당 시스템에 등록된 기업 중에서 직접 기업을 선정하기도 한다.
RISQS 시스템 포털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받아야 하며, 이를 위해 RISQS 가입 후 기업의 서비스에 맞는 설문지 작성을 통해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제출해야 한다. 안전과 관련된 핵심 물품 및 서비스를 공급하고자 하는 공급기업은 추가로 RISQS 시스템에 감사(audit)를 받는 공급기업으로 등록해야 한다. RISQS에 등록을 완료하고, 감사 상태(audited status)를 갖춘 공급기업이 된 후에 네트워크 레일과 직접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감사(audit)를 받아야 하는 기업의 경우, 경영시스템 및 인적·물적 자원 등을 평가해 업계 전반에서 요구하는 사항에 대한 준수 여부를 입증해야 하며, 모든 과정이 종료된 후 인증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철도운영사(TOCs)나 Tier1 공급기업들에서 요구하는 자격 인증(assurance) 시스템은 모두 다르므로 RISQS 이외에도 추가적인 인증, 평가, 실사 등을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구매기관에 제품을 납품하려는 기업의 경우 각 구매기관에서 요구하는 인증 시스템을 별도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사점
영국 정부가 추진하는 철도 인프라 확장 정책에 따라, 영국 내 철도산업 관련 부품 및 서비스의 수요는 앞으로도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 철도산업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레일(Network Rail)에서는 다양한 기업들과의 협력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 기업들 역시 기회를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국 철도산업에서의 공공조달 기회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수요 분야를 미리 파악해 두는 것이 기회를 잡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한-영 철도 기술 관련 공동연구를 통한 우리 기업과 현지 기업 간의 협력 또한 기대해 볼 수 있다. 실제로 작년 9월에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과 영국 네트워크 레일(Network Rail)이 기술협력 협약을 체결하며, 기술 세미나 개최, 공동연구 및 기술협력, 교육 프로그램 등 공동연구 진행을 약속한 바 있다. 이러한 한-영 국제공동연구 등이 기술 관련 시너지를 만들어내어 우리 기업이 영국 철도시장에 진출할 기회를 열어주길 기대해 본다.
자료: 영국 정부 웹사이트(GOV.UK), 영국 철도도로청(ORR), 네트워크 레일(Network Rail), KOTRA 런던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영국 철도 인프라 확장 정책과 공공조달, 우리 기업에 열리는 기회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영국,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순환 경제에 주목
영국 2025-06-11
-
2
베트남 스마트시티, 기술과 거버넌스 수출의 새로운 무대
베트남 2025-06-10
-
3
사프란·에어버스 투자… 멕시코, 정책 지원 업고 중남미 항공우주 투자 허브로 부상
멕시코 2025-06-11
-
4
미국 고압케이블 시장동향
미국 2025-06-12
-
5
중국 소비 촉진의 새로운 엔진, ‘스포츠 소비’
중국 2025-06-12
-
6
AI 패권 다툼의 신호탄: OpenAI, 독일 뮌헨 진출로 시장 재편 노린다
독일 2025-06-11
-
1
2025년 영국 원자력 산업 정보
영국 2025-04-07
-
2
2024년 영국 자동차산업 정보
영국 2024-08-02
-
3
2024 영국 금융 산업 동향
영국 2024-07-12
-
4
2021년 영국 농식품 산업 정보
영국 2021-09-30
-
5
2021년 영국 항공우주-방위 산업 정보
영국 2021-09-23
-
6
2021년 영국 IT산업 정보
영국 2021-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