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스리랑카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시장동향
  • 상품DB
  • 스리랑카
  • 콜롬보무역관 Bora Kang
  • 2025-05-20
  • 출처 : KOTRA

향후 5년간 연 평균 6%의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 발전 및 저장 시설 확충 필요

품목: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HS CODE: 850760


스리랑카는 2030년까지 국가 총 전력의 70%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현재 국가전력망은 98% 정도 연결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증가하고 있는 에너지 수요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스리랑카 전력청(Ceylon Electricity Board)의 장기 발전 계획(2023-2042년)에 따르면 향후 5년간 전력 수요가 연간 6%씩 증가할 것이며, 에너지 발전 및 저장 시설 가용량도 6%씩 더 필요한 상황이다.

 

수요 증가 요인


스리랑카 전력청의 장기 발전 계획 2023-2042에 따르면 스리랑카는 2025년 말까지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갖춘 150MW~500MW 규모의 태양 에너지 발전 시설, 독립형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350MW의 양수 수력 발전 시설을 갖춰야 한다. 또한 아직까지도 잦은 정전 발생 문제가 있는 만큼, 배터리 저장 시스템 확대를 통한 시설별 에너지를 상시 저장하여 정전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없는 태양광 발전 설비보다 적절한 BESS 용량을 갖춘 태양광 발전 설비 설치를 장려하고, BESS 및 관련 하드웨어를 갖춘 태양광 발전 에너지 사용자에게는 별도의 전기요율을 적용할 계획이다. 또한 합성 관성 및 주파수 안정화를 제공하기 위해 BESS와 함께 계통 형성 인버터를 배치할 계획이며, 계통 유연성 및 에너지 보안을 강화할 600MW 저장 시설인 마하오야(Maha Oya) 펌프형 수력 발전 프로젝트(물 활성화 배터리 사용) 추진도 가속화할 예정이다. 2024년의 경우 재생에너지 발전 중 500MW 이상이 지붕 태양광 설비를 통해 이뤄졌고, 이 분야가 현재 재생에너지 부문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BESS 설치를 확대하여 태양열이 부족한 시간에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최근 스리랑카 내각은 BESS를 포함한 전기 삼륜차의 총 중량을 650kg으로 늘리는 것을 허용하는 자동차 교통법 개정안을 승인했다. 추가 중량을 허용함으로써 기존 삼륜차를 전기차로 전환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스리랑카는 2025년 2월에 5년 만에 차량 수입 제한을 해제했으며, 수입 제한 해제를 하자마자 한 달 동안 3억5000만 달러의 차량을 수입했는데, 차량의 대다수가 비이와이디(BYD), 창안 자동차(Changan Automobile), 현대(Hyundai) 등의 전기차량이었다.

 

수입 동향


HSCODE 850720 그 밖의 연산(鉛酸)축전지의 수입 세율

수입 관세 - 15%

부가가치세 (VAT) - 18%

항만세 (PAL) - 5%

사회보장세 - 2.5%

 

<HSCODE 850720 그 밖의 연산(鉛酸)축전지의 수입 통계>

(2022~2024년(1~12월))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2022

2023

2024

점유율

증감률 (2024/2023)


전세계

11,999

5,327

8,407

100.00

57.81

1

중국

8,121

3,008

5,686

67.64

89.02

2

인도

2,685

1,070

658

7.83

-38.51

3

베트남

195

160

553

6.58

244.49

4

태국

31

12

379

4.51

3,105.98

5

슬로베니아

85

133

263

3.13

97.40

6

그리스

99

138

189

2.24

36.71

7

홍콩

44

23

154

1.83

581.32

8

대한민국

-

1

117

1.40

8,045.07

9

싱가포르

178

115

116

1.38

1.04

10

대만

-

1

62

0.73

6,470.61

[자료: World Trade Atlas]


모든 국가로부터의 총 수입액은 3년 동안 눈에 띄는 변동을 보였다. 2022년 스리랑카는 1199만 달러 상당의 배터리를 수입했지만 2023년에는 경제적 어려움이나 무역 정책의 변화로 인해 수입액이 533만 달러로 급감했다. 2024년에는 수입액이 57.81% 증가한 841만 달러로 크게 회복돼 수요와 무역 활동이 다시 활발해졌다. 스리랑카는 2022년에 한국에서 연산축전지를 전혀 수입하지 않았고, 2023년에는 1000달러에 불과했지만 2024년에는 11만7000달러로 급증하며, 주목할 만한 신흥 수입국으로 부상했다.


2025년 2월 기준, 연산축전지 수입액은 106만 달러로 전년동기비 26.18% 증가한 모습을 보인다. 중국은 53만 9000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하며 시장 점유율 50.8%를 유지하고 있는 와중에 베트남은 2024년 초 5만8000달러에서 2025년 초부터 34만 달러로 수입액이 급증하며 489.77%라는 놀라운 성장률을 기록하여 시장 점유율을 6.86%에서 32.08%로 끌어올렸다. 인도로부터의 수입 역시 전년동기비 111.72% 성장하며 해당 분야에서 주요 교역국으로 남아 있다.

 

<HSCODE 85076090 리튬이온축전지의 수입 통계>

(2022~2024년(1월~12월))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2022

2023

2024

점유율

증감률 (2024/2023)

 

전세계

19,781

7,969

11,468

100.00

43.91

1

중국

17,366

5,745

8,909

77.69

55.08

2

노르웨이

1,355

700

1,103

9.61

57.43

3

싱가포르

586

81

130

1.14

60.53

4

말레이시아

166

7

17

0.15

134.32

5

홍콩

83

12

40

0.35

247.38

6

독일

75

17

11

0.10

-34.81

7

인도

51

57

58

0.50

2.03

8

호주

31

8

5

0.04

-46.09

9

일본

26

92

1,041

9.07

1031.02

10

아랍에미레이트

12

159

9

0.08

-94.53

20

대한민국

0

12

3

0.03

-73.50

[자료: World Trade Atlas]

 

리튬 이온 배터리 수입의 경우 총 수입액은 2023년 797만 달러에서 2024년 1147만 달러로 증가해 43.91% 증가율을 보였다.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891만 달러로 가장 많이 수입했고, 노르웨이는 수입 순위 2위로 110만 달러 상당의 배터리를 수입했지만 시장 점유율은 9.6%로 중국(77.7%)과의 격차는 크다. 반면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액이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역시 일본 전자 제품에 대한 꾸준한 신뢰를 보여준다. 2025년 상반기 수입통계를 봐도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전년동기비 55.7% 증가하였는데, 주목할 만한 점은 미국과 인도로부터의 수입 선택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 각각 1,041%, 6,597%라는 증가율을 보였다는 점이다.

 

현지유통


스리랑카에서는 연축전지와 리튬 인산철 배터리가 모두 사용되고 있는데, 연축전지는 저렴한 비용과 배터리 팩 교체의 편리함 때문에 사용되지만, 리튬 인산철 배터리는 내구성과 저렴한 유지 보수 비용 때문에 주로 상업 및 산업 용으로 선택된다. 그리고 올해부터 정부는 옥상 태양광 에너지 요금을 27루피에서 19루피로 인하했는데, 앞으로 많은 사람들이 잉여 전력을 저장하고 야간에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케팅 및 판매는 제조업체가 승인한 현지 대리점을 통해 이뤄지며, 이들 대리점은 주요 지역을 대상으로 마케팅 및 광고 캠페인을 수행하고 브랜드 파워를 보여주기 위해 지역 전시회에 제품을 전시한다. EV 배터리의 경우 대리점들이 EV 자동차 수리소에 가서 영업해서 현지 수리 센터에서 판매된다. 가정 산업용 배터리 저장 시스템을 판매하고 있는 기업 현지 판매 가격 정보는 다음과 같다.


기업명

웹사이트

가격(루피화)

품목명

비고

Battery Storage 2kw

Battery Storage 5kw

Battery Storage 10kw

System 5kw

System 10kw

Cameralk Technologies

www.cameralktec.com

380,000

550,000-650,000

1.1M

2.35M

-

Rocell Battery

설치 및 2년 A/S

LHP Energy Holdings

www.lhpholdings.lk

-

-

610,000

838,000

1.485M

Jinko Solar 620W

설치 및 1년 A/S

Solaris Energy Private Limited

www.solarise.lk

-

650,000

-

825,000

1.45M

-

설치 및 1년 A/S

Sunleaf Solar Solutions (Pvt) Ltd

www.sunleaf.lk

-

-

~

870,000

1.45M

Huawei

설치 및 2년 A/S

[자료: KOTRA 콜롬보 무역관 자체 조사]

 

EV 배터리 가격은 차량 유형에 따라 다르며 일부 고객은 전체 배터리 팩을 교체하지 않고 셀 교체만 한다. 스리랑카가 5년 만에 차량 수입을 개방했기 때문에 향후 3~5년 안에 배터리 교체 필요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으며, 수요 증가에 따라 더 많은 회사가 진입할 수 있다.

 

산업 인터뷰 - 배터리 저장 시스템


스리랑카 지속가능 에너지 관리당국 전 총괄 이사인 아툴라(Athula)씨는 옥상 설치 및 가정용 배터리 저장 시스템 판매의 경우 스리랑카 지속가능 에너지 관리당국에 업체와 제품을 등록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고 말했다. 심사 절차 중 외국 제조업체와 현지 대리인이 함께 두 번의 온라인 회의 심사에 참석해야 하는데 심사위원회가 논의 후 승인을 하거나 추가 정보를 요청을 신청인에게 통지할 수 있다고 한다. 등록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기업은 옥상 설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아툴라씨에 따르면 지상 장착 시스템 및 배터리 저장 시스템의 경우는 스리랑카 전력청(CEB, Ceylon Electricity Board)이 10MW 용량 이하의 투자 프로젝트 입찰을 올리면 이 입찰에 지원하는 형식으로 판매할 수 있다고 한다. 그 후 스리랑카 지속가능 에너지 관리당국에 신청서를 제출하는데 제출 자료에는 사전 타당성 조사, 재정 증명, 프로젝트 지역을 보여주는 1:50,000 축척 지도, 토지 가용성 및 공인 에너지 컨설턴트의 인증과 같은 문서가 포함돼야 한다. 신청서 검토 후 위원회는 1년 임시 승인을 발급하고 최종 승인을 위해 필요한 추가 문서를 다시 제출할 수 있다고도 설명했다. 임시 허가증으로도 프로젝트 작업을 시작할 수 있지만, 모든 문서가 승인되면 에너지 사용 및 전력 발전 라이센스가 발급되며, 기업은 실론 전력청과 전력 구매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또한 현재 2개의 50MW의 풍력 프로젝트가 입찰 과정에 있으며 10MW를 초과하는 모든 프로젝트는 내각 승인이 필요하며 정식 입찰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산업 인터뷰 - EV 배터리


Hybrid Hub–YSK Automobile Ltd의 이사이자 기술 엔지니어인 삼파트(Sampath)씨는 현장 경험이 풍부한 하이브리드 및 EV 차량 수리 전문가인데, EV 배터리 시장 동향에 대해 문의하자 EV 배터리 교체는 아직 시작 단계라고 운을 띄웠다. 스리랑카에서 전기 차량은 2025년 초부터 다시 정식 수입하기 시작했기 때문에(2020년부터 약 5년간 차량 수입 금지 상태였음) 배터리 문제를 겪으려면 앞으로 최소 3~5년 후에 있을 일이라고 말했다. 기존 전기차량 중에 사람들이 가장 많이 쓴 모델은 닛산 리프(Nissan Leaf)인데 대부분의 닛산 리프 차량은 현재까지 배터리를 한 번 이상 교체했다. 배터리 셀을 수리하는 방법에는 전체 배터리 교체 또는 셀 교체라는 두 가지가 있으며, 많은 스리랑카 고객은 첫 번째 옵션으로 셀 교체를 선택하고 나중에 배터리가 완전히 마모되면 전체를 교체한다고 한다. 닛산 리프 배터리 교체의 경우 브랜드와 제조 국가에 따라 50만 루피(한화 250만 원) 이상이 들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스리랑카에는 10년 전에 수입된 하이브리드 차량도 많음을 설명하며 도요타 아쿠아(Toyota Aqua), 혼다 베젤(Honda Vezel), 미쓰비시 아웃랜더(Mitsubishi Outlander)와 같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의 경우 한창 배터리 교체가 필요한 시기라고 언급했다. 도요타 아쿠아 배터리 교체 비용은 20만 루피(100만 원) 이상 들고, 도요타 프리우스(Toyota Prius)는 약 38만 루피(200만 원) 정도인데 이 정도 판매 가격은 가장 낮은 품질 수준의 배터리인 경우라고 한다.

 

한국 기업이 고려해야 할 사항


한국 기업은 스리랑카의 규정을 잘 살펴보고 재생 에너지 시장에 진입해야 한다. 등록 절차가 길기 때문에 에너지 부문 현지 컨설턴트의 지원을 받아 처음부터 올바르게 절차를 밟는 것이 좋다. 또한 한국 기업은 스리랑카에서 10MW 이하의 프로젝트를 개별적으로 여러 개 진행할 수도 있다. 다만 10MW를 초과하는 모든 프로젝트는 내각 승인이 필요하며 공개 입찰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더 오랜 기간이 걸릴 수 있으며 다른 기업과 경쟁할 수도 있다.

 


자료: 업계 종사자 인터뷰, KOTRA 콜롬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스리랑카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