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덴마크 색조화장품 시장동향
- 상품DB
- 덴마크
- 코펜하겐무역관 Seul Yi
- 2025-05-22
- 출처 : KOTRA
-
2024년 시장 규모 19억8400만 크로네, 전년 대비 6% 성장
K-뷰티 인지도 확산에 따른 수입 확대 기대
상품명 및 HS 코드
HS코드
상품명
3304.99
미용이나 메이크업용 제품류와 기초화장용 제품류
시장규모 및 동향
시장조사 전문 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덴마크 색조화장품 시장 매출 규모는 19억8400만 크로네(약 2억8300만 달러)로 이는 전년 대비 6% 증가한 수치다. 제품군별로는 아이 메이크업 제품이 8억1800만 크로네(약 1억1720만 달러)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립 메이크업 제품이 5억9600만 크로네(약 8525만 달러), 네일 제품이 2억9000만 크로네(약 4148만 달러), 페이셜 메이크업 제품이 2억4600만 크로네(약 3525만 달러), 세트/키트 제품이 3200만 크로네(약 469만 달러)로 각각 나타났다.
2024년부터 2029년까지 덴마크 색조 화장품 시장은 연평균 8%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프리미엄 블러셔·브론저·하이라이터 등 페이셜 메이크업 제품군이 주도적인 성장을 이끌 것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로 위축됐던 색조화장품 시장은 2022년 이후 점진적인 회복세에 들어섰으며, 2024년부터는 실질 임금 상승과 소비심리 회복에 힘입어 프리미엄 제품군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보인다.
<2019~2029년 덴마크 색조 화장품 유형별 시장 규모>
(단위: DKK 백만, %)
제품군
시장 규모
(2024)
전체 시장 내
점유율
2019~2024
연평균성장률
2024~2029
연평균성장률
아이 메이크업
818
41.3
7.0
5.5
페이셜 메이크업
246
30.1
8.0
6.2
립 메이크업
596
14.6
6.0
5.0
네일 메이크업
290
12.4
5.0
4.3
세트/키트
32
1.7
4.0
4.5
합계
1,984
100.0
6.0
8.0
* 주: 소비자가 기준(RSP), 2024년은 추정치이며, 2024~2029년 수치는 전망치
** DKK 1 = KRW 209.5 (2025.5월 하나은행 고시 매매기준율)
[자료: Euromonitor(2025.5.)]
수입동향
미용이나 메이크업용 제품류를 포괄하는 HS코드 3304.99를 적용한 덴마크의 수입 통계를 살펴보면 2024년 총수입 규모는 3억86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1.1% 성장했다. 주요 수입국으로는 독일이 수입 비중 20%를 차지해 1위를 기록했으며, 프랑스와 네덜란드가 각 16%와 10.2%로 2, 3위를 차지했다. 10위권 내에 속하는 국가 중 대다수는 유럽 국가들이며, 아시아권 국가는 중국과 한국 2개 국가만이 포함됐다. 한국의 경우 수입액 1500만 달러를 기록하며 3.8%의 비중, 42.6%의 높은 성장률로 7위 수입국의 지위를 차지했다.
<HS코드 3304.99 덴마크 수입국 현황(2022~2024년)>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비중
(2024)
증감률 (‘24/’23)
1
독일
72
82
78
20
△4.06
2
프랑스
40
51
62
16
20.8
3
네덜란드
22
28
40
10.2
44.2
4
스웨덴
35
45
38
9.8
△15.8
5
중국
10
16
32
8.3
97.5
6
벨기에
10
14
16
4.2
20.0
7
한국
7
10
15
3.8
42.6
8
폴란드
11
14
15
3.7
0.2
9
이탈리아
13
13
13
3.4
△0.6
10
스페인
4
7
13
3.2
72.9
총계
285
348
386
100
11.1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5.)]
유통구조
2024년 기준, 덴마크 색조 화장품 시장은 오프라인 유통이 전체의 77.9%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건강/뷰티 전문점(Health & Beauty Specialists)이 65.7%로 핵심 유통 채널로 자리 잡고 있다. 대표 유통업체인 마타스(Matas)와 노르말(Normal)은 전국 단위 매장망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각 프리미엄 중심과 저가형 중심으로 포지셔닝을 달리해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한편, 온라인 유통(Retail E-Commerce)은 22.1%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2019년 대비 약 72.7% 증가하는 등 빠른 성장세를 보인다. 팬데믹 이후 확대된 온라인 소비 행태가 정착되면서 마타스를 비롯한 드럭스토어의 자체 플랫폼 외에도 각 화장품 브랜드가 자사 웹사이트 및 SNS 채널을 통해 소비자 접점을 넓히며 시장에 진입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2019~2024년 덴마크 색조 화장품 유통채널별 비율>
(단위: %)
구분
2019
2024
증감률
(‘24/’19)
오프라인
87.2
77.9
△1.07
- 건강/뷰티 전문점
72.5
65.7
△9.4
- 슈퍼마켓 등 식료품 유통
6.8
5.1
△25.0
- 종합소매점
4.1
3.6
△12.2
- 의류/신발 전문점
1.1
1.0
△9.1
- 직접 판매
2.7
2.5
△7.4
온라인
12.8
22.1
72.7
*주: 소비자가 기준(RSP)
[자료: Euromonitor(2025.5.)]
경쟁동향
2024년 기준 덴마크 색조화장품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한 주요 브랜드로는 클리니크(Clinique), 맥스팩터(Max Factor), 로레알파리(L’Oréal Paris), 맥(MAC), 림멜(Rimmel) 등이 있다.
상위 브랜드들은 맥스팩터, 로레알 파리, 림멜 등 드럭스토어 유통 채널을 중심으로 한 중저가 제품군이거나, 클리니크, 맥 등 백화점 및 전문매장을 통한 프리미엄 브랜드로 양분화된 모습을 보인다.
<덴마크 색조 화장품 상위 브랜드별 대표 제품>
(단위: DKK)
브랜드
메이크업
카테고리
제품명
이미지
가격
용량
특징
클리니크
아이
Lash Power Mascara
234.95
6ml
최대 24시간 지속, 워터프루프
페이셜
Even Better Makeup SPF 15
309.95
30ml
자연스러운 커버, 촉촉한 사용감
맥스팩터
아이
Masterpiece Nude Eyeshadow Palette
219.95
6.5g
부드러운 블렌딩, 매트한 마무리
립
Lipfinity 2-step
159.95
4ml
2단계 발색으로 장시간 지속, 보습 효과
로레알
파리
립
Infaillible Matte Resistance Læbestift
144.95
5ml
최대 16시간 지속, 땀에 강하고 번지지 않음
페이셜
CC Cream
129.95
30ml
자연스러운 피부톤, 비타민 E, B5 함유
맥
페이셜
Mineralize Skinfinish
349.95
10g
매트한 마무리, 비타민 E 함유
페이셜
Fix+ Original Setting Spray
254.95
100ml
최대 12시간 메이크업 유지, 피부에 수분 공급
림멜
페이셜
Natural Bronzer
89.95
14g
자연스러운 태닝 효과
아이
100% Water Proof Mascara
64.95
8ml
워터프루프, 속눈썹 길이 연장
[자료: 마타스, 마가신(Magasin 백화점(2025.5.)]
한편, 최근 덴마크 내 한국산 색조화장품 수요 확대와 함께 현지에서 소비되는 제품도 점차 다양해지는 추세다. 기존 한국 K-뷰티 제품은 온라인을 중심으로 유통돼 왔으나, 2025년에는 코펜하겐 시내에 한국 뷰티 제품만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첫 오프라인 매장 ‘Dubbu(두부)’가 새롭게 문을 열어 현지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처럼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며 유통 채널이 다변화되면서 덴마크 내 K-뷰티 색조 제품의 시장 접근성과 가시성이 점차 강화되는 추세다.
<덴마크 한국산 색조 화장품 상위 브랜드 별 대표 제품>
(단위: DKK)
브랜드
메이크업
카테고리
제품명
이미지
가격
용량
특징
쏘 네추럴
(So Natural)
페이셜
All Day Tight Makeup Setting Fixer
149
75ml
메이크업 지속력 향상, 피부에 수분 공급
티르티르
(TIRTIR)
페이셜
Mask Fit Red Cushion
259
18g
최대 72시간 지속, 가벼운 텍스쳐
미즈온
(MIZON)
아이
Collagen Curling Fix Mascara
89
6ml
강력한 고정력, 콜라겐 함유
언리시아
(Unleashia)
립
Luv Hug Velvet Tint
96
3.4g
높은 밀착력과 지속력
[자료: 두부(Dubbu), 수리수리(Surisuri) 등 덴마크 K-뷰티 전문 유통망(2025.5.)]
관세율 및 인증
덴마크는 EU 회원국이며, 한국과 유럽연합(EU) 간 체결된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한국에서 덴마크로 수출되는 색조화장품에는 0%의 관세율이 적용된다.
또한, EU 화장품 규정(EU Regulation No. 1223/2009)에 따라 덴마크 시장에 유통되는 모든 화장품은 CPNP(Cosmetic Products Notification Portal)에 의무적으로 등록해야 하며, 포장 및 포장폐기물 규정(PPWR: Packaging and Packaging Waste Regulation) 개정에 따라 색조화장품 수출 시 재활용 가능한 포장재 사용, 성분 구성 표시, 폐기 방법 안내 등의 요건도 충족해야 한다.
한편, 필수 인증은 아니지만 덴마크를 포함한 북유럽 시장에서는 북유럽 친환경 라벨 (Nordic Swan Ecolabel)을 취득한 제품이 친환경 소비를 중시하는 소비자에게 소구력을 가질 수 있어 유통 채널 진입 및 마케팅 측면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시사점
2024년 기준 덴마크 색조화장품 시장은 팬데믹 이후 전년 대비 6%의 성장을 기록했으며 소비 회복세에 따라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클리니크, 맥 등 프리미엄 브랜드가 시장을 견인하고 있는 가운데 드럭스토어 채널 기반의 중저가 브랜드도 안정적인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어 제품 포지셔닝에 따른 채널 전략 설정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덴마크를 포함한 북유럽 시장에서 우수한 제품력을 기반으로 K-뷰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 색조화장품의 수입량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발맞춰 우리 기업들은 EU의 규제 및 친환경 인증 확보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함께, 빠르게 성장 중인 온라인 유통 및 디지털 기반 진출 전략도 적극적으로 검토해 볼 만하다.
자료: Euromonitor, EU Commission, Global Trade Atalas, Kosmetik og Hygiejnebranchen, Nordic Swan Eco Label Cosmetics Europe, Matas, Normal 및 덴마크 주요 유통망 및 브랜드 웹사이트, KOTRA 코펜하겐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덴마크 색조화장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베트남 공기청정기 시장동향
베트남 2025-05-22
-
2
편의점에서 시작된 변화, 몽골의 라면 소비를 읽다
몽골 2025-05-22
-
3
32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는 카타르 리테일 시장, K-소비재 진출 기회 확대
카타르 2025-05-22
-
4
일본 김치 시장 동향
일본 2025-05-22
-
5
중국 PAM(폴리아크릴아미드) 시장 동향
중국 2025-05-22
-
6
쿠웨이트 콘택트렌즈 시장 동향
쿠웨이트 2025-05-22
-
1
2024 덴마크 화장품 산업 동향
덴마크 2024-05-20
-
2
2021 덴마크 해운산업
덴마크 2021-12-03
-
3
2021년 덴마크 의료/바이오 산업
덴마크 2021-11-29
-
4
2021년 덴마크 유통산업 정보
덴마크 2021-10-18
-
5
2021년 덴마크 해상풍력발전 산업 정보
덴마크 2021-08-20
-
6
2021년 덴마크 산업 개관
덴마크 2021-07-05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