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제29회 타슈켄트 국제 헬스케어 전시회 TIHE 2025 참관기
  • 현장·인터뷰
  • 우즈베키스탄
  • 타슈켄트무역관 한정선
  • 2025-05-02
  • 출처 : KOTRA

19개국 400개사 참여해

KOTRA 타슈켄트 무역관 K-메디컬 진출 세미나 개최해

전시회 개요


전시회명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d4205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98pixel, 세로 124pixel

29회 타슈켄트 국제 헬스케어 전시회 TIHE 2025

(29th Tashkent International Healthcare Exhibition TIHE 2025)

장소

CAEx Uzbekistan

기간

2025.04.15.()~17.()

홈페이지

https://tihe.uz/

주최

Iteca Exibitions

참가국/기업 수

19, 400개사

방문자 수

7,024

주요 부문

- 의료 기술 및 장비

- 실험실 장비 및 소모품

- 치과용 장비 및 기술

- 미용 의학

- 의약품

- 의료 서비스

[자료: 전시회 홈페이지 요약]

 

전시회 소개


29회 타슈켄트 국제 의료 박람회 ‘TIHE 2025’2025415일부터 17일까지 타슈켄트의 CAEx Uzbekistan 전시장에서 개최됐다. 이번 박람회에는 MRI, CT, 초음파, X-ray 등 진단장비를 비롯하여 수술기기, 재활·물리치료 장비, 실험실 장비, 스마트 의료 침대, 헬스케어 IT 솔루션, 디지털 헬스 기술, 의약품, 미용의학 관련 제품 등 다양한 분야의 최신 기술과 제품이 대거 전시되었다. 특히 스마트 헬스케어 솔루션과 병원 통합 관리 시스템 등 디지털 전환을 주제로 한 기술이 주목을 받았다.


TIHE 2025에는 19개국 400개 이상의 기업 및 브랜드가 참가하며 국제 전시회로서의 위상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참가국에는 한국, 중국, 독일, 인도,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터키, 아랍에미리트 등 다수의 보건의료 분야 주요 국가들이 포함되었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한국, 중국, 독일, 라트비아, 폴란드, 터키 등이 국가관을 구성했으며, 각국은 자국의 첨단 의료기술과 제품을 소개하고 해외 바이어와의 교류를 활발히 이어갔다.


TIHE 20253일간의 일정으로 운영됐다. 첫째 날에는 개막식과 주요 인사의 기조연설이 진행됐으며, 혁신 의료기술과 제품이 소개되고 참가자 간 네트워킹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둘째 날에는 의료기기 및 AI 헬스케어를 주제로 한 워크숍, 패널 토론, 제품 시연이 집중적으로 진행됐다. 셋째 날은 후속 상담과 협력 논의가 이루어지는 비공식 네트워킹 중심으로 운영됐으며, 일부 기업의 파트너십 발표와 주최 측의 행사 요약 발표를 끝으로 박람회가 마무리됐다.

 

<TIHE 2025 전시장 전경>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d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00pixel, 세로 400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d4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00pixel, 세로 4000pixel

[자료: 무역관 자체 촬영]

 

TIHE 2025에서 KOTRA-우즈베키스탄 경제협력 후속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한국관을 구성해 운영했다. 한국 의료바이오 기업 15개사가 참가해 디지털 유방촬영 장비, 수의용 의약품, 정수 및 샤워 필터, 임플란트, 주사기 및 주사침, 물리치료 장비, CT 장비, 카테터 시스템 등 다양한 K-메디컬 제품을 현지 바이어에게 선보였다.

 

<참가 기업 및 전시 품목>

참가 기업

전시 품목

BION Co., Ltd.

Chemistry Reagents

Daeho ENG

정수 필터

Dong-A Pharm

OTC products

Dongbangah

Veterinary Products

dooVac

Vacuum Pumps, Compressors

DrTech

Digital Mammography

Ionpolis

샤워 필터

Jeesung Engineering

Syringe, Needles, Cannula, Needle Assembly Machine

Slock Implant

Implant

Taebong

Tampon, Cotton Sanitary Pad, Tissue, Alcohol Swab

Theragen Etex

NEXOMIA Tab, ROSUVASTATIN Calcium

wannabecosmetic (Orjena)

Cosmetics

Youngmedi

CT

Young-in biotech

Shock Wave Therapy, 고주파 온열 마사지기

ZenithT

Percutaneous Discectomy Device, KYPHO PLASTY Balloon Catheter System, Epidural Catheter System

[자료: 무역관 자체 정리]

 

<TIHE 2025 한국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d4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00pixel, 세로 400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d4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472pixel, 세로 364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d4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472pixel, 세로 364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d400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2pixel, 세로 407pixel

[자료: 무역관 자체 촬영]

 

전시회 기간 중에는 MOU 체결 등 실질적인 협력 논의도 활발히 이뤄졌다. 우리 기업들은 현지 바이어들과의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향후 후속 사업 기회를 구체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MOU 체결식>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d4000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00pixel, 세로 400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d4000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00pixel, 세로 4000pixel

[자료: 무역관 자체 촬영]

 

또한, 전시회 마지막 날인 417일에는 참가 기업들을 대상으로 ‘K-메디컬 진출 세미나가 타슈켄트 제약 클러스터에서 진행됐다. 세미나에서는 우즈베키스탄 제약안전센터가 현지 보건의료 및 제약 관련 제도를 소개하고 한국 기업의 진출 시 유의할 점과 절차 등을 안내했다. 우즈베키스탄 제약산업진흥원 관계자는 한국 기업이 현지 시장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실질적인 협력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우즈벡 K-메디컬 진출 세미나>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d4000d.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720pixel, 세로 448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d4000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720pixel, 세로 4480pixel

[자료: 무역관 자체 촬영]

 

전시회 참가기업 반응


한국관 참여 기업 중 동아제약 담당자를 만나 간단히 이야기를 나눠 보았다. 1932년 설립된 동아제약은 글로벌 헬스케어 전문기업으로 소비자의 건강한 일상을 위한 안전하고 편리한 솔루션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번 TIHE 2025에서는 판피린, 베나치오, D-판테놀 연고, 노스카나 연고 등 주요 일반의약품을 선보이며 현지 바이어들의 관심을 끌었다.

 

<동아제약 회사 정보>

로고

설립 연도

업종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ff82cd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00pixel, 세로 228pixel

1932

일반 의약품, 의약외품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등

[자료: 동아제약 홈페이지]

 

<TIHE 2025 동아제약 부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d4001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960pixel

[자료: 무역관 자체 촬영]

 

Q1. 이번 TIHE 2025에 동아제약이 참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A1. TIHE는 우즈베키스탄 내 대표적인 보건의료 전시회이자 중앙아시아 시장 진출의 중요한 관문이다. 동아제약은 최신 일반의약품을 소개하고 지역 내 파트너십을 구축하기 위해 참가했다.

 

Q2. 전시회 참가의 주요 목표는 무엇인가?

A2. 자사의 고급 OTC 제품을 현지 시장에 알리고 의료 서비스 제공자의 수요를 파악하며, 유통업체 및 병원과의 협력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다.

 

Q3. 참관객들의 반응은 어땠는가?

A3. 매우 긍정적이었다. OTC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여러 잠재 파트너들과 유의미한 상담을 진행했다. 현장에서 받은 피드백은 향후 제품 개발에 참고할 예정이다.

 

Q4. 전시회 이후의 계획은 무엇인가?

A4. KOTRA 타슈켄트 무역관의 지원을 받아 지사화 사업을 1년간 신청했으며, 올해 중 우즈베키스탄 의약품위원회를 통해 일부 OTC 제품 등록을 추진할 예정이다.

 

Q5. TIHE 2025 참가에 대한 전반적인 소감은?

A5. TIHE 2025는 체계적으로 운영된 행사였으며, 중앙아시아 보건의료 시장에 대한 유용한 통찰을 얻을 수 있는 기회였다. 동아제약은 앞으로도 이 지역의 의료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시사점


우즈베키스탄은 보건의료 시스템 현대화를 추진하며 외국 기업과의 협력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디지털 헬스, 의약품, 미용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해외 기술 도입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제약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 제도적 기반도 점차 강화되는 추세다. 이번 TIHE 2025와 연계된 ‘K-메디컬 진출 세미나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현지 정부와 기관은 한국 제품과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고 실질적인 협력 가능성도 존재한다.


한국 기업은 우즈베키스탄 진출 시 제품 경쟁력뿐만 아니라 인증 절차, 유통 채널, 의료기관과의 연계 등 현지 시장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KOTRA와 같은 유관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진출 전략을 구체화하고 현지 파트너와의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안정적인 시장 진입의 핵심이 될 수 있다. 앞으로도 우리 기업들이 우즈베키스탄 보건의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지속 가능한 협력 관계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제도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과 발 빠른 대응이 중요하다.

 


자료: https://tihe.uz/, Exhibitor and Buyers 인터뷰, 기타 현지 언론보도 및 KOTRA 타슈켄트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제29회 타슈켄트 국제 헬스케어 전시회 TIHE 2025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