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리핀 기초 화장품 시장 동향
- 상품DB
- 필리핀
- 마닐라무역관 형민혁
- 2025-04-14
- 출처 : KOTRA
-
기능성 중심의 시장, 필리핀 기초화장품의 현재와 기회
FTA와 트렌드가 맞물린 전략 시장, 한국 기업의 다음 스텝
시장 동향
최근 몇 년간 급속한 경제 성장과 함께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이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필리핀의 스킨케어 시장 역시 눈에 띄는 확장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Euromonitor에 따르면, 필리핀 스킨케어 시장의 소매 판매액은 2023년 기준 565억9000만 페소(PHP)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0%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이후 건강과 위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피부 건강 역시 주요 소비 관심사로 부상한 가운데, 필리핀 소비자들은 기능성 성분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가며 보다 전문화된 제품군에 대한 수요를 확대해나가고 있다. 특히 글루타치온, 비타민C, 레티놀, AHA, BHA 등의 성분을 포함한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으며, “Morning C, Night A”와 같은 루틴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기도 했다.
<연간 필리핀 기초 화장품 매출액 및 전망 추이>
(단위: PhP 백만)
[자료: Euromonitor, 2025.04.04.]
시장 내 제품 구성별로는 페이셜 케어 부문이 전체 시장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며 핵심적인 비중을 보이고 있다. 2023년 기준 얼굴 관리 제품의 소매 판매액은 약 349억 4000만 페소로, 바디 케어(약 206억 9000만 페소), 핸드 케어(약 2억 800만 페소), 를 압도하는 수준이다. 이러한 흐름은 소비자들의 루틴 관리 및 미백, 노화 방지에 대한 수요가 페이셜 제품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2023년 필리핀 카테고리 별 기초화장품 판매 동향>
(단위: PhP 백만, %)
분류
매출액
당해
성장률
연간 성장률
(누적치)
연간 성장률
(전망치)
얼굴 관리
34,946.0
10.5
4.9
8.2
바디 케어
20,691.7
10.1
4.8
9.7
보습제 및 트리트먼트
16,503.9
9.3
5.5
9.6
핸드케어
208.4
11.8
5.4
9.1
[자료: Euromonitor, 2025.4.4.]
수입 현황
국제 무역 통계기구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필리핀의 기초화장품(HS Code 3304.99 기준) 수입액은 2024년 기준 약 15억 3,659만 달러로 전년(2023년) 대비 10.9% 증가하였다. 팬데믹 이후 위축되었던 소비가 점차 회복되고 있으며, 기능성·효능 중심의 제품 수요 확대가 이러한 성장세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국가별로는 태국이 3억 4,729만 달러(점유율 22.6%)로 가장 높은 수출국이지만, 전년 대비 3.4% 감소하였다. 반면, 한국은 2억 6,848만 달러(점유율 17.5%)로 2위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39.0%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전체 상위 10개국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이며, 한국산 기초화장품의 위상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 역시 41.8% 증가하며 1억 9,788만 달러를 기록, 빠른 속도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연간 필리핀 화장품 수입 추이>
(단위: US$ 천, %)
(HS Code: 3304.99 기준)
국가
수입금액
증감률
’23/’24
2020
2021
2022
2023
2024
점유율
전 세계
85,516
91,446
121,755
138,462
153,659
100
10.9
태국
24,949
23,139
30,299
35,939
34,729
22.6
-3.4
한국
12,802
14,295
18,766
19,316
26,848
17.5
39.0
중국
6,693
6,193
10,298
13,952
19,788
12.9
41.8
미국
6,763
6,754
9,480
9,830
8,424
5.5
-14.3
프랑스
1,672
3,486
5,669
7,384
7,896
5.1
6.9
인도네시아
3,109
3,310
5,721
6,250
7,476
4.9
-27.9
말레이시아
4,225
4471
4,850
5,217
7,390
4.8
19.6
인도
7,223
9,409
11,194
5,777
7,371
4.8
1.9
싱가포르
5,771
4,592
5,337
5,946
6,057
3.9
27.6
캐나다
2,177
4,839
5,887
7,365
5,314
3.5
41.7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4.2.]
미국은 8,424만 달러로 5.5%의 점유율을 차지했으나, 전년 대비 14.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프랑스는 7,896만 달러(5.1%),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등 아세안 국가들도 각각 약 4.8~4.9% 수준의 점유율을 보이며 경쟁 중이다.
경쟁 동향 및 주요 기업
<필리핀 내 주요 색조화장품 판매 기업>
브랜드 로고
기초화장품 이미지
기업 현황 및 제품 가격
Olay
Micro-Sculpting Cream
- 2023년 기준 시장점유율: 8.4%
- 설립연도: 1952
- 본사: 미국
- 가격대: 1,999페소
Pond’s
Serum Day Cream
- 2023년 기준 시장점유율: 4.9%
- 설립연도: 1846
- 본사: 영국
- 가격대: 186페소
Luxe Oragnix
Miracle Toner
- 2023년 기준 시장점유율: 4.5%
- 설립연도: 2004
- 본사:필리핀
- 가격대: 349페소
Maxi-Peel
Facial Cleanser
- 2023년 기준 시장점유율: 4.3%
- 설립연도: 2001
- 본사: 필리핀
- 가격대: 33페소
Vaseline
Petrleum Jelly- 2023년 기준 시장점유율: 4.1%
- 설립연도: 1870
- 본사: 영국
- 가격대: 115.56페소
Nivea
Moisturizing Cream
- 2023년 기준 시장점유율: 4.1%
- 설립연도: 1911
- 본사: 독일
- 가격대: 275페소
[자료: KOTRA 마닐라무역관 자체 정리]
유통구조
스킨케어 제품의 유통은 오프라인 중심에서 점차 온라인 채널로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있는 추세다. Euromonitor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필리핀 스킨케어 제품의 유통 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통 채널은 화장품 전문 판매점로, 전체 유통의 36.9%를 점유하고 있으며, 이어 슈퍼마켓이 22.3%, 헬스&뷰티 전문점이 16.2%, 백화점이 6.6%를 차지한다. 이외에도 편의점(4.8%), 디렉트 셀링(4.2%) 등의 채널도 일정 비중을 유지하고 있다.
온라인 유통 비중은 6.2%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여전히 오프라인 유통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을 의미하지만, 빠르게 성장하는 온라인 쇼핑 트렌드와 SNS 기반 소비자 접근성이 확대되며 향후 지속적인 증가세가 예상된다. 특히 Shopee, Lazada와 같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한 유통은 소형 브랜드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다양한 프로모션을 통해 소비자 구매를 유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필리핀 색조화장품 주요 유통채널별 점유율>
(단위: %)
유통 채널
점유율 (%)
화장품 전문 판매점
36.9
슈퍼마켓
22.3
헬스&뷰티 전문점
16.2
온라인 쇼핑
6.2
백화점
6.6
편의점
4.8
직접판매(Direct Selling)
4.2
기타
2.8
합계
100.0
[자료: 유로모니터(Euromonitor)]
고급 브랜드는 Rustan’s와 같은 백화점 유통망을 활용하거나 개별 부티크 매장을 통해 프리미엄 이미지를 강화하고 있으며, 반면 대중 브랜드는 화장품 전문 판매점와 슈퍼마켓을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또한 SNS 마케팅을 통해 인지도를 확보한 브랜드들이 TikTok Shop이나 Instagram 기반의 직접 판매(D2C) 전략을 강화하고 있는 점도 주요한 흐름이다.
이처럼 필리핀 스킨케어 시장은 다양한 유통 채널이 공존하는 구조 속에서 소비자 접근성과 브랜드 포지셔닝에 따른 전략적 분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온라인 유통 확대가 시장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관세율 및 수입 규제
2025년 기준, 필리핀은 기초화장품(HS Code 3304.99.90)에 대해 기본관세(MFN)율은 7%이나, 한국산 제품에 대해서는 필리핀-한국 자유무역협정(PH-KR FTA),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아세안-대한민국 자유무역협정(AKFTA) 모두에 따라 관세가 면제된다. 이는 필리핀 시장에 진출하려는 한국 화장품 기업에게 매우 유리한 조건으로 작용하며, 가격 경쟁력 확보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색조화장품(HS Code: 3304.99.90) 관세율 조회 결과>
[자료: Philippine Tariff Commission]
원산지 기준으로는 RVC(Regional Value Content) 40% 이상 또는 CTH(Change in Tariff Heading) 요건을 충족할 경우 해당 협정에 따른 무관세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다. 특히 PH-KR FTA의 경우 RVC 40% 또는 CTH 조건만 충족하면 되는 점에서 행정 절차 또한 간소화될 수 있다.
인증 종류 및 등록 절차
절차 단계
설명
(1) 제품 신고
ACD(ASEAN Cosmetic Directive) 신고양식을 작성하여 필리핀 FDA에 제출
(2) 식약청 검토
제품 신고 완료 후 식약청이 검토 의견을 회신
(3) 등록비 납부 및 영수증 송부
검토의견 회신일 기준 5일 이내 등록비를 납부하고, 영수증 스캔본을 회신 메일로 송부하면 5영업일 이후 승인 또는 미승인 통보
※ 라벨링 규정 ※
아세안 화장품 지침(ASEAN Cosmetic Directive) 제6조에 따라, 제품 라벨은 지워지지 않고 명확하게 읽을 수 있는 문자로 구성되어야 하며, 다음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a. 제품명 및 제품 기능
b. 사용 설명서
c. 예외 성분을 제외한 모든 성분 목록
d. 제조국가
e. 제조회사명 및 주소 또는 현지 제품 담당자의 이름 및 주소
f. 내용물의 중량 및 부피(미터법 또는 영어 단위 병기)
g. 제조사의 일련번호
h. 제조일자 및 유효기간(예: 월/연도 형식)
i. 특별 주의사항, 경고 문구
j. 등록 국가의 등록번호
k. 영어 또는 현지 언어로 표기되어야 함
l. 용기나 포장 크기가 제한되어 모든 내용을 기재할 수 없을 경우, 제품명과 제조사 일련번호는 반드시 외부 포장에 표기[자료: 필리핀 국가 무역 저장소 PNTR]
시사점
필리핀 기초화장품 시장은 위생과 피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2023년 수입 규모는 16억 달러를 돌파했다. 특히 한국산 제품은 17.5%의 시장 점유율로 3년 연속 1위를 기록하며, 기능성 성분에 대한 현지 소비자들의 높은 인식과 신뢰를 기반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단순한 가격 경쟁력을 넘어, 피부 개선 효과 중심의 고품질 제품 수요가 한국 브랜드의 위상을 견인하고 있다.
한편,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비롯한 유통채널의 다변화와 SNS 기반의 소비 확산은 시장 진입 장벽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여기에 PH-KR FTA, RCEP 등 주요 FTA에 따른 무관세 혜택과 명확한 라벨링 기준, 간소화된 등록 절차 등 제도적 환경 역시 한국 기업의 수출 확대를 뒷받침하고 있다. 트렌드와 제도가 결합된 이 구조 속에서, 제품 현지화와 전략적 유통 대응을 갖춘 기업은 필리핀 시장 내 장기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유로모니터(Euromonitor), 필리핀 식약청(FDA), 필리핀 국가 무역 저장소 PNTR, Global Trade Atlas, Philippine Tariff Commission, Philippines News Agency, Phistar 및 KOTRA 마닐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필리핀 기초 화장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콜롬비아 색조화장 트렌드 중심에 있는 한국 화장품
콜롬비아 2025-04-14
-
2
페루 기초화장품 시장동향
페루 2025-04-14
-
3
윤리 소비 뷰티 트렌드: 중국 비건 뷰티의 부상
중국 2025-04-15
-
4
이스라엘 화장품 시장, K-뷰티를 기다리고 있어요!
이스라엘 2025-04-11
-
5
태국 종이 포장재 시장 동향
태국 2025-04-14
-
6
중국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 티몰 베스트셀러와 ‘홈뷰티’ 트렌드 분석
중국 2025-04-15
-
1
2024년 필리핀 프랜차이즈 산업 정보
필리핀 2024-12-23
-
2
2021년 필리핀 BPO 산업 정보
필리핀 2021-11-05
-
3
2021년 필리핀 산업 개관
필리핀 2021-07-02
-
4
필리핀 부동산 산업
필리핀 2020-07-06
-
5
필리핀 통신산업 정보
필리핀 2020-06-11
-
6
필리핀 관광산업
필리핀 2019-08-21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