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도 부동산 시장, 고급 주택 중심 성장 지속
  • 트렌드
  • 인도
  • 뉴델리무역관 한종원
  • 2025-04-14
  • 출처 : KOTRA

2047년 7조 달러 규모 달성 전망

2024년 기준 주택 판매량은 5년 전 대비 60% 증가


어느 나라나 부동산은 뜨거운 이슈다. 부동산은 크게 주택, 소매, 호텔, 상업 등의 하위 부문으로 구성되는데, 기업 환경의 성장과 사무실 공간 수요, 도시 및 준도시형 숙박시설 수요 등이 꾸준한 성장을 뒷받침한다. 인도에서 부동산 부문은 농업에 이어 두 번째로 고용 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이다. 인도의 부동산 부문 규모는 2021년 약 2000억 달러에서 2030년에는 무려 1조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매, 상업용 부동산도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2047년까지는 최대 7조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회계연도 2023년 인도의 주거용 부동산 시장은 주택 판매액이 사상 최고치인 420억 달러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48% 성장한 규모다. 인도 상위 8개 도시에서는 높은 이자율과 상승한 부동산 가격 등의 어려움이 상존함에도 중산층, 프리미엄, 고급 부문을 중심으로 주거용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다. 이와 같은 수요에 힘입어 인도의 부동산 개발 업체들은 지속적으로 고급 부동산을 우선순위에 두고 있다. 자연스럽게 저가 주택의 과잉 공급이 여전히 시급한 과제로 남아 있다.

 

그럼에도, 인도의 주택 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 강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펌 KPMG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9월까지 상위 7개 도시에서 판매된 주택만 22만 9000채를 넘어선다. 이는 2023년 대비 17% 증가한 규모이고, 2019년과 비교하면 무려 60% 증가한 수치다.

 

<인도 부동산 시장 규모 및 전망치>

(단위: US$ 십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24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9pixel, 세로 350pixel

[자료: 인도브랜드자산재단(IBEF)]

 

최근 인도의 부동산 시장은 빠르게 성장했다. 주요 도시의 평균 부동산 가치 또한 도시별로 상이하나, 그 속도는 상당히 빨랐다. 수도권 지역의 경우, 고액 자산가 증가 및 고급 주택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로 전년 대비 49%라는 이례적인 상승률을 기록했다. 커뮤니티 중심의 생활과 고급 편의시설을 제공하는 통합형 주거 시설도 인기를 얻고 있다.

 

<2024년 4분기 기준 인도 주요 지역별 부동산 가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24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46pixel, 세로 373pixel

[자료: PropTiger Research]

 

인도의 부동산 시장은 주택뿐만 아니라 사무실 수요 증가로도 호황을 맞고 있다. 주로 하이데라바드, 벵갈루루 지역 중심으로 공급이 많다. 인도 부동산 부문의 사모펀드 투자 규모도 2024년 상반기 기준 30억 달러에 달했다. 2023년 2분기에만 유치액이 19억 2000만 달러였는데, 이는 전 분기 대비 63%, 전년 동기 대비 60% 증가한 수치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인도 부동산 부문에 유입된 해외 자본은 3배 증가해 266억 달러에 달했다. 특히 건설 분야는 해외직접투자(FDI) 유입 측면에서 세 번째로 큰 부문인데, 2000년 4월부터 2024년 3월까지 FDI 유입액이 605억 달러에 달했다. 해외 투자자들은 매년 약 31억 달러를 인도 부동산에 투자하고 있는 셈인데, 2024년 상반기에는 해외 투자 유입이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했다.

 

<인도 주요 지역별 사무공간 공급 점유율>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24c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21pixel, 세로 275pixel

[자료: Modor Intelligence]

 

인도 정부는 각 주 정부와 함께 부동산 시장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이니셔티브를 실행했다. 인도 정부는 회계연도 2025년 연방 예산안을 통해 Urban 2.0 이니셔티브에 따라 5년 간 중앙 정부 지원금 264억 4000만 달러를 포함해 총 1201억 6000만 달러를 투자해 도시 빈곤층 및 중산층 가정의 주택 수요를 충족하고자 한다고 발표했다. 100개의 스마트 시티 건설 계획인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도 부동산 시장에는 호황으로 작용한다.

 

인도 정부가 인프라에 적극적으로 자본 투자를 단행하면서 이 또한 부동산 시장의 성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 10년 간 인도의 전국 고속도로 네트워크는 1.6배 확장됐고, 1,300여 개 이상의 철도역이 현대화되었으며, 84개 이상의 공항이 운영되기 시작했다. 이는 부동산 시장 전반에 파급 효과로 작용한다. 1, 2, 3선(Tier 1, 2, 3) 도시의 연결성이 강화되며 부동산 수요도 넓게 확장된다. 향후 지속적인 정부의 자본 투자 촉진으로 인프라 개발과 부동산 간의 연결성은 더욱 강화될 전망이며, 주거, 상업, 산업 등 부문을 가리지 않고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최근에는 기술과 지속 가능성이 키워드로 떠오르면서 인도 부동산 시장의 윤곽도 재정의되고 있다. 최첨단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홈부터, 의사 결정 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 등 부동산 업계는 기술 활용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더불어, 에너지 효율성에 중점을 둔 건축 형태와 설계가 등장하면서 지속 가능성이 점차 더욱 중요한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기술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이와 같은 인도의 노력은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고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미래지향적 접근 방식을 강조한다.

 

인도가 혁신, 지속 가능성, 도시화에 집중함에 따라 인도의 부동산 업계는 2025년 또 다른 변혁의 해를 맞이할 것으로 전망된다. 긍정적이고 꾸준한 경제 성장 전망, 투자자들의 신뢰, 끊임없이 진화하는 소비자 기반에 힘입어 인도 부동산 업계는 두 배 이상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인도브랜드자산재단(IBEF), PropTiger Research, Mordor Intelligence, Invest India, India Briefing, IMARC, KPMG 및 Live mint, Business Standard, Hindustan times, Economic Times, Times of India 등 현지 언론보도 및 KOTRA 뉴델리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부동산 시장, 고급 주택 중심 성장 지속)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