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브라질 자동차부품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브라질
- 상파울루무역관 곽영서
- 2025-04-11
- 출처 : KOTRA
-
브라질 자동차 산업은 세계 8위 수준
자동차부품 산업도 주요 제조업 중 하나
정부 정책, 차량 노후에 따라 자동차부품 시장 진출 유망
브라질 자동차 시장 현황
브라질 자동차유통협회(Anfavea)에 따르면, 2024년 브라질의 자동차 생산량은 전년 대비 9.7% 증가한 254만9600대를 기록했다. 이를 통해 브라질은 2023년까지 자동차 생산량 세계 8위였던 스페인을 제치고, 글로벌 자동차 생산량 8위에 올랐다.
<브라질 자동차 생산량>
(단위 : 대)
[자료 : CBCI, 2025.3]
판매량의 경우 신차가 263만4500대로 전년 대비 14.2% 증가했다. 수출은 39만8500대로 전년 대비 1.3% 감소했으나, 수입은 46만6500대로 전년 대비 32.5% 증가했다. 이와 같은 생산량, 판매량, 수입 증가로 브라질 내에서 운행되고 있는 차량 대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브라질 자동차부품노조(Sindipecas)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브라질 내 운행되고 있는 차량은 총 4712만 대로 전년 대비 0.2% 증가했다. 이 중 운행 중인 승용차는 3840만 대, 경상용차 615만 대, 트럭 218만 대, 버스 38만 대다. 브라질 자동차부품판매자협회(Sincopecas)는 2030년까지 승용차 및 경상용차 합계 4789만 대, 트럭 및 버스 합계 304만 대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브라질 차량 운행 대수>
(단위 : 천 대, %)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승용차
34,713
35,621
35,997
36,431
37,098
37,970
38,149
38,236
38,339
38,402
경상용차
4,854
4,996
5,072
5,173
5,334
5,524
5,650
5,850
5,995
6,148
트럭
1,948
1,965
1,962
1,961
1,983
2,029
2,052
2,163
2,163
2,183
버스
389
392
389
386
386
391
389
386
387
389
합계
41,904
42,974
43,420
43,951
44,801
45,914
46,240
46,635
46,884
47,122
[자료 : Sindipecas, 2025.4]
브라질 자동차부품 산업
자동차부품 산업은 브라질의 주요 제조업 중 하나이다. 브라질 자동차부품판매협회(Sincopecas)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협회 회원사는 503개사로 전년 493개 사 대비 2% 증가했다. 매출액의 경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 289억 달러까지 감소했다가 2023년 480억 달러까지 증가했다. 투자액도 펜데믹 이전 14억 달러 수준을 유지하다 팬데믹으로 10억 달러 수준으로 감소했으나 점차 회복하는 추세다.
<브라질 자동차부품산업 매출액 및 투자액(2017~2023년)>
(단위 : 십억 달러)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매출액
39.9
41.5
40.6
28.9
40.8
48.1
48.0
투자액
1.40
1.45
1.42
1.04
1.14
1.29
1.17
설비투자
61.5%
61.8%
60.9%
59.8%
63.0%
66.3%
62.2%
고정자산 투자
(설비 외)
23.7%
25.2%
21.7%
23.3%
21.0%
18.6%
22.2%
R&D
4.1%
4.2%
4.3%
3.6%
4.2%
5.7%
4.4%
기타 투자
10.7%
8.8%
13.2%
13.4%
11.8%
9.4%
11.2%
[자료 : Sindipecas, 2025.4]
한편, 2023년 브라질의 자동차부품 수출은 90억 달러, 수입은 189억 달러를 기록하며 무역수지에서 98억 달러의 적자를 보였다. 팬데믹 영향으로 2020년에는 수출이 51억 달러, 수입은 128억 달러로 감소했으나,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브라질 자동차부품산업 수출입 동향(2017~2023년)>
(단위 : 십억 달러)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수출
6.9
7.5
6.7
5.1
6.8
8.3
9.0
수입
14.6
16.7
16.6
12.8
18.0
19.6
18.8
무역수지
-7.7
-9.2
-9.8
-7.7
-11.2
-11.3
-9.8
[자료 : Sindipecas, 2025.4]
브라질의 자동차부품 수출은 지리적 위치의 영향을 받아 미주 및 유럽 지역에 집중되고 있다. 2023년 기준으로, 브라질의 수출 중 36.7%가 아르헨티나로 수출되어 1위를 기록했다. 2위는 미국(15.3%), 3위는 멕시코(10%)가 차지했다. 이러한 비중은 브라질이 인접한 국가들 및 북미와의 무역 관계가 강하게 연결돼 있음을 보여준다.
<브라질 자동차부품 주요 수출대상국 점유율>
(단위 : %)
국가명
2022
2023
아르헨티나
35.5
36.7
미국
16.4
15.3
멕시코
9.2
10.0
독일
7.0
6.8
콜롬비아
3.5
3.1
칠레
4.0
2.7
노르웨이
1.2
1.9
이탈리아
1.9
1.8
파라과이
1.5
1.6
페루
1.5
1.5
영국
1.5
1.3
우즈베키스탄
0.8
1.2
우루과이
1.1
1.2
프랑스
1.2
1.2
기타
13.8
13.7
[자료 : Sindipecas, 2025.4]
자동차부품 중 최대 수출품목은 특수용도차량 및 트렉터 부품(HS코드 8708.99)으로, 수출액은 6억1250만 달러를 기록했다. 2위는 실린더 블록(HS코드 8409.99)으로 5억4610만 달러, 3위는 1000cc 이상 실린더로 4억7130만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했다.
<브라질 자동차부품 주요 수출품목>
(단위 : US$ 백만)
NCM
품목설명
2022
2023
8708.99.90
Other parts and accessories for the motor vehicles of positions 8701 to 8705
487.3
612.5
8409.99.12
Cylinder blocks and crankases for engines of positions 8407 or 8408
489.7
546.1
8407.34.90
Other reciprocating piston engines like the ones used for vehicles propulsion of the Chapter 87 exceeding a cylinder capacity of 1.000cm³
370.8
471.3
8708.29.99
Other parts and body structure of motor vehicles from 8701 to 8705 positions
356.3
441.4
8481.80.99
Other valves
323.6
338.2
8408.20.90
Other engines used for vehicle propulsion of Chapter 87
285.5
332.9
8707.90.90
Other body structures, including cabs, for motor vehicles from 8701 to 8705 positions
370.3
332.0
8708.30.90
Other brakes and parts for tractors and motor vehicles
280.1
303.9
8409.99.59
Other heads for engines of position 8407 or 8408
278.3
270.8
8708.80.00
Suspension shock absorbers for motor vehicles of headings 8701 to 8705
184.9
208.9
Others NCMs
4,880.7
5,159.2
[자료 : Sindipecas, 2025.4]
자동차부품 수입은 아시아, 중남미, 유럽 등 다양한 곳에서 이뤄지고 있다. 2023년 기준 브라질 자동차 수입국 1위는 중국으로 16%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2위는 미국으로 12.6%, 3위는 독일로 9.6%를 기록했다. 또한 일본은 8.6%로 4위를 기록했으며 한국은 4.7%로 7위를 기록했다. 한국의 경우, 2022년 대비 점유율이 소폭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브라질 자동차부품 주요 수출대상국 점유율>
(단위 : %)
국가명
2022
2023
중국
16.3
16.0
미국
12.4
12.6
독일
9.9
9.6
일본
8.6
8.6
멕시코
6.8
7.2
이탈리아
5.5
5.5
한국
5.1
4.7
아르헨티나
5.3
4.6
프랑스
3.1
3.7
인도
3.6
3.6
스웨덴
3.4
3.6
태국
3.9
3.3
영국
1.7
1.8
스페인
2.0
1.8
기타
12.5
13.4
[자료 : Sindipecas, 2025.4]
주요 수입품목은 기어박스(HS코드 8708.40)로 17억9030만 달러를 기록했다. 2위는 특수용도차량 및 트렉터 엔진부품(HS코드 8708.99)로 9억8590만 달러, 3위는 특수용도차량 및 트렉터 차체 부품(HS코드 8708.29)였다. 그 외에도 속도 제어기, 토크 컨버터, 구동 차축, 전기제어장치, 점화용 와이어링 세트, 전동축 등이 상위 10대 수입품목에 포함됐다.
<브라질 자동차부품 주요 수입품목>
(단위 : 백만 달러)
NCM
품목설명
2022
2023
8708.40.80
Other gear boxes
1,883.5
1,790.3
8708.99.90
Other parts and accessories for the motor vehicles of positions 8701 to 8705
1,024.0
985.9
8708.29.99
Other parts and body accessories of motor vehicles from 8701 to 8705 positions
1,018.5
904.7
8483.40.10
Gear boxes, speed reducers, multipliers and speed changers, including the torque converters (binary)
851.9
730.9
8708.50.99
Other axles and parts for motor vehicles
583.2
517.1
9032.89.29
Other electronic controllers for automotive vehicle systems
483.6
483.2
8544.30.00
Wire sets for spark plugs and other wire sets to be used in any vehicle
418.8
446.6
8408.20.90
Other engines used for vehicle propulsion of Chapter 87
431.3
428.3
8483.10.90
Other driveshafts including eccentric shafts (cams) and crankshafts and cranks
365.5
416.6
8409.91.90
Other parts recognized as exclusive or mainly used in piston engines, spark ignition (spark) engines
354.8
387.4
Others NCMs
12,173.9
11,681.1
[자료 : Sindipecas, 2025.4]
성장이 유망한 애프터마켓
브라질 자동차부품 시장에서 제조사 판매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전체 시장의 64.2%를 기록했다. 이는 자동차부품이 주로 제조사로 직접 공급된다는 의미다. 애프터마켓은 16.2%로, 주로 차량 소유자와 정비소를 통해 교체 부품이 공급된다. 수출은 15.1%로, 브라질은 자동차부품을 다른 국가로 수출하는 중요한 시장이다. 마지막으로 산업 내 판매는 4.5%로, 주로 자동차 제조업체나 부품 공급업체가 부품을 직접 판매하는 형태다. 이와 같은 구조는 각 부문이 특정 수요층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브라질 자동차부품 유통 구조>
(단위 : %)
연도
제조사
애프터마켓
수출
산업 내 거래
2017
62.8
18.1
12.8
6.3
2018
61.1
17.7
15.3
6.0
2019
66.4
14.2
15.2
4.2
2020
57.5
19.3
19.1
4.1
2021
64.7
15.1
16.2
4.0
2022
67.9
13.0
14.1
5.0
2023
64.2
16.2
15.1
4.5
[자료 : Sindipecas, 2025.4]
자동차부품판매협회(Sincopecas)의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브라질 자동차부품 애프터마켓에서는 제품분야별로 다양한 브랜드와 제품이 유통되고 있다. 엔진부품이 614개 브랜드, 13만916개 제품으로 가장 많이 유통되고 있다. 악세서리 관련 부품도 브랜드가 520개, 제품이 1만9271개이며 공급자가 최소 14개가 존재한다. 자동차부품판매협회에서 파악하고 있는 유압시스템의 브랜드 및 제품 수는 1개로 나타난다. 협회에서 파악하지 못하는 제품 및 브랜드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타 품목 대비 유통이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브라질 자동차부품 애프터마켓 현황>
분야
브랜드
제품 수
공급자 수(최소)
악세서리
520
19,271
14
섀시
162
7,796
3
고정용 부품
433
16,624
11
차단 부품
(방수, 방진, 방음)
99
2,029
5
외관 부품
429
26,985
7
차량 인테리어 부품
390
19,161
8
엔진부품
614
130,916
3
타이어
91
7,550
1
공랭 시스템
388
30,669
5
흡기 시스템
247
20,444
3
오디오 시스템
75
2,255
2
편의장치
105
3,814
3
배기 시스템
187
12,349
3
필터 시스템
13
234
1
브레이크 시스템
414
58,315
3
점화 시스템
215
14,435
3
조명 시스템
277
26,889
3
분사 시스템
357
30,742
4
서스펜션
400
70,820
2
트렌스미션
765
88,808
7
조향 시스템
304
19,028
5
전자 시스템
463
39,284
5
유압 시스템
1
1
1
공기압 시스템
125
2,343
1
기타
762
39,810
15
[자료 : 자동차부품판매협회(Sincopecas), 2024.5]
브라질 자동차부품 애프터마켓은 성장이 유망하다. 자동차부품노조(Sindipeca)에 따르면, 브라질 운행 차량의 평균 연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4년에는 0~5년된 차량이 41.7%, 6~10년 차량 25.6%, 11~15년 차량이 15.5%, 16~20년 차량이 13.1%로 0~5년된 신차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2023년의 경우 0~5년 차량은 22.6%, 6~10년 24.3%, 11~15년 31.3%, 16~20년 16.3%로 11~15년된 노후차량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운행 차량 노후화는 유지보수 수요를 증가시키고 이는 애프터마켓 자동차부품 판매를 촉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브라질 운행 차량 평균 연수>
[자료 : Sindipecas, 2025.4]
주요 정책 및 규제
브라질에서 자동차 관련 주요 규제·인센티브 정책은 ‘그린모빌리티혁신(MOVER)’이다. 브라질 연방정부는 글로벌 친환경 자동차 트렌드에 맞춰 기존 자동차 산업 육성 프로그램인 ‘Rota 2030’을 종료하고 국내 자동차 산업의 탈탄소화, 기술개발,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친환경차 지원 및 규제 정책을 담은 ‘그린모빌리티혁신(MOVER)’ 정책을 2024년 6월 28일 공포하고 시행하고 있다. MOVER의 주요 내용은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R&D 투자 인센티브, 차량 필수 장착 장비 및 기술 규정, 친환경 과세, 국가산업기술개발펀드 설립 등이다.
1) R&D 투자 촉진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
브라질 정부는 브라질 내에서의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R&D와 생산 촉진을 위해 글로벌 기업들의 R&D, 생산 공장 확장 및 이전 등과 관련한 투자액에 비례해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인센티브 규모는 2028년까지 총 약 39억 달러에 달하며, 연도별로 2024년 7억 달러, 2025년 7억6000만 달러, 2026년 7억8000만 달러, 2027년 8억 달러, 2028년 6억2000만 달러를 제공한다. 지원 조건은 기업이 연도별로 약 1~2%의 최소 연구개발비 조건을 충족할 경우 투자금의 50%까지 금융 크레딧을 제공하며, 지원받은 크레딧은 5년 간 기업의 세금공제나 현금 환급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차량 필수 장착 장비 및 기술 규정
브라질 정부는 친환경 및 안전 기술 개발 촉진을 위해 에너지효율, 이산화탄소 배출, 재활용, 주행 보조기술 등을 의무적으로 탑재하는 정책을 실시한다. 차량별로 에너지효율, 이산화탄소 배출량, 재활용 소재 사용 비율 등을 정하여 달성 여부를 평가하고 미충족시 패널티를 부과한다. 요건 미충족시 각 항목당 패널티는 목표에 따라 상이하다. 에너지효율 목표의 1/100을 초과할 때마다 50~360헤알, 이산화탄소 배출 목표의 이산화탄소환산량 초과 그램(g)당 70~500헤알, 구조성능 목표의 달성비율(%) 따라 50~360헤알이다. 추가로, 자동차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발생량 측정 관련 규정을 2027년부터 실시할 예정이다. 현재 의회에서 세부 법안이 논의 중이며, 2026년까지는 국내 판매차량에 대해 탄소 인벤토리 및 탄소 발생량 등록을 의무화할 예정이다.
3) 친환경세 도입
그린 모빌리티 지속 가능성을 위해 에너지효율, 이산화탄소 배출, 재활용 가능성, 성능 및 주행보조기술 의무 요건의 충족여부에 따라 요건 충족 차량과 미충족 차량 간 공업세(IPI) 1~5%p 차등을 적용한다.
4) 국가산업기술개발펀드(FNDIT) 설립
브라질경제사회개발은행(BNDES)은 MOVER 기술개발비용 납부액 및 펀드투자수입 등을 재원으로 한 별도 기금(FNDIT)을 설립·운영하고, 산업통상서비스부(MDIC) 산하에 국가산업기술개발펀드(FNDIT) 이사회 및 모니터링그룹을 구성했다. MDIC는 기업 신청을 받아 프로젝트 적격성 여부를 평가한 후 지원대상을 승인하고, 기업이행 실적 등 준수사항을 매년 점검·평가하여 인센티브를 지원할 예정이다. 2024년 6월 기준 현대자동차, 포드, 폭스바겐, 닛산, GM, BYD 등 제조사 및 자동차부품사, 연구기관 등 총 85개사가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다.
SWOT 분석
강점(Strengths)
약점(Weaknesses)
- 중남미 주요 자동차 생산국(자동차 부품 수요)
- 중남미 주요 자동차 소비국(자동차 판매량 및 운행 대수 증가)
- 높은 인건비 및 세율로 인한 비효율성
- 불규칙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소비, 투자 지속 여부 불확실성
기회(Opportunities)
위협(Threats)
- 정부의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산업 육성 의지
- 한국 기업 및 기술력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 중국기업들의 공격적인 투자 및 높은 가격 경쟁력
- 정권 교체 시 친환경 모빌리티 사업 지원 정책 지속 여부 불확실
시사점
브라질은 생산량 및 판매량 기준 세계 8위의 자동차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브라질 정부는 자국 내 자동차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수입차에 높은 관세를 부과한다. 반면, 자동차부품과 설비에 대한 관세는 상대적으로 낮다. 이로 인해 완성차를 수출하는 것보다 부품 수출이 더 유리하다. 또한, 브라질 내 운행 중인 자동차들의 평균 연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지보수와 수리가 필요한 애프터마켓 부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이유로, 브라질 자동차부품 시장은 한국 기업들에게 유망한 진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자료 : Sindipecas, Sincopecas, CBCI, KOTRA 상파울루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브라질 자동차부품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BMW·벤츠는 놓치고 폭스바겐은 뛰었다… 독일 EREV 경쟁의 서막
독일 2025-04-11
-
2
베트남 인스턴트 라면 시장 동향
베트남 2025-04-11
-
3
2024년 중국 선박 산업 10대 혁신 제품, 선박 신기술 발전 현황은?
중국 2025-04-10
-
4
2024년 브라질 자동차산업 정보
브라질 2024-09-27
-
5
2025년 베트남 섬유의류 산업 정보
베트남 2025-04-11
-
6
이집트 건강 라이프 스타일 확산, 휴대용 블렌더의 신규 트렌드 형성
이집트 2025-04-11
-
1
2024년 브라질 인프라산업 정보
브라질 2024-12-18
-
2
2024년 브라질 철강산업 정보
브라질 2024-11-05
-
3
2024년 브라질 자동차산업 정보
브라질 2024-09-27
-
4
2021년 브라질 화장품 산업 정보
브라질 2022-01-10
-
5
2021년 브라질 광물 산업 정보
브라질 2022-01-10
-
6
2021년 브라질 자동차 산업 정보
브라질 2021-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