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일본 오사카 오픈형 스타트업 행사 DDFes 참관기
  • 현장·인터뷰
  • 일본
  • 오사카무역관 하마다유지
  • 2025-04-10
  • 출처 : KOTRA

AI에 주목이 집중되는 가운데, 사회 과제를 해결하는 스타트업에도 눈길

2024년 일본 내 스타트업 투자액은 7793억 엔을 기록

전시회 개요

 

<전시회 개요>

전시회 명

개 최 장 소

Namba Hiroba, Namba Skyo (일본 오사카시)

개 최 기 간

2025. 03. 26.()~27.() (2일간)

홈 페 이 지

https://www.osaka.cci.or.jp/ddfes/

개최 주기

개최

 

오사카 상공회의소

개최규모

참가기업 : 33개사(그 중 한국 5개사, 중국2개사, 인도 1개사, 이스라엘 1개사)

주 요 품 목

IT/AI/DX, 로봇, 식품, 화장품, 의류, 메디컬, 게임

 

<전시회 전경>

[자료: KOTRA 오사카무역관]

 

오사카 상공회의소는 3월 26일, 오사카 시내 번화가인 '난바 광장'에서 일본 국내외 유력 스타트업 33개사의 제품과 서비스를 소개하는 옥외 전시회 'DD Fes'를 처음 개최했다. 행사 다음 날에는 난바 스카이오(Namba Skyo)에 위치한 Wework 등 코워킹 스페이스에서 CVC(Corporate Venture Capital) 및 바이어와의 상담회를 열었다. 행사장은 일반인과 외국인 여행자도 편하게 둘러볼 수 있도록 기획됐다.


이번 행사에는 일본 기업뿐만 아니라 한국, 중국, 인도, 이스라엘 등 4개국에서 9개사가 참가했다. 한국에서는 X-ray를 사용하지 않고 축농증을 진단할 수 있는 기기와 제조업 지원 DX를 개발하는 스타트업 등 5개사가 참여했다. 이스라엘 기업은 공기로 물을 만드는 장치를, 인도 기업은 자율 이동이 가능한 AI 캐리 케이스를 소개했다. 일본에서는 실내 사진만으로 AI가 공간에 맞는 그림을 제안하는 서비스 등, AI 관련 스타트업들이 참가해 기술력을 선보였다.


일본의 스타트업 투자 현황

 

일본의 벤처 캐피털(VC) 투자는 주식 시황에 영향을 받지만, 2022년에는 사상 최고치인 9000억 엔을 넘는 자금 조달이 이루어졌다. 이후 2023년에는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2024년에는 50억 엔 이상의 대형 안건이 다수 등장하면서 기업당 평균 조달액이 확대됐다. 2024년 일본 내 스타트업 투자액은 약 7793억 엔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투자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일본의 스타트업 투자액 추이>

[자료: Speeda, 재무성]

 

일본 정부는 2018 성장전략에서 '기업가치 또는 시가총액이 10 달러 이상인 미상장 벤처기업(유니콘) 또는 상장 벤처기업을 2023년까지 20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스타트업 육성 지원 프로그램 'J-startup' 시작했다. 또한, 일본 정부는 2022년을 스타트업 창출 원년으로 선언하면서 스타트업 육성 5개년 계획을 발표하고, 스타트업 지원 시책 중 역대 최고 규모인 1  규모의 예산을 계상한 바 있다.


2024 8 기준 일본 내 유니콘 기업 수는 8개(2021 6개사 대비 2개사 증가) 정부의 목표치에는 도달하지 못했으나, 스타트업 기업 수는 2023년에 2021 대비 1.5 증가한 2만2000, 대학 출발 스타트업 기업 수는 2021년부터 1000 증가한 4288 사를 기록해 5 계획의 성과가 나오기 시작한 상황이다.

 

<일본의 주요 유니콘 기업>

기업명

업종

URL

Preferred Networks

AI/기계학습

https://www.preferred.jp/

SmartNews

뉴스 애플리케이션

https://www.smartnews.com/

SmartHR

클라우드형 인사노무 소프트웨어

https://smarthr.jp/

Spilber

구조단백질 인공합성

https://spiber.inc/

Go

택시 배차 애플리케이션

https://go.goinc.jp/

Playco

게임 개발

https://www.play.co/jp

Opn

전자 결제 서비스

https://www.opn.ooo/jp-ja/

Sakana AI

AI

https://sakana.ai/

[자료: 재무성]

 

참가기업 제품 및 서비스 예

 

<참가 기업 예시>

제품 이미지

개요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acf4555f.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7pixel, 세로 205pixel

-기업명: Iwai AI

-URL: https://iwai-ai.com/

-소재지: 이와테현

-설립: 2023

-서비스명: D-walk

-개요: 평소 걸음걸이를 분석해 사용자의 인지 기능 저하를 체크하고 관련 예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acf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2pixel, 세로 518pixel

-기업명: Storyline

-URL: https://storyline.co.jp/

-소재지: 미야기현

-설립: 2018

-제품/서비스명: CHOOZE COFFEE

-개요: 카페인 섭취량을 조절할 수 있는 커피 머신. 기분과 컨디션, 시간대에 맞춰 섭취하는 카페인량을 조절, 제안하는 서비스를 제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acf4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43pixel, 세로 224pixel

-기업명: Mirai Bar

-URL: https://mirai-bar.co.jp/

-소재지: 효고현

-설립: 2018

-제품명: MIRAI PIX

-개요: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해 모니터에 직접 닿지 않고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acf4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08pixel, 세로 1477pixel

-기업명: Spacewasp

-URL: https://spacewasp.net/

-소재지: 기후현

-설립: 2022

-제품명: 식물 유래 제품

-개요: 식물 폐기물을 원료로 한 식물 유래 제품(내장재, 가구, 건자재). 구입한 제품은 다시 만들 수 있는 것이 특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acf4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41pixel, 세로 686pixel

-기업명: BHQ

-URL: https://www.bhq.co.jp/

-소재지: 사이타마현

-설립: 2019

-서비스명: BHQ 도크

-개요: 뇌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 BHQ(Brain Healthcare Quatient)를 사용해 얼굴 표정에서 BHQ를 간편하게 계측할 수 있는 웹 앱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acf4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0pixel, 세로 270pixel

-기업명: pAIr Mind

-URL: https://kaigamaker.com/

-소재지: 효고현

-설립: 2023

-서비스명: kAIga Maker

-개요: 실내 사진에서 AI가 그 공간에 맞는 독창적인 인테리어 회화를 제작하는 서비스

[자료: 오사카상공회의소 및 기업 홈페이지]

 

참가기업 인터뷰

 

참가 한국기업 T(이끼를 이용한 가습공기청정 아로마기)

Q. 귀사의 강점, 일본 기업에 어필하고 싶은 점은 무엇인가요? 일본 기업의 반응은 어땠나요?

A. 이끼를 이용한 제품은 드물어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 많았다. 관리가 쉽고, 인테리어로도 힐링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제품임을 강조하고 있다. 기업 담당자 외에 소비자도 많이 접했는데, 외국인 소비자의 반응이 더 컸다. 일본인들은 표현을 잘 안 하는 것 같았지만, 지난해 일본 크라우드펀딩에서 500만 엔 가까이 매출을 올린 실적이 있기 때문에 표면적인 반응과 실제 구매는 다르다고 느꼈다.

Q. 스타트업 행사라 투자하고 싶다는 이야기도 나올 수 있는데, 해외 VC로부터 투자를 받는 것에 대한 부담은 없는지요?

A. 종합적인 판단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자금이 필요하면 투자를 받는데, 해외의 경우는 바이어 를 확보해야 하므로 VC의 지원을 받을 때 자금 외에 얼마나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참가 한국기업 X(AI 감시 제어 시스템)

Q. 귀사의 강점, 일본 기업에 어필하고 싶은 점은? 일본 기업의 반응은 어땠나요?

A. 인프라 설비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가시화하고 관리하는 산업용 SCADA 시스템을 전시하고 있는데, 당사 소프트웨어의 디자인성, 비주얼에 관심을 갖는 분들이 많았다. 당사의 강점은 바로 디자인이다. 일본 기업의 소프트웨어는 30~40년 전에 개발된 것을 계속해서 업데이트해 온 것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기존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숫자)를 표로 표시해 보는 것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비주얼·디자인 요소를 발전시킨 데이터에 신선함을 느끼는 것 같았다. 한국은 반대로 숫자 나열보다 비주얼이 뛰어난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익숙한 것을 계속해서 사용하는 경향이 강한 일본 기업이 당사의 제품을 얼마나 잘 받아들이는지가 과제이지만, 편리함을 요구하는 것은 일본이나 한국이나 마찬가지이므로 당사 제품의 장점을 계속 어필하고 있다.

Q. 일본 전시회에도 여러 번 참가하셨다고 하는데, 전시회에서 어떤 성과가 있었나요? 일본 시장에서 영업할 때 어떤 점이 어렵나요?

A. DX 관련 전시회에 참가했는데, 3일 동안 약 100수십 개의 담당자와 명함을 교환했다. 그 중 5%의 기업에 방문할 수 있었는데, 계약이 될 만한 기업은 한 곳 정도다. 1개 사라도 계약할 수 있으면 성과가 있었다고 말할 수 있지만, 견적을 내도 좀처럼 기업 방문까지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일본 시장에서 영업하는 일의 어려움을 느낀다. 좀처럼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지 않는 분위기가 있다. 다만, 실적이 있으면 얘기를 들어주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실적을 어필하면서 거래처를 늘릴 생각이다.

 

참가 일본기업 D( 켤레씩 운동화를 판매하는 서비스)

Q. 귀사의 강점, 투자자나 소비자에게 어필하고 싶은 점은?

A. 당사는 한 켤레씩 신발을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으로, 일본에서 유일하게 이러한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있다. 많은 소비자들이 양쪽 발 사이즈가 같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5~10mm 정도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은 발에 맞지 않는 신발을 착용함으로써 부상의 위험이 커지기도 한다. 일본인 5명 중 1명이 양쪽 발 사이즈가 다르다는 데이터가 있으며, 실제로 신발을 두 켤레 구매해 맞추는 사람도 있다. 다만, 프로 스포츠 선수라면 자신에게 투자하는 차원에서 두 켤레를 살 수 있겠지만, 스포츠 애호가가 두 켤레를 구매해 각 사이즈당 하나씩만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당사는 이러한 마이너리티의 수요에 착안해 비즈니스를 시작했다. 우리 서비스는 소비자가 정상가에 3480엔을 추가 부담하면 양쪽 사이즈가 다른 신발을 한 켤레 구매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한다. 맞춤형 신발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고 납기가 빠르다는 점이 특징이다.

Q. 재고 관리가 힘들지 않나요?

A. 품번 관리 업무가 기존보다 3배로 늘어났지만, 구매 데이터를 분석해 재고를 보유하지 않도록 비즈니스를 구축하고 있다. 모든 신발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며, 축구나 마라톤 등 '발'을 사용하는 스포츠에 열정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신발을 취급해 당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이 증가하고 있다.

Q. 앞으로 어떤 비전을 그리고 있나요?

A. 당사는 향후 당뇨병 환자용 3D 프린트 슈즈 사업에 임할 계획이다. 당뇨병 환자는 신경 장애나 혈류 장애로 인해 자신도 모르게 다리에 상처가 생기고, 이후 이것이 중증화될 위험이 있다. 발 모양과 건강 상태에 맞춘 개인 맞춤형 신발을 제공해 삶의 질을 향상하고, 합병증 예방에 이바지하는 것이 목표다. 또한, 발 질환으로 인해 한쪽 신발만 신는 사람이나 양쪽 발 크기가 다른 사람에게도 서비스를 알리고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사점

 

일본에선 AI와 의료를 중심으로 스타트업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2025년 9월에는 오사카 간사이 엑스포장에서 150개 기업 규모의 스타트업 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지방 도시인 오사카와 간사이는 수도권에 비해 VC 자금 규모가 작지만, 교토를 비롯해 젊은 인재가 풍부한 도시들이 있고, Kyocera나 Shimazu와 같은 독자적인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유니콘 기업이 쉽게 탄생하지 않는 일본 시장이지만, AI 관련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IT 강국으로 평가받는 한국 기업과의 협업에 관심을 보이는 일본 기업도 적지 않다. 그러나 우선 자사의 강점과 일본 기업과의 시너지 효과를 강조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는 것이 일본 시장 진출에 중요하다.


 

자료: 오사카상공회의소 및 기업 홈페이지, 경제산업성, KOTRA 오사카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오사카 오픈형 스타트업 행사 DDFes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