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콜롬비아 전자조달 시스템 개편 프로젝트 입찰 소개
- 경제·무역
- 콜롬비아
- 보고타무역관 김민정
- 2025-04-10
- 출처 : KOTRA
-
SECOP의 새로운 도전, 시스템 개편 예정
한국 "나라장터" 벤치마킹, 콜롬비아 시장 진출 기회 확대
개요
콜롬비아 정부의 공공 조달을 담당하는 전자조달 시스템은 현재 느린 속도와 높은 비용 등의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인공지능 등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플랫폼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올해 4월 시스템 개편을 시작할 예정이다. 본 개편 프로젝트는 수의계약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나라장터와 같이 우수한 조달 시스템 구축 사례를 지닌 한국의 IT기업들은 해당 입찰 프로세스에 주목해볼 수 있다.
앞서 콜롬비아의 조달청(CCE, Colombia Compra Eficiente)의 전자시스템(SECOP, Sistema Electrónico para la Contratación Pública)은 콜롬비아 정부의 공공 계약을 관리하는 플랫폼이다. 현재 SECOP I, SECOP II, SIGEC, TVEC, MMP라고 하는 5개의 플랫폼으로 구성돼 있다.
<콜롬비아 조달청 홈페이지 메인>
[자료: CCE(조달청) 홈페이지]
<콜롬비아 전자조달 시스템과 각 특징>
특징
SECOP I
가장 오래된 플랫폼
계약 체결하는 기관이 관련 서류 업로드 가능
SECOP II
2015년부터 운영
계약 절차가 온라인으로 이루어짐
SIGEC
(SIGEC, Sistema de Gestión de Convenios)협약 관리 시스템
전자 서명 관리
국가 및 지역 차원의 프로그램 기술 및 재정 관리
TVEC
(Tienda Virtual del Estado Colombiano)
공공기관이 물품과 서비스 구매하는 플랫폼
기준 가격 협정(AMP, Acuerdos Marco de precios) 또는 총수요 계약*(Contratos de Agregación de Demanda)을 통해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
대형 유통업체에서 최소 금액으로 상품 구매
MMP
(Mi Mercado Popular)
TVEC 내에서 공급자 데이터베이스 등록 시스템(IAD, Instrumento de Agregación de Demanda)을 통해 상품과 서비스를 공공 기관이 계약하는 플랫폼
*총수요 계약은 하나의 계약 안에서 공급자가 여러 품목을 판매
[자료: CCE(조달청), 보고타무역관 재구성]
<시스템 별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종류>
조달청 시스템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SECOP I
Oracle
SECOP II
Azure
SIGEC
Azure
TVEC
SaaS AWS
MMP
Azure
데이터 보관 창고
Azure
[자료: CCE(조달청), 보고타무역관 재구성]
SECOP 시스템의 문제점
기존 콜롬비아 조달청 시스템은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콜롬비아 조달청의 Cristóbal Padilla(크리스토발 파디야) 국장은 “SECOP 시스템을 통해 인터넷에서 투명하게 계약을 할 수 있지만, 기능이 분산되고 비효율적이며 유지비가 높은 구조”라고 지적했다.
SECOP 시스템은 투명한 계약 절차를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여러 기술적 문제로 인해 개편이 필요한 상황이다. 콜롬비아 조달청 발표에 따르면, 월 1000건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고 2024년에만 총 1만 2239건의 시스템 오류가 발생했다고 한다. 가장 큰 문제는 느린 속도로 계약 등록 및 검색 과정에서 시스템 지연 또는 중단이 빈번히 발생한다.
높은 비용 역시 시스템 개편의 주된 이유이다. 콜롬비아 조달청은 포르투갈 기업 Vortal S. A.와 2017~2023년 동안 약 347억 페소(약 72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유지보수 및 업데이트에 연간 약 250억 페소(약 520만 달러)를 지출하는데 이는 새로운 시스템 개발 비용보다 높은 수준이다. 또한, 지난 10년간 총 1270억 페소(약 2650만 달러) 이상을 시스템 개선에 투입했으나,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이다. 이 외에도 모바일 기기로 접근이 불가능하고 기술 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 전자조달 시스템 변화는 시급한 과제이다.
SECOP 개편 프로젝트
콜롬비아 조달청은 SECOP 개편을 통해 프로세스 투명성, UX, 플랫폼 통합, 타 정부부처 시스템과의 호환성, 사이버보안 강화에 집중할 예정이다.
2025년 제1차 전자조달 시스템 개편의 주요 세가지 목표는 인공지능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조달 시스템 설계, 정부 기관 및 감독기관과의 상호운용성 확보, 모든 공공조달 이해관계자가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다. 이외에도 중소기업 및 다양한 참여자를 위한 포괄적인 플랫폼 구축, 거래 로그의 체계적인 관리 및 감사 기능 제공, 입찰 및 계약 절차의 투명성을 위한 공공조달 정보 공개 모듈 개선을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100만 명의 사용자, 월 20만 건 신규 계약, 1만 2천 개의 공공기관이 참여하고 있는데 개편된 시스템을 통해 연평균 25% 증가하는 정부 조달 수요에 대비할 예정이다. 콜롬비아 조달청의 시스템 개편 관련 기술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적용
프레젠테이션,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 접근 계층을 분리하고, 컨테이너 기반의 마이크로서비스를 설계하여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시스템 구현2. 비동기 데이터 처리 지원
이벤트 기반 비동기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조달 프로세스 간 원활한 연계 보장3. 오픈소스 및 확장 가능한 기술 도입
지속적인 개선과 확장을 위해 오픈소스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공공조달 시스템의 유연성을 확보4. API 기반 웹 서비스 구축
보안성이 강화된 HTTPS 프로토콜과 REST/JSON 형식을 사용하여 공공조달 서비스 API 구현, API Key 및 사용자 인증을 통한 접근 제어 적용한편, 시스템 개편 시 데이터 이관은 진행되지 않는다. 진행 중인 계약 및 조달 절차는 기존 시스템에서 완료, 종료 또는 취소될 때까지 유지되지만, 기존 플랫폼은 조달 절차에 대한 조회 기능만 제공하며 거래 기능은 지원하지 않을 예정이다.
향후 일정
향후 총 사업 규모 240억 페소(약 600만 달러)의 전자조달 시스템 개편 입찰 공고가 발표될 예정이다. 최종 입찰 문서는 4월 중순까지 발표 예정이며, 4월 16일부터 22일까지 입찰 제안서 제출이 진행된다. 해당 입찰 공고 이후 타임라인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2024년 콜롬비아 전자조달 시스템 개편 입찰 공고 향후 일정>
날짜
일정
입찰(계약) 방식
2025년 4월
계약 체결
수의계약
2025년 4~7월 중반
기존 시스템 점검 및 새로운 시스템 설계
-
2025년 4월 중반~9월
핵심 모듈 구축 및 체계화
-
2025년 9월부터
시스템 실행
-
2025년 12월까지
새로운 시스템 설계 및 핵심 모듈 구축
(전체 거래 흐름의 75% 반영)-
2026년
주요 계약 프로세스 활성화
11월까지 100% 기능 구현
제한경쟁입찰방식
2027~2029년
이전 데이터 보존을 위한 과거 문서 조회 포털 구축 및 대규모 교육 프로그램 시행
-
[자료: CCE(조달청), 보고타무역관 재구성]
한국 기업 진출의 기회
한국의 나라장터는 전자조달 시스템의 모범 사례로 안정성과 효율성이 입증돼서 콜롬비아 조달청은 한국의 나라장터 벤치마킹을 추진 중이다. 2024년 KOTRA 지원을 통해 콜롬비아 조달청장, 부청장이 방한하기도 했다. 한국의 유사한 시스템 구축 경험이 있는 중소중견 기업들이 해당 입찰에 참여한다면 선정될 가능성이 있다. 입찰 공고는 콜롬비아 조달청 홈페이지(www.colombiacompra.gov.co)에 계속 업데이트 될 예정이며, 참여를 희망한다면 입찰 참여 요건과 평가 요소를 파악하고, 콜롬비아 시장 특성 이해 및 즉각적인 대응 등을 위해 현지 파트너와 함께 참여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수 있다. 입찰 절차 및 참여 방법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KOTRA 보고타무역관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자료: 콜롬비아 조달청, SECOP I, SECOP II, EL TIEMPO, Pexels, KOTRA 보고타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콜롬비아 전자조달 시스템 개편 프로젝트 입찰 소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말레이시아 화장품 수출의 첫걸음, NPRA 규제 파헤치기
말레이시아 2025-04-10
-
2
케냐 폴리카보네이트 원료 시장 동향
케냐 2024-07-15
-
3
2025-26년 호주 연방정부 예산안 주요내용
호주 2025-04-09
-
4
변화하는 일본 스타트업 시장, 딥테크와 SaaS가 주도하다
일본 2025-04-08
-
5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시장 반응과 전망
미국 2025-04-16
-
6
스타트업 육성 계획 반환점 지난 일본, 정책 지원의 폭을 넓히다
일본 2025-04-08
-
1
2024년 콜롬비아 화훼산업 정보
콜롬비아 2024-08-30
-
2
2024년 콜롬비아 커피 산업 정보
콜롬비아 2024-06-07
-
3
2021년 콜롬비아 제약산업 정보
콜롬비아 2021-05-14
-
4
2021년 콜롬비아 자동차 산업 정보
콜롬비아 2021-05-14
-
5
2021년 콜롬비아 인프라 산업 정보
콜롬비아 2021-05-14
-
6
2021년 콜롬비아 석유&천연가스 산업 정보
콜롬비아 2021-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