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구리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하얼빈무역관
  • 2025-04-16
  • 출처 : KOTRA

AI∙전기차 등 디지털 산업 성장과 친환경 에너지 전환으로 인한 수요 증가

글로벌 공급 부족과 수요 증가로 구리 가격 급등

기본 정보

< 구리  HS CODE>

품목

HS CODE

 구리 정광

260300

(Copper ores and concentrates)

구리 스크랩

740400

(Copper waste and scrap)


구리는 비철 금속으로서 뛰어난 전기 전도성, 내구성, 가공 용이성 등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첨단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원자재이자 전략 자원이다. 최근 중국은 구리 연관 산업 빠르게 발전하며 세계 최대의 구리 제품 생산국이자 소비국으로 성장했다. 특히 전기차, AI 데이터센터, 태양광·풍력 발전소 등의 친환경 에너지 산업에서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구리는 항부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가스 공급라인, 냉난방 시스템 건축 자재로도 많이 사용되며, 항균 특성도 뛰어나 의료기기, 위생용품, 주방 도구 등 소재로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구리 제품별 용도 구분>

구분

주요 용도

동괴

정련해 전기동 기타 귀금속 추출

스크랩

정련해 전기, 전자, 합금, 군수품 및 건축재 재료

황동봉

볼트, 너트, 기계 부품, 전기제품 재료

동선 황동선

배선 전기기계 부품, 못 등

청동봉

조선, 기계 재료

청동판

건축재료, 미술재료

동박

접점용 스위치, 전선 부품 자동차 라디에이터 등

동관

전기도선용, 황동관 열교환기 및 수도관용 재료

[자료: KOTRA 하얼빈무역관 정리]

 

중국 구리 부존량 생산량


미국지질조사국(USGS)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구리광 자원 부존량은 9억8000만 톤으로, 2023년 10억 톤 대비 감소했다. 이 중 중국의 부존량은 4100만 톤으로 전 세계의 4.2%를 차지했다. 한편, 2024년 말 기준 부존량은 칠레, 페루/호주(공동 2위), 러시아/ 콩고(공동 3위), 멕시코 순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19.4%, 10.2%, 8.2%, 5.4%를 차지했다.


<2019~2024년 중국 구리광 부존량 동향>

(단위: 만 톤)

  

[자료: USGS]


생산량을 보면, 2024년 전 세계 구리광 생산량은 2300만 톤으로 전년 대비 1.8% 증가했다. 이 중 중국은 180만 톤으로 전년 대비 1.1% 감소했으며 전 세계의 7.8%를 차지했다. 2024년 연말 기준, 상위 6개 생산량 국가는 칠레, 콩고, 페루, 중국, 인도네시아/미국(공동) 순으로 각각 세계 생산량의 23.0%, 14.4%, 11.3%, 7.8%, 4.8%를 차지해 상위 6개 국가의 생산량은 전체 생산량의 66.1%를 차지했다.


<2019-2024년 중국 구리광 생산량 동향 >

(단위: 만 톤)

[자료:USGS]

 

<2024년 글로벌 구리 부존량, 생산량 점유율>

(단위: %)

구분

국가 점유율

부존량*

칠레

호주/페루

러시아/콩고

멕시코

미국

19.4%

10.2%

8.2%

5.4%

4.8%

생산량**

칠레

콩고

페루

중국

인도네시아/미국

23.0%

14.4%

11.3%

7.8%

4.8%

* 부존량: 전체 구리 원광석 규모

** 생산량: 원광석을 채굴해 제련을 통해 얻은 순수한 구리(구리 정광)의 총량

[자료: USGS]


중국 구리 수요 동향 


중국 비철금속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세계 최대 구리 소비국으로 2023년 구리 소비량은 전년 대비 4.6% 증가한 1552만 톤이며, 세계 구리 소비량의 50% 이상을 차지했다. 2023년 중국의 구리 소비 구조를 보면 전력망의 비중이 51%로 가장 크며, 그다음으로 가전제품 13%, 건축업 9%, 교통 운수(신에너지차 등) 8% 순이었다. 


<2023년 중국 구리 소비 구조>

(단위: %)


[자료: 중국 매스컴 연구원]


‘2025년 중국 양회’*에서 중국 정부는 혁신산업·미래산업의 육성, 디지털 경제의 혁신 발전 전략을 제시하면서 전기차,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건설 및 인프라, AI 데이터센터 등이 핵심으로 언급됐다. 중국비철금속공업협회의 한 연구원은 해당 정책의 시행으로 산업 발전이 전략적으로 추진되면서 향후 중국 구리 수요량은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는 매년 3 개최되는 중국 최대의 정치행사로, 그해의 새로운 법률 제정과 경제 정책,산업 육성 전략, 외교 정책 방향 등을 발표함


<2025년 중국 주요 산업 정책 과제>

과제

주요 내용

신흥산업  

미래산업의 육성

스마트 커넥티드 자동차의 선도적 우위 공고화

수소에너지·신소재·바이오제약·항공우주 등 산업 육성

양자 기술, 생명과학 등 미래산업 육성

벤처캐피탈 등의 산업투자 펀드 기능 활성화

디지털 경제의 혁신 발전 촉진

AI+*’ 추진

디지털 산업 클러스터 구축, 스마트 도시 및 디지털 농촌 구축

데이터 개발·공유·유통·활용 등을 강화해 데이터 시스템 개선

국가통합 컴퓨팅 파워시스템 구축 가속화

* AI+: 인공지능 기술을 산업 분야에 융합해 산업 전환 업그레이드와 혁신 발전 추진

[자료: 중국정부망]


일반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4배 이상의 구리가 사용되는 신에너지차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태양광, 풍력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에도 구리는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글로벌 탄소 중립 정책이 강화되면서 관련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전력망, 통신 케이블, 배관 등 다양한 건설 프로젝트에서 구리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자재다. 2024~2026년 3년간 중국 구리 수요량은 1299 , 1910 , 1981만 톤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구리 수요량 동향 및 전망(미래산업 제외)>

(단위: 만 톤)

구분 

2021

2022

2023

2024

2025E

2026E

전력

514

549

574

412

597

609

가전

250

267

279

189

279

279

건축

236

252

264

187

253

248

교통운수

125

134

140

81

198

212

전자

153

167

184

125

187

188

기타

125

104

120

80

134

146

합계

1,403

1,473

1,561

1,074

1,648

1,683

[자료: 중상연구원]


미래산업에서 구리의 수요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에너지 전환의 핵심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2023~2026 동안 미래산업의 구리 수요량 연평균 증가율은 16.8% 이를 것으로 전망돼 전체 구리 수요량 증가율의 5배를 상회한다.


<중국 미래산업 구리 수요량 동향 및 전망>

(단위: 만 톤)

구분 

2021

2022

2023

2024

2025E

2026E

신에너지차

26

54

72

99

122

145

태양광

22

35

87

92

98

104

풍력

22

13

25

30

37

43

에너지 저장

0

1

3

4

5

6

합계

70

103

187

225

262

298

[자료: 중상연구원]

 

중국 구리 가격 동향


구리 가격은 글로벌 수급 상황과 경제 지표에 따라 변동한다. 2024년, 중국 국내 현물시장의 구리 평균 가격은 톤당 7만4904위안으로 전년 대비 9.7% 상승했다. 같은 해 3월부터 상승세를 보이기 시작하며, 5월 말 톤당 8만7390위안으로 정점을 찍은 , 8월에는 톤당 7만1000위안으로 다소 하락했으나, 이전 대비 여전히 높은 가격 수준을 보였다. 미국 금리 인하로 인해 9월에는 가격이 상승했다가 10~12월에는 달러인덱스 변동의 영향을 받아 가격 파동이 컸다.

 

중국 구리 광석 정광(HS CODE 26030000) 수출입 동향


수출 동향을 살펴보면 2023년 중국은 한국, 키르기스스탄, 일본 등 국가에 총 5135톤 달하는 720만 불의 구리 광석 및 정광을 수출했는데 對한국 수출은 4712톤으로 전체 수출의 91.8%를 차지했다.(한국 수출액 679만 불) 하지만 2024년 11월 15일, 중국 정부가 구리 수출에 대한 부가가치세 환급을 폐지함에 따라 수출 비용이 증가해 전체 수출 물량이 다.


<2022~2024 중국 구리 광석 정광(HS code 26030000) 수출액 통계>

(단위: US$ 천)

순위

국가

2022년

2023년

2024년

1

한국

56

6,787

761

2

오만

0

0

26

3

키르기스스탄

4

101

6

4

멕시코

2

0

5

5

일본

1

2

2

* 주: 순위는 2024년 수출액 기준

[자료: 한국무역협회]


수입 동향을 보면, 중국은 구리 최대 소비국이며 수입의존도(   정광구리 스크랩 )는 70%에 달한다. 2015~2024년까지 중국이 누적 수입한 구리 광석  정광 2억1500만 톤에 달하며, 주로 칠레와 페루에서 수입하고 있. 최근 3년간의 한국 수입 동향을 보면, 유일하게 2023년에 854만 불을 수입했다. 이는 2023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남미(칠레, 페루) 노동 분쟁으로 구리 가격이 급등락하며 공급 불안이 커지자 중국이 리스크 감소를 위해 한국을 비롯한 다각화된 공급원으로부터 구리를 확보한 조치로 해석된다.


<2022~2024 중국 구리 광석 정광(HS code 26030000) 수입액 통계>

(단위: US$ 천)

순위

국가

2022년

2023년

2024년

1

칠레

19,038,125

18,699,134

20,820,358

2

페루

14,626,589

16,167,134

16,651,697

3

멕시코

2,447,965

2,939,470

3,362,808

4

몽골

2,735,949

2,665,858

3,329,454

5

카자흐스탄

2,886,630

2,959,991

3,085,230

6

콩고 민주공화국

1,439,735

2,088,343

2,508,129

7

인도네시아

2,096,566

2,081,271

1,952,905

8

세르비아공화국

810,915

1,050,704

1,475,616

9

러시아

990,961

861,788

1,420,396

10

스페인

1,280,918

923,041

1,133,983

43

한국

0

8,544

0

* 주: 순위는 2024년 기준

[자료: 한국무역협회]


<중국 구리 광석 및 정광 수입량, 금액 및 단가 차트(2024년)

(단위: 만 톤, 억 위안)

순위

(금액 기준)

국가

수량

(만 톤)

수량 점유율

 금액

(억 위안)

금액 점유율

단가

( 위안/)

1

칠레

922.2

32.8%

1524.8

31.6%

1.7

2

페루

698.7

24.9%

1226.0

25.4%

1.8

3

멕시코

147.1

5.2%

246.0

5.1%

1.7

4

몽골

154.9

5.5%

237.8

4.9%

1.5

5

카자흐스탄

154.1

5.5%

224.4

4.7%

1.5

6

콩고

62.5

2.2%

181.4

3.8%

2.9

7

인도네시아

53.9

1.9%

141.1

2.9%

2.6

8

세르비아

82.2

2.9%

106.0

2.2%

1.3

9

러시아

41.3

1.5%

104.4

2.2%

2.5

10

스페인

59.9

2.1%

83.6

1.7%

1.4

11

브라질

39.9

1.4%

80.3

1.7%

2.0

12

호주

47.0

1.7%

80.1

1.7%

1.7

13

에콰도르

46.0

1.6%

79.6

1.7%

1.7

14

미국

45.9

1.6%

77.1

1.6%

1.7

15

캐나다

37.2

1.3%

70.9

1.5%

1.9

16

보츠와나

26.8

1.0%

53.7

1.1%

2.0

17

필리핀

27.0

1.0%

49.0

1.0%

1.8

18

사우디아라비아

27.7

1.0%

44.8

0.9%

1.6

19

에르매니아

25.4

0.9%

37.3

0.8%

1.5

20

라오스

18.2

0.7%

33.9

0.7%

1.6

기타

93.7

3.3%

138.5

2.9%

1.5

합계

2811.5

100.0%

4820.5

100.0%

1.7

[자료: 화경산업연구원(华经)]



중국 구리 스크랩(HS CODE 74040000) 수출입 동향


 광석 정광 외에도 중국은 매년 대량의 구리 스크랩을 수입하지만, 수출은 하지 않는다. 2024년 기준, 미국·일본·말레이시아 등 국가에서 225만 톤의 구리 스크랩을 수

입해 다양한 분야에 사용됐다. 


<중국 구리 스크랩 수입량, 금액 및 단가 차트(2024년)>

(단위: 만 톤, 억 위안)

순위

(금액 기준)

국가

수량

(만 톤)

수량 점유율

 금액

(억 위안)

금액 점유율

단가

( 위안/)

1

미국

43.9

19.5%

256.8

20.2%

5.9

2

일본

27.2

12.1%

157.4

12.4%

5.8

3

말레이시아

19.2

8.6%

108.4

8.5%

5. 6

4

태국

17.2

7.7%

99.9

7.9%

5.8

5

영국

9.6

4.3%

55.7

4.4%

5.8

6

러시아

8.5

3.8%

51.9

4.1%

6.1

7

한국

9.3

4.2%

50.7

4.0%

5.4

8

스페인

7.0

3.1%

37.0

2.9%

5.3

9

멕시코

5.3

2.4%

29.2

2.3%

5.5

10

캐나다

4.7

2.1%

27.5

2.2%

5.9

11

이탈리아

5.2

2.3%

26.2

2.1%

5.0

12

독일

5.0

2.2%

26.0

2.1%

5.2

13

호주

4.3

1.9%

25.1

2.0%

5.9

14

아랍에미리트 

4.4

2.0%

25.0

2.0%

5.7

15

사우디아라비아

4.2

1.9%

24.4

1.9%

5.8

16

네덜란드

4.3

1.9%

21.0

1.7%

4.9

17

필리핀

3.5

1.6%

19.4

1.5%

5.6

18

콜롬비아

2.1

0.9%

12.2

1.0%

5.8

19

칠레

2.1

0.9%

11.9

0.9%

5.7

20

프랑스

2.2

1.0%

11.5

0.9%

5.2

기타

28.9

12.8%

150.7

11.9%

5.2

합계

224.8

100.0%

1269.2

100.0%

5.7

[자료: 화경산업연구원(华经)]

  


중 양국 구리 수출 전망 

 

(중국 수출 전망) 중국은 세계 최대 구리 정제국으로 저렴한 생산 비용과 첨단 제련 기술을 바탕으로 고품질 구리 제품 수출 경쟁력을 확보할  있다현재로서 수출이 많지는 않지만 과잉 생산  수출 현상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신흥 시장을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탄소 중립 목표로 중국의 제련 시설 개편이 진행 중인데, 이에 따른 생산 비용 상승이 수출 가격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국 수출 전망) 미국이 구리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아 한국의 고품질 구리 제품(동박, 전선)은 가격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반도체·전기차 부품 수출 확대와 연계된 구리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중국이 구리 수입을 확대할 경우, 한국의 정제 구리 및 소재(구리 포일) 수출 기회 증가 가능성이 있다. 단, 중국의 자체 생산 확대(저비용 정제 시설) 및 동남아시아 경쟁국(태국, 베트남)의 부상으로 시장 점유율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구리 산업 밸류체인 


구리 산업 밸류체인은 업스트림인 원료 채굴 선별, 미드스트림의 제련 및 정련, 다운스트림의 최종 제품 제조 및 유통으로 구분된다. 원료 채굴 및 선별 단계는 구리 광석의 선광, 파쇄, 부유, 선별 등 처리를 거쳐 최종적으로 비교적 높은 순도를 함유한 구리 정광을 얻는 과정을 말한다. 제련 및 정련 단계는 정련, 전해, 융용 및 정제 등 과정을 거쳐 구리 정광의 불순물을 한층 더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가공 단계에서 구리를 압연 압출해 동관, 동봉, 동박, 스크랩 등으로 가공하고, 최종 제품은 전력망, 건축업, 전기차, 의료기기 등 분야에 사용한다.


<중국 구리 산업 밸류체인>


 

[자료:첸짠산업연구원(前瞻)]

 


경쟁동향

<중국 구리 시장 기업 현황>

산업 프로세스

회사명

설립 연도

소재지

구리 사업 비중(%

사업 개황

 영업이익

(억 위안)

구리 제품 생산량

(만 톤)

채굴 선광

MMG LTD

五矿资源

1988

7 29

홍콩

76.0

아연구리황금은과 납 광산 등의 탐사  채굴 선광

313.0

구리 정광 20.4

채굴 선광+제련

Yunnan Copper   

云南铜业

1998

5 15

윈난성

(云南)

77.2

구리의 탐사채굴제련  추출

1469.9

음극동 138.0

Western Mining

西部矿业

2000

12 28

칭하이성

(青海)

66.6

기본 비철금속흑금속의 채광 제련 등자사 605만 톤의 구리 자원을 보유

427.5

구리 정광 13.1

전기 구리 18.3

 

Zhongjin Gold

中金黄金

2000

6 23

베이징

48.8

비철금속의 지질 탐사채굴제련 등

612.7

구리 정광 8.0

전기 구리 41.1

 

CDNM

中国大冶有色

1989

7 28

후베이성

(湖北)

86.1

구리 광산 채굴제련 추출 등

447.9

구리 정광 0.6

음극동 31.3

유산동 0.3

 

Zijin Mining

紫金矿业

2000

9 6

푸젠성

(福建)

29.0

기본 비철금속 광물자원  재생에너지 광물자원 탐사  채굴제련 

2934.0

구리 정광 13.5

 

CMOC

洛阳钼业

1999

1222

허난성

(河南)

19.9

몰리브덴텅스텐 및 금 등 희소 비철금속의 채굴제련심가공 등

1862.7

구리 정광 8.5

전기 구리 4.8

음극동 5.5

 

 

채굴 선광+

제련+가공

Jiangxi Copper

江西铜业

1979

6 26

쨩시성

(江西)

77.6

중국 최대 구리 생산업체, 100% 소유권을 가진 다섯 개구리 광을 확보구리의 채굴부터 정제까지 통합 사업 운영

5218.9

구리 정광 1638

음극동 289.8

 

가공

HAILIANG

海亮股份

2001

10 29

저장성

(浙江)

64.3

동파이프동봉동알루미늄복합도체 및 기타 제품 가공,전 세계적으로 21개 생산기지를 보유

757.5

동파이프 195.6

동봉 356.2

동알루미늄복합도체 59.8

[자료: 첸짠산업연구원, KOTRA 하얼빈 무역관 자체 정리]



중국 구리산업 발전 추진 관련 정책

 

발표 배경


(신재생에너지 및 녹색 경제 전환) 중국은 2030년 탄소 피크 달성 및 2060년 탄소 중립 목표를 추진하고 있다. 태양광·풍력 발전, 전기차(EV),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등에 필수적인 구리 수요가 증가했다. 구리는 친환경 인프라의 핵심 소재로, 공급망 안정화를 통해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려는 전략적 목표로 반영되고 있다.


(첨단 제조업 경쟁력 강화) 반도체, 5G, AI 등 고부가가치 산업에 필요한 구리 소재의 품질 및 생산 효율성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고순도 구리, 초전도체 소재 등 관련 기술이 글로벌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 


(전략적 구리 자원 비축) 경제 성장 및 산업 수요에 대응해 전기차 보급률을 2030년까지 40%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태양광·풍력 설비 확충으로 2030년까지 연간 구리 수요가 1800만 톤을 초과할 것으로 보인다. 재생 에너지 1GW당 약 5000톤의 구리가 필요하고 인프라 구축에 막대한 구리 소비가 예상된다.

 

정책 주요 내용 

<중국 구리 산업의 고품질 발전 시행 방안(2025~2027년)>

중점 업무

주요 내용

국내 원료

안보 기반 강화

국내 자원 매장량 생산 증대

ㅇ자원 탐사 강화(중점 지역 구리 광석 자원 기지 구축)

ㅇ중·대형 구리광산 건설

재자원화 촉진

ㅇ구리 스크랩 가공 유통 능력 강화

ㅇ대규모 구리 스크랩 재활용기지 산업 클러스터 설립 지원, 구리 스크랩 가공 및 활용 기업

구리 재생자원을 사용하는 제련기업 다수 육성

산업 구조조정

구리 제련 산업

발전 촉진

구리 제련 프로젝트 확장 장려

산업 구조 최적화

노후설비 생산능력 축소

구리 제련·화학 산업·건축 자재 기타 산업 연계 개발 장려

구리 심층가공 산업 관련 첨단제조 클러스터 육성지원

우량기업 육성

글로벌 선도 대규모 구리 기업 육성(구리 채굴 및 제련)

산업 혁신 역량 강화

혁신 시스템 개선

기업 기술센터 주요 연구소 개발 지원

구리 기반 신소재·신공정의 R&D 성과에 대한 산업화 촉진

핵심기술 개발

고순도 무산소 구리, 고급 압연 동박 등 고성능 구리 합금 재료의 R&D 및 응용

차세대 연속주조 압연 정밀 구리 튜브 생산라인 주요 장비 개발 가속화

산업의 녹색발전

스마트화 발전 촉

친환경 전환

구리 제련 관련 산업용 용광로를 전기 에너지 천연가스 전환

2025 연말까지 대기오염 방지 통제 핵심 지역* 구리 제련 환경기준 확립

*각 지역별 구리 광산을 보유하고 있는 산업단지

디지털 전환

ㅇ구리 광산기업 경우 디지털 자원 관리 시스템, 생산 관리·제어 플랫폼 구축

ㅇ구리 제련소 가공 공장 경우, 주요 프로세스의 자동화 변환, 실시간 데이터 모니터링 관리 실현

대외 개방  

협력 수준 제고

투자 협력 강화

ㅇ해외 고급 가공기업이 중국에 투자 공장 건설 장려

ㅇ자국 기업이 투자국에서의 공공복지, 우호적 관계 형성

대외무역 협력 

수준 제고

고급 구리 기반 신소재 제품 기타 심층 가공  수출 장려

ㅇ구리 제련기업이 외국 광산기업과 장기 조달 계약 체결 장려

ㅇ블리스터 구리, 양극 구리  주요 제품 수입 확대

ㅇ재활용 구리 원료 수입 정책 시행, 국가 정책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고품질 재활용 구리 수입 장려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


중국 구리 수입 관세  인증

구리(HS CODE 260300) 관세 비교


최혜국 세율(MFN)

보통 세율

한중 FTA 세율

증치세

0

50%

0

13%

[자료: 중국 세관총서]


중국 제품 수입 관련 법규에 의하면, 해외로부터 수입한 구리는 유해물질 제한 지침 적용 범위 제도 인증(RoHS 인증)을 받아야 하며, 원산지 증명도 필요하다.



전망 시사점


2025년 중국 정부는 경제 성장률 목표를 5%로 설정하고 재정 적자율 목표를 GDP 대비 4%로 설정했다. 인프라 투자와 산업 발전을 통해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중국은 현재 기술 혁신과 첨단산업 발전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 인공지능, 신에너지 분야에 대한 투자를 대대적으로 확대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한다. 이에 한국 기업은 반도체·배터리 분야의 기술 우위를 활용해 초고순도 구리·동박 시장을 모니터링하면서 현지화 전략과 중국의 정책 리스크 관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구리 산업 육성 정책에 따라 우리 기업도 중국 주요 구리 채굴 정제 기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올해 들어서 중국 정부는 구리를 전략적 자원으로 지정하고 해외 광산 확보 국내 비축을 강화하고 있다. 비축은 주로 공급 부족 시 수요를 보충할 수 있는 능력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중국의 비축 확대는 글로벌 구리 가격 상승 압력으로 이어질 있으나, 과도한 가격 변동성은 방출을 통해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감안해 해외 관련 업체들은 중국 구리 관련 정책, 공급망, 가격 등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특히 EV 배터리 동박과 구리 제련 또는 재활용 과정에서 친환경적 선제적 투자를 확대한다면, 중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한국물가협회, 첸짠산업연구원(前瞻, 중국 매스컴 연구원, 한국광물자원공사, 화경산업연구원(华经), 한국무역협회, 중국비철금속통계, wind, USGS, 중국 공업정보화부, KOTRA 하얼빈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구리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