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러시아 전자담배 시장동향
  • 상품DB
  • 러시아연방
  • 블라디보스톡무역관
  • 2025-04-14
  • 출처 : KOTRA

전자담배 시장 동향 및 정부 규제

제품명 및 HS코드


HS Code

제품명(전자담배)

854340

전자담배와 이와 유사한 개인용 전기 기화장치


러시아 담배 시장 동향


(1) 전통담배 흡연자 감소


러시아 통계청(Rosstat)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15세 이상 러시아 인구 중 총 흡연자는 약 2260만 명(약 18.7%)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 기준 흡연율( 24.2%) 대비 5.5%p 감소한 수치이며, 주요 감소 요인은 △금연법 개정(공공장소 흡연 금지), △담배세 인상(평균 20% 상승) 등으로 지목된다.


<최근 5년간 러시아 흡연자 비중  변화>

[자료: Rosstat]

(2) 전자담배 흡연자 증가


전반적인 흡연율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자담배 흡연자 수는 증가하는 추세다. FinExpertiza의 분석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 15세 이상 인구의 니코틴 제품(일반 담배, 전자담배, 무연 담배 포함) 흡연율은 2019년 24.2%에서 2022년 21.5%, 2023년 21.1%로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전자담배 사용자 수는 2022년 430만 명(전체 인구의 3.6%, 전체 흡연자의 16.7%)에서 2023년 450만 명(전체 인구의 3.7%, 전체 흡연자의 17.5%)으로 증가했다. 이는 일반 담배 흡연자 약 6명 중 1명 꼴로 전자담배를 병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특히 2018년 전자담배 사용자 수가 9만 8000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2023년에는 약 45배나 급증한 수치다. 이러한 통계는 전통적인 담배 소비가 감소하는 동시에 전자담배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양상을 뚜렷이 보여주고 있다.


<흡연자 및 전자담배 사용자 추이>

 

[자료: FinExpertiza]


그러나 2022년 12월 15일부터 러시아에서 전자담배에 대한 '체스니 즈낙(Chestniy ZNAK)' 라벨링 표시가 의무화됐으며 이후 2023년 12월 1일부터는 ‘체스니 즈낙’ 라벨링이 부착되지 않은 모든 전자담배의 유통이 금지되면서 전자담배 유통 기업들에게 위협 요인이 발생하게 됐다.


전자담배 수입 동향


2023년 러시아의 최대 전자담배 수입국은 말레이시아로, 총 9780만 달러 상당의 제품이 수입됐다.  2024년에는 중국이 약 9776만 달러의 수입액으로 1위 자리를 차지했다.  2023년 기준 러시아의 전자담배 총 수입액은 약 2.4억 달러였으나, 2024년 약 1.7억 달러로 전년 대비 약 30% 감소했다. 이 같은 수입 감소는 러시아 정부의 전자담배 규제 강화 조치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2023~2024년 러시아 전자담배 수입 동향>

순위

국가명

2023년(USD)

국가명

2024년(USD)

1

말레이시아

97,805,739

중국

97,760,150

2

중국

47,907,734

베트남

38,191,706

3

네덜란드

46,884,550

말레이시아

21,689,632

4

베트남

38,599,855

네덜란드

12,443,099

5

리투아니아

10,732,127

홍콩

1,059,810

6

홍콩

983,785

벨라루스

115,904

 [자료: Globus Ved]


경쟁 동향


러시아 시장 내 전자담배 제품은 주로 중국, 말레이시아에 수입되며, 일부 제품은 러시아 현지에서도 생산돼 유통되고 있다.

제품명

평균 가격

제조사

원산지

구분


Picture background

Vaporesso XROS 3

2200-2700 RUB 

Vaporesso under Smoore Co. Ltd

중국

POD 시스템  


 

IQOS Iluma 

7000 RUB

Philip Morris International (PMI)

말레이시아

궐련형 담배 

Brusko minican 3

1390 RUB

Brusko

러시아

POD 시스템

Одноразовый Duft 7000 %DUFT

550-1750 RUB

DUFT

러시아

일회용 

전자담배

SOAK

SOAK

700-1450 RUB

SOAK

러시아

 

일회용 

전자담배

Одноразовый Lost Mary MO 10000 %Lost Mary 

1100-1820 RUB 

Lost Mary

중국

일회용 

전자담배


 

유통 구조


러시아에서는 전문 베이핑 샵, 온라인 스토어, 쇼핑몰 내 소형 매장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전자담배를 구매할 수 있으며, 특히 'King Tobacco', 'Bazooka Store', 'PiterSmoke', 'S2b', 'Vardex' 등이 대형 유통 체인으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관세 및 인증

 

<러시아 Hs Code 854340000 수입 세율>

수입 관세

기본 관세율: 0%

부가가치세

20%

개별 소비세

 

액상형 전자담배 용액: 리터당 44,000루블

니코틴 원료: 그램당 2,200루블

 [출처: alta.ru]

 

<러시아 Hs Code 854340000 기술 규정>

기술규정

제품

TR CU 020/2011

다회용 전자담배

TR CU 020/2011

TR CU 004/2011

EAEU TR 037/2016


충전기가 포함된 다회용 전자담배

 

러시아 정부 법령 제2425호에 따라 2023년 9월 이후부터 니코틴 액상이 포함된 일회용 전자담배 제품 시장 출시 시 의무적 신고와 제품에 СТR(러시아 국내 기술 규정) 마크가 부착돼야 한다.



2022년 12월 15일부터는 모든 생산업체 및 수입업체가 ‘체스니 즈낙’ 시스템에 등록해 전자 서명을 발급받고 전자문서관리시스템에(EDO)에 연동해야 한다. 이후 시스템에서 Data Matrix 식별코드를 생성해 각 제품에 부착하고, 유통 과정에서 전자 운송장을 발행해 거래 내역을 기록해야 한다.


Основные правила работы в системе «Честный знак»

 

정부 규제


최근 러시아에는 전자담배가 일반 담배보다 건강에 더 해로울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정부는 강력한 규제를 시행 중이다. 2022년 12월 25일부터 니코틴 액상 및 전자담배 장치에 ‘체스니 즈낙’ 라벨링 이후 Data Matrix코드 등록이 의무화됐으며, 2023년 12월 1일부터 라벨링 미등록 제품 유통이 전면 금지됐다. 또한 니코틴 액체에는 소비세가 부과되는데, 2024년에는 1ml 당 20루블에서 42루블로 두 배 증가했고, 2025년에는 44루블, 2026년에는 46루블로 EAEU 국가 중 최고 수준이다. 이러한 강력한 규제로 인해 전자담배 합법 시장은 크게 위축됐고, 합법 제품은 가격 경쟁력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다.

  

전망 및 시사점


러시아 전자담배 시장은 2022년 '체스니 즈낙' 라벨링 도입 이후에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다양한 맛 선택지와 저렴한 가격, 편리한 구매 접근성으로 20~30대 젊은 층 사이에서 일회용 전자담배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하지만 라벨링 도입 이후 시장 환경은 크게 변화했다. 규정을 준수하지 못한 중소업체들이 카자흐스탄이나 벨라루스 등 인접국을 통한 불법 유통 채널로 전환했고 암시장이 활성화됐다. 이러한 불법 유통 제품들은 안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소비자 건강에 위협을 줬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젊은 층의 건강 의식이 높아지면서 소비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다. 전자담배는 전통 담배 대체 수단으로서의 인기는 유지되지만, 장기적 건강 영향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기 시작되면서 일부 소비자들이 전자담배를 점차 줄이거나 안전한 대체 제품을 찾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아울러 ‘체스니 즈낙’ 라벨링 전면 도입 시행으로 인해 합법 생산업체들의 생산 비용이 상승했다. 이에 따라 제품 가격이 인상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졌다. 단기적으로 암시장이 상당 부분 수요를 흡수할 가능성이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정부 규제 강화와 소비자 인식 변화로 합법 시장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안전성과 품질을 중시하는 소비층의 요구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전자담배 수출을 고려하는 기업들은 현지 규정과 법규를 철저히 준수하고 차별화된 제품(저니코틴 제품 등) 전략을 수립해야 하며, 러시아 현지 파트너(대형 유통업체)와의 협력 등 다양한 유통망 구축 전략을 세워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료: 러시아 통계청(Rosstat), FinExpertiza, Globus Ved, Alta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전자담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