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중국 동북 국제 치과 기자재 전시회 참관기
- 현장·인터뷰
- 중국
- 선양무역관
- 2025-04-09
- 출처 : KOTRA
-
중국 동북지역 최고ᆞ최대 규모의 치과 분야 전문 전시회
초청 특강ᆞ세미나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함께 마련
행사 개요
<행사 개요>
행사명
2025 중국 동북 국제 치과 기자재 전시회
2025 China Northeast International Dental Equipment Exhibition
개최 기간
2025.03.22.~25.
장소
선양 국제전시센터(沈阳国际展览中心)
규모
30,000㎡, 600여 개 기업
방문자 수
약 4만4000명
주요 전시 품목
치과용 진단 장비, 치과용 치료 장비, 치과용 디지털 장비, 치과용 자재, 구강용품 등
홈페이지
http://kq.bfexpo.com.cn/
[자료: 중국 동북 국제 치과 기자재 전시회 홈페이지]
2025 중국 동북 국제 치과 기자재 전시회(CNDE: China Northeast International Dental Equipment Exhibition)가 지난 3월 22일부터 25일까지 선양국제전시센터(沈阳国际展览中心)에서 개최됐다.
1999년에 시작해 올해 26회째를 맞이한 중국 동북 국제 치과 기자재 전시회는 중국 최고의 치과의료 전문 전시회 중 하나로 꼽힌다. 올해 전시회는 치과 분야 기업 및 단체 600여 개사가 참가했으며 치과의사, 치과기공사, 딜러 등을 포함한 약 4만4000여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둘러봤다.
<전시장 구역도>
[자료: 중국 동북 국제 치과 기자재 전시회 홈페이지]
전시회 이모저모
주요 참가업체로는 글로벌 덴탈 기업 이보클라(Ivoclar), 프랑스 기업 셉토돈트(Septodont), 중국의 대표적인 치과 의료기기 선두기업 시놀(SINOL, 西诺), 중국 디지털 X-ray 대표기업 마이어(MEYER, 美亚光电) 등이 있다. 이 업체들은 진단 장비, 치료 장비, 기구, 자재 등 치과 의료 전 분야를 망라한 치과 산업의 최첨단 기술과 제품을 내놓으며 치의학의 현주소와 미래를 보여줬다.
<중국 동북 국제 치과 기자재 전시회 현장>
[자료: KOTRA 선양무역관 자체 촬영]
중국 기업 아이디트(Aidite, 爱迪特)는 이번 행사에 다양한 솔루션을 선보여 많은 관심을 끌었다. 급속 소결이 가능한 AiZir Flash 지르코니아 블록과 차세대 신터링 퍼니스 CSF-400을 활용한 의치 제작 방안은 의치의 높은 심미성과 강도를 유지하면서 제작시간을 30분 이내로 간소화한다. 구강 스캐너, 클라우드 플랫폼, 3D 프린터 등 제품을 바탕으로 한 치과 진료 솔루션은 스캔부터 디자인, 출력까지 이어지는 워크플로우 전 과정을 디지털화하여 구강진료의 최신 발전 동향을 제시했다.
<아이디트(Aidite, 爱迪特)사의 전시품>
[자료: KOTRA 선양무역관 자체 촬영]
디지털 치과 솔루션 전문기업 퓌센(FUSSEN, 菲森)은 이번 전시회에서 AI 기술 기반 CBCT, 구강 현미경, 치과용 전자 프로브, 3D 프린터 등 치과 의료기기와 함께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치과 솔루션을 선보여 많은 관심을 끌었다. 데이터 수집부터 진단, 치료 계획 수립, 제조 과정을 하나의 작업 절차로 묶어 치과 진료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퓌센(FUSSEN, 菲森) 사의 전시품>
[자료: KOTRA 선양무역관 자체 촬영]
덴티움, 오스템 임플란트, 네오바이오텍, 듀플로 등 한국 기업들도 이번 전시회에 참가했다. 임플란트, 영상 장비 등 다양한 제품을 내놓으며 중국 시장 진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전시회에 참가한 한국 기업>
[자료: KOTRA 선양무역관 직접 촬영]
올해 전시회에서는 치의학 분야 최신 트렌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업계 전문가들의 초청 특강과 학술세미나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마련됐다. 랴오닝성 치과의학회(辽宁省口腔医学会)가 주최하는 ‘동북3성 치아교정 우수사례 발표대회(东北三省口腔正畸优秀病例点评活动)’, ‘2025 중국 치과진료 달인쇼(2025中国口腔修复达人秀)’, 중국의과대학 치과병원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중국·동북 치의학 학술세미나(中国ᆞ东北口腔医学学术会议) 등이 대표적이다.
<부대행사 현장 모습>
[자료: KOTRA 선양무역관 자체 촬영]
치과 진단용 영상 장비 제조업체 K사 인터뷰
Q1) 이번 박람회 참가 계기는?
A1) 치과 진료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중국 동북지역에서 본격적인 매출 확대를 위해 전시회 참가를 결정하게 됐다. 이번 전시회 참가를 통해 병원 구매팀, 유통사, 바이어 등 다양한 관계자를 만나 새로운 판매 루트를 발굴할 계획이다.
Q2) 이번 박람회를 통해 느꼈던 점이 있다면?
A2) 치과는 새로운 기술과 치료법이 끊임없이 개발되면서 진화하고 있다. 특히 AI, 빅데이터, 클라우딩, 3D 프린팅 등 참신한 기술이 접목되면서 치과 의료 기술의 디지털화가 가속되며, 치과 진료의 효율성과 정확성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추세다.
Q3) 중국 치과의료 시장의 전망은?
A3) 중국 소비자들의 치아 건강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높아지면서 치아 치료에 대한 지출도 증가하고 있다. 과거 질병 치료 중심이었던 의료서비스 수요가 미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임플란트, 교정, 치아 미용 등으로 심화되고 있다. 이에 힘입어 치과의료 시장도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중국의 인구 규모, 빠른 고령화 추세 등을 감안할 때 향후 치과 의료서비스 발전 여지가 아주 크다고 본다.
시사점
소득 증가에 따라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치아 건강관리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으며, 중국 치과 의료 시장 역시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Leadleo(头豹研究院)에 따르면, 중국의 치과 의료 서비스 시장은 2018년 1231억2100만 위안(약 24조9148억 원)에서 2024년 2345억1900만 위안(약 47조4573억 원)까지 확대됐으며, 6년간 연평균 11.3%씩 성장했다. 오는 2026년 시장 규모는 3836억9400만 위안(약 77조6443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중국 현지 치과 의료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진국 대비 기술력이 부족한 점 때문에 주요 의료기기 제품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태다.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에 따르면, 중국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에서 로컬 제품의 점유율은 30%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중국 치과 의료 시장을 주목하고 진출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 중국 시장의 트렌드 변화와 정부 정책 동향을 지속적으로 분석하는 동시에 적절한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광범위한 유통망을 갖춘 우수한 대리상과의 협력을 통한 진출 가능성을 검토해야 한다.
자료: Leadleo(头豹研究院),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KOTRA 선양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5 중국 동북 국제 치과 기자재 전시회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러시아 정부의 '체스늬 즈낙' 정책 변화
러시아연방 2025-04-09
-
2
스타트업 육성 계획 반환점 지난 일본, 정책 지원의 폭을 넓히다
일본 2025-04-08
-
3
칠레 공공조달법 개정, 한국 기업에 절호의 기회
칠레 2025-04-08
-
4
이탈리아 원전 재개 정책, 현지 기업이 말하는 한국과의 협력 기회
이탈리아 2025-04-08
-
5
변화하는 일본 스타트업 시장, 딥테크와 SaaS가 주도하다
일본 2025-04-08
-
6
멕시코 바하 칼리포르니아, 세금 인센티브와 지리적 이점 갖춘 투자 지역
멕시코 2025-04-08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