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음료수 용기, 이젠 재활용 플라스틱이 대세
- 경제·무역
- 미국
- 시카고무역관 이영주
- 2025-03-28
- 출처 : KOTRA
-
주별 친환경 규제로 PCR 의무사용 비율 강화 추세 확대
미국 내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와 환경 오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음료 용기에 재생 플라스틱 사용을 의무화하는 규제가 확대되고 있다. 2022년 캘리포니아주에서 처음 시행된 이후 5개 주(캘리포니아, 워싱턴, 뉴저지, 메인, 코네티컷)에서 관련 법이 시행 중이며, 향후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 비율을 더욱 높이는 방향으로 규제가 강화될 전망이다.
PCR이란 무엇인가?
PCR(Post-Consumer Recycled)이란 소비자가 사용한 후 버려진 플라스틱을 수거해 재활용한 소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재활용 플라스틱은 신규 플라스틱 생산에 비해 에너지 소비를 약 79%, 탄소 배출을 약 67% 줄일 수 있어 친환경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주정부는 플라스틱 제품의 재활용 비율을 높이고, 음료 제조업체에 PCR 사용을 의무화하는 정책을 내놓고 있다.
<주 별 PCR 규제 동향>
연번
주
주요 규제 내용
관련 법안
1
캘리포니아
O 2022년부터 플라스틱 음료 용기에 최소 15% PCR 함량 의무화
O 2025년부터 플라스틱 음료 용기에 최소 25%의 PCR 사용 의무화
O 2030년에는 50%로 상향 예정
O Plastic Minimum Content Standards (AB 793)
O SB 54: Plastic Pollution Prevention and Packaging Producer Responsibility Act
O SB 1013 Beverage Container Recycling
O SB 343: Accurate Labeling Recycling
2
뉴저지
O 2024년부터 플라스틱 음료 용기에 최소 15% PCR 함량 의무화
O 2036년에는 50%로 상향 예정
O Recycled Content Law (P.L. 2021, c. 391)
3
워싱턴
O 2023년부터 플라스틱 음료 용기에 최소 15% PCR 함량 의무화
O 이후 3년마다 +5%, 2045년에는 50% PCR 함량 의무화 예정
O 2021 Plastics Law
4
메인
O 2026년에는 플라스틱 음료 용기에 최소 25% PCR 함량 의무화 예정
O 2031년에는 30%로 상향 예정
O Stewardship Program for Packaging
O Act To Promote a Circular Economy through Increased Post-consumer Recycled Plastic Content in Plastic Beverage Containers
5
코네티컷
O 2027년부터 플라스틱 음료 용기에 최소 25% PCR 함량 의무화 예정
O 2032년에는 30%로 상향 예정
O The Connecticut Bottle Bill
O Public Act No. 23-170
[ 자료: Association of Plastic Recyclers (‘25.02) ]
캘리포니아 소재 기업의 규제 준수율 10% 미만
현실과 괴리가 큰 PCR, 기업들은 목표 재조정
PCR(재활용 플라스틱) 규제로 인해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은 음료 제조업체들이다. 2025년 2월 기준, 캘리포니아에 소재한 음료 제조기업들의 규제 준수율은 단 9.6%에 불과하다. 그 주된 원인으로 PCR 소재의 낮은 품질과 시장 공급 부족, 그리고 실제적인 인프라 확충 속도가 규제 법안의 타임라인을 미처 따라가지 못하는 점 등이 꼽힌다.
결국 일부 기업들은 PCR 사용목표 달성 시점을 연기하고 있다. 대형 음료 회사인 PepsiCo는 본래 2025년까지 포장재의 25%를 PCR로 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가, 최근 2030년까지 PCR 사용 목표를 50%로 재조정한 상태이다. 마찬가지로 Unilever는 2025년까지 신규 플라스틱(Virgin Plastic*) 사용량을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수정하고 2026년까지 30%, 2028년까지 40%로 단계적 감축 목표를 새로 설정했다.
*버진 플라스틱(Virgin Plastic): 재활용된 물질 없이, 원유나 천연가스를 사용해 처음 만들어진 신규 플라스틱<브랜드 별 친환경 플라스틱 함유량 목표 달성 현황>
[자료: BloombergNEF]
PCR 규제 미준수 벌금 속출... 대형 유통업체도 포함
주별 규제가 강화되면서 PCR(재활용 플라스틱)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에서는 공급 부족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더불어, 규제를 준수하지 못한 기업에 대한 벌금 부과 규모 또한 크다. 2023년 워싱턴주는 플라스틱 규제를 준수하지 못한 35개 기업에 총 41만 6,554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다. 미국 대표 소비재기업인 The Clorox Company와($67,196), 크랜베리 농업 협동조합 Ocean Spray Cranberries($53,568)와 같은 대기업뿐 아니라, 대표 유통업체인 Albertsons Companies($41,954), Trader Joe’s($2,381), Walgreens($1,206) 등도 제재를 피하지 못했다.
기업들은 PCR 조달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장기 계약 체결에 나서고 있지만, 재활용 소재의 품질 문제가 여전히 걸림돌로 남아있다. 음료 포장재에는 주로 재생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폴리프로필렌(PP)가 사용된다. PET는 투명도와 강도가 뛰어나 생수병과 탄산음료병에 널리 쓰이지만, 고온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반면, PP는 내열성이 높아 뜨거운 음료의 용기 소재로 많이 활용된다.
그러나 재활용된 플라스틱인 PCR PP는 신규 플라스틱 PP에 비해 품질의 편차가 크므로 포장재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내열성과 강도 유지가 어렵고, 불순물 혼입으로 인해 가공성이 떨어지는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기 때문이다.
시사점
미국에 진출한 국내 식품 포장용기 전문기업 D사에 따르면, 한국에서는 PCR 소재를 처리하는 업체가 많지 않아 주로 산업 공정에서 재활용된 PIR(Post-Industrial Recycled)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현재 미국 PCR 규제는 음료 포장재에 한정되어 있지만, 향후 모든 플라스틱 제품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고 이렇게 되면 국내 업체들은 PIR 대신 PCR 소재를 사용해야 하므로 원가 상승으로 인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또한, 해당 음료 제품을 판매하는 대형 유통업체들까지 PCR 규제로 인한 벌금을 부과 받게 되면서 향후 음료 제조기업들의 PCR 규제 준수가 납품 필수 요건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대비해 국내 음료 제조기업들은 안정적인 PCR 조달과 품질 확보를 위한 공급망 다각화가 필수적이며, 미국 시장 진출 시 주별로 상이한 규제 사항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자료: Association of Plastic Recyclers, BloombergNEF, Berlin Packaging, 그 외 KOTRA 시카고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음료수 용기, 이젠 재활용 플라스틱이 대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LNG 패권 강화에 박차를 가하는 미국... 우리 기업의 기회는?
미국 2025-03-28
-
2
말레이시아 스마트시티 추진 동향과 우리기업의 진출 기회 요인
말레이시아 2025-03-28
-
3
지속가능 건축의 기준을 새로 쓰다: 덴마크의 저탄소 건축 전략
덴마크 2025-03-28
-
4
미국, 뒷자석 안전벨트 경고 시스템, 2027년부터 의무화
미국 2025-03-28
-
5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른 일본 자동차 업계의 동향
일본 2025-03-25
-
6
'공업의 조미료' 안티모니, 수출규제로 살펴본 중국 공급망 동향
중국 2025-03-28
-
1
2024년 미국 반도체 제조 산업 정보
미국 2024-12-18
-
2
2024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4-11-08
-
3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4
2024년 미국 리튬 배터리 산업 정보
미국 2024-09-04
-
5
2021년 미국 사이버 보안 산업
미국 2022-01-04
-
6
2021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2-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