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슬로바키아 자동차 산업 투자 환경
- 투자진출
- 슬로바키아
- 브라티슬라바무역관 이재승
- 2025-03-20
- 출처 : KOTRA
-
슬로바키아 산업의 중추인 자동차 산업...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 위주로 전환 중
세금 감면, 투자현금지원, 고용 보조, 지방정부·중앙정부로부터의 부동산 저가 매입 등 투자 인센티브 제공
슬로바키아 산업의 중추, 자동차 산업
슬로바키아 내 자동차 산업은 총 GDP의 13% 이상, 산업 생산의 54% 이상을 차지할 만큼 규모가 큰, 국가 핵심 산업이라고 볼 수 있다. 슬로바키아는 전 세계에서 1인당 자동차 생산 수가 가장 많은 국가이며(인구 1000명당 184대 생산), 4대 자동차 OEM(폭스바겐, 기아, 스텔란티스, 재규어·랜드로버)이 연간 약 1백만 대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약 27만5천 명 이상의 슬로바키아 노동자가 완성차 OEM을 비롯한 부품 공급업체와 관련 서비스업체에 종사하고 있다.
<슬로바키아 자동차 생산량 추이>
(단위: 대)
[자료: 슬로바키아 통계청]
<슬로바키아 총수출 대비 자동차 수출 비중>
(단위: %)
[자료: 슬로바키아 통계청]
슬로바키아 자동차산업의 구조적 변화: 전기차 위주로 전환
2035년부터 EU 내에서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가 중단될 예정인 바, 현재 내연기관차 중심의 슬로바키아 자동차산업은 전기차 위주로 구조적인 변화를 진행하고 있다. 2025년 전체 자동차 생산 중 전기차(EV)가 차지하는 비중은 4.3%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슬로바키아 정부 차원에서 디지털·녹색 전환 노력을 기울이면서 전기차 생산으로의 전환이 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슬로바키아 정부는 4600만 유로를 투자해 ‘e-모빌리티 발전행동계획’을 실행했으며, 이를 통해 EV 생산 전환을 위한 투자 및 R&D에 대한 제도적 개선, 그리고 숙련 노동자 양성을 위한 교육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슬로바키아 정부는 ‘국가 개혁 프로그램 2024’, ‘정부 프로그램 2023~2027’ 등, 차세대 자동차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적극적인 FDI 유치 정책을 펼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충전소 확충을 위해 충전소 설치 비용의 최대 50%를 정부 보조금으로 지원해 충전소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EV 차량 등록세 혜택, **보유세 혜택 등을 정부 차원에서 지원하고 있다.
* 주: 순수 전기차(BEV)는 가솔린 차량에 비해 등록세가 낮으며, 구체적인 세율은 차량의 CO2 배출량에 따라 달라짐. 일반적으로 순수 전기차의 경우, 등록세가 2~5%지만 가솔린 차량은 8%임.
** 주: 순수 전기차(BEV)의 연간 보유세는 0%이며,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차(EV)는 최대 50%의 감면 세율을 적용받음
주요 자동차기업의 슬로바키아 투자 사례
볼보 슬로벤스코(Volvo Slovensko)사는 2024년에 EU 집행위원회로부터 약 2억6700만 유로 규모의 보조금 지급 계획을 승인받아, 슬로바키아 코시체주에 약 12억 유로를 투자해 신규 전기차 공장을 설립하는 중이다. 이 건설 작업은 2026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건설 후 연간 약 25만 대의 전기차를 생산할 계획이다.
현대모비스 슬로바키아는 2024년 10월 현대·기아차를 비롯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 대상 전동화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전기차 핵심부품인 PE시스템 공장을 슬로바키아 노바키 지역에 신규로 구축하기 위한 투자 협약을 슬로바키아 정부와 체결했다. 2025년 하반기 내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연간 약 30만 대 규모 생산량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현대위아는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의 전동화 물량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약 58백만 유로를 투자해 질리나주에 전기차 부품 생산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현대위아 신공장은 전기차용 기능통합형 드라이브액슬(IDA)을 생산해 현대차그룹의 유럽 전기차 수요를 지원하는 역할을 맡을 전망이다.
슬로바키아 정부의 투자 인센티브 제도
슬로바키아는 외국인 투자를 적극 유치하기 위해 외국인 투자가 인센티브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투자 인센티브 제도는 EU 기준에 근거하고 있으며, 그 승인 절차는 주관 부서인 경제부(Ministry of Economy)에서 진행된다. 슬로바키아는 정부보조금법(State Aid Act)을 근간으로 투자지원법, 소득세법, 고용법에 따라 외국인 투자에 대해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하지만, 구체적인 지원 범위는 슬로바키아 경제부 및 무역투자청(SARIO)과의 협상을 통해 결정되며, 최종적으로 내각의 승인이 필요하다. 정부 보조금은 산업 및 지역별로 지급 상한이 설정돼 있으며, 특히 고부가가치 산업 혹은 실업률이 높은 지역일수록 지급 상한이 높은 편이다.
투자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는 투자 분야는 총 4가지 분야이며, 1) 산업생산(Industrial Production), 2) 기술센터(Technology Centers), 3) 산업 생산과 기술센터의 혼합 시설 그리고 4) 사업 서비스 센터(business service centers)로 구분된다. 또한, 투자 인센티브는 총 4가지 형태로 주어지며, 1) 세금 감면(Income tax relief), 2) 투자현금지원(Cash grant for tangible and intangible fixed assets), 3) 고용 보조(Contribution for newly created jobs), 4) 지방정부 혹은 중앙정부로부터 부동산 저가 매입(Rent/Sale of real estate at a discounted price)이 있다. 투자 분야별 인센티브를 받기 위한 조건은 아래 표와 같다.
<투자 분야별 인센티브 혜택 조건>
분야
혜택 조건
산업생산
(Industrial Production)- 산업 생산 분야의 투자 인센티브 혜택 조건은 지역의 실업률, 투자 장려 분야(priority areas) 지정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짐
- 가령, 슬로바키아 평균 실업률보다 실업률이 높은 동부 슬로바키아 지역 같은 경우에는 서부, 중부 지역보다 투자 인센티브 지급 기준이 상대적으로 낮음. 일부 동부 슬로바키아의 경우, 25만 유로 이상 투자 시 투자현금지원(Cash grant)을 받을 수 있지만, 중부지역의 경우 2000만 유로 이상을 투자해야 투자현금지원을 받을 수 있음
- 산업 생산 투자 중 증액 투자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전년도에 비해 생산량이 15% 이상이 돼야 인정됨
기술센터
(Technology Centers)- 기술센터 투자 인센티브는 크게 투자 장려 분야(Priority areas)와 그 외(others) 분야에 따라 인센티브 수여 충족 기준이 달라지며, 장려 분야로는 식료품, 화학 물질, 의약품, 컴퓨터, 전자기기, 광학 제품 생산 등이 있음
- 투자 장려 분야에 투자할 경우, 1) 신규 일자리 5개 이상 창출, 2) 해당 지역의 2배 이상 급여 지급 등의 조건을 충족 시, 그 외(others) 분야보다 더 쉽게 투자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음. 가령, 투자 현금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투자 장려 분야에 10만 유로 이상을 투자하면 되지만, 그 외 분야에서는 현금지원을 받을 수 없음
사업 서비스 센터
(Business service center)- 사업 서비스 센터 인센티브 역시 크게 투자 장려 분야(priority areas)와 그 외(others) 지역에 따라 인센티브 혜택 충족 기준이 달라짐. 사업 서비스 센터의 투자 장려 분야는 1) 법인 경영(Company management), 2) 재정 사업(Finance business), 3) IT 등임
- 투자현금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투자 장려 분야에 10만 유로 이상을 투자해야 하고, 신규 일자리 10개 이상 창출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하며, 그 외 분야(others)에서는 현금지원을 받을 수 없음
[자료: 슬로바키아 경제부]
또한, 슬로바키아 정부의 투자 인센티브는 산업 및 지역별로 지급 기준이 상이하고, 고부가가치 산업이며 실업률이 높은 지역일수록 지급 최소 기준이 낮은 편이다. 하지만, 구체적인 지원 범위는 슬로바키아 경제부 및 무역투자청(SARIO)과의 협상을 통해 결정 및 최종적 내각 승인이 필요하기에 슬로바키아 내 투자를 희망하는 자동차 및 관련 부품 제조사는 상세한 내용 확인 및 협상을 위해 SARIO(슬 무역투자청)와 슬로바키아 경제부, 그리고 주슬 한국대사관 및 KOTRA에 문의할 필요가 있다.
* 투자 인센티브 제도 관련 상세 내용: https://www.economy.gov.sk/uploads/files/8Xp8xb40.pdf
시사점
슬로바키아는 대외 개방적인 경제구조와 지리적 이점, 그리고 정부의 적극적 투자 인센티브 제도 등 다양한 투자 유인 요소들이 있어 유럽 시장 진출 교두보로 기능할 수 있으며, 충분히 생산기지 거점으로 삼을만한 장점이 있는 투자 대상국이다. 특히, 자동차 산업의 경우, 슬로바키아 전체 산업 생산의 약 54% 이상을 차지할 만큼 국가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오랜 기간 축적된 거대 자동차 OEM 기업들과 Tier1, Tier2 기업들의 공급망이 탄탄히 구축돼 있다. 현재 유럽연합의 저탄소 기조에 맞춰 슬로바키아 자동차 제조 산업 또한 기존 내연기관차 중심에서 전기차 중심으로 전환하고 있는 바, 유럽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자동차·자동차부품 기업들은 슬로바키아를 투자 후보국으로 검토해 충분히 틈새시장을 노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료: 슬로바키아 경제부, 슬로바키아 무역투자청(SARIO), 슬로바키아 통계청, 현지 언론, KOTRA 브라티슬라바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슬로바키아 자동차 산업 투자 환경)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쿠웨이트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 분석(2023/2024)
쿠웨이트 2025-03-20
-
2
지정학적으로 살펴보는 2025년 튀르키예 현주소- 이스탄불 총영사관 기민정 부영사 인터뷰
튀르키예 2025-03-20
-
3
헝가리 투자유치, 2년 연속 100억 유로 돌파
헝가리 2025-03-19
-
4
러시아 우라늄 산업 동향
러시아연방 2025-03-19
-
5
스마트 제조, AI, 에너지 혁신…2025 하노버 산업전이 조명하는 독일 산업 트렌드
독일 2025-03-20
-
6
중국 선전시 경제동향과 주목할만한 첨단 제조 비즈니스 기회
중국 2025-03-19
-
1
2025 슬로바키아 원전산업 정보
슬로바키아 2025-02-25
-
2
2024년 슬로바키아 철강산업 정보
슬로바키아 2024-07-29
-
3
2022년 슬로바키아 방위산업 정보
슬로바키아 2022-07-28
-
4
2021년 슬로바키아 항공산업 정보
슬로바키아 2021-10-29
-
5
2021년 슬로바키아 자동차 산업 정보
슬로바키아 2021-10-29
-
6
2021년 슬로바키아 공유서비스센터(SSC) 산업 정보
슬로바키아 2021-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