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급부상하는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의 현주소
  • 트렌드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4-06-07
  • 출처 : KOTRA

2035년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 1540억 달러 예상

컴퓨터, 스마트폰, 신에너지차에 이어 시장변화의 주역으로 부상

중국, 고품질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개발 중

2023'챗(Chat)GPT'와 같은 혁신적인 AI 언어 모델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면서, 로봇 산업에 대한 세계의 관심 또한 급증했다. 이런 관심은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컴퓨터, 스마트폰, 신에너지차를 잇는 시장 변화의 주역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정책과 시장 전망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제언했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개념

 

로봇이란 반자동 또는 전자동으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적 장치다. 그중 산업용 로봇은 복잡한 환경에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고강도의 단순 작업을 하는 인력을 대체할 수 있어 공업 분야에 가장 먼저 쓰였고, 이후 광범위한 분야로 응용돼 이용되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개념>

인간과 유사한 형태를 한 로봇으로, 인간이 수행하는 작업 환경에서 인간과 유사한 기능과 행동을 하는 로봇

 

최근에는 인간형 로봇인 휴머노이드 로봇의 투자 가치가 점차 높아지며, 기업들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현재 휴머노이드 로봇은 교육, 의료, 공업 등 다양한 산업에 응용돼 이용되고 있다. 향후에는 인간 작업과 관련된 모든 다운스트림 부문에 활용될 전망이다.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동향

 

세계 2대 시장조사기관 마켓츠앤마켓츠(Markets and Markets)는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가 2027년 173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고, 복합성장률은 63.5%를 달성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골드만삭스그룹은 2035년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가 1540억 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시장조사기관 GGII(高工产业研究院)는 2026년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중 서비스 로봇 분야의 침투율이 3.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전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는 2026년 20억 달러 이상을 다성해, 2030년에는 2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만약 전 세계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 중 중국이 25%를 차지한다고 추산할 경우, 2030년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는 50억 달러에 도달할 전망이다.

 

<세계 및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 추이>

(단위: 억 달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1b302c3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21pixel, 세로 558pixel

[자료: GGII, 전망산업연구원]

 

2022년 중국의 전체 로봇산업 매출액은 1700억 위안을 넘어섰고, 산업용 로봇 생산량은 443000, 서비스 로봇 생산량은 6458000대를 달성했다. 특히 산업용 로봇 설치량은 세계 50%를 상회 9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다. 그 외 중국의 지능형 서비스로봇 제품 및 솔루션 시장 규모는 2018년의 193억 위안에서 2022년의 516억 위안으로 증가했고, 연간 복합 성장률은 27.9%를 보이면서 2023년에는 660억 위안 규모로 증가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지능형 서비스로봇 제품 및 솔루션 산업 시장 규모 추이>

(단위: 억 위안)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1b30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0pixel, 세로 288pixel

[자료: 국제로봇연합회, 중상산업연구원]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 중국 정책 동향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 주요 국가정책>

발표일시

정책명

(발표기관)

주요내용

2024.1.

미래산업 혁신발전 촉진 실시의견

(공업정보화부 등 7개 부처)

(2025휴머노이드 로봇 등 미래 산업의 기술혁신산업 육성안전 거버넌스 등 전면 발전

(2027휴머노이드 로봇 등 미래 산업의 종합 실력 제고일부 분야에서 글로벌 선도 실현

휴머노이드 로봇양자컴퓨터차세대 대형 항공기 등 미래 첨단장비 제품에서 획기적 성과를 창출 세계 선두 첨단장비체계 구축

(대표제품 혁신스마트 제조홈서비스특수 환경 작업 등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 제품의 연구개발 및 응용 중점추진

2024.1.

응급로봇 발전 가속화 지도의견

(응급관리부공업정보화부)

(2025선진 응급로봇 연구·개발해 과학화전문화정밀화스마트화 수준 대폭 향상생태계 개선

*중점 시나리오 응급로봇 실전 테스트 및 시범응용 기지 구축, 필요 기술 연구·개발 강화

홍수 긴급구조삼림·초원 화재지진·지질 재해구조도시 소방, 응급지휘통신 등 중점분야 응급로봇 연구·제작 강화

응급로봇 실전응용 추진정책적 지원 확대혁신보장체계 정비응용보급 보장 강화개방 협력교류 심화

2023.11.

휴머노이드 로봇

혁신발전 지도의견

(공업정보화부)

(2025휴머노이드 로봇 혁신시스템 구축

*대뇌소뇌사지’ 등 일부 핵심기술 돌파대량생산 실현

(2027휴머노이드 로봇 기술혁신능력 제고국제경쟁력 있는 산업 생태계 구축종합 실력 선진국 수준 도달

핵심기술 돌파중점제품 육성응용영역 확대산업생태계 조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

전용 소프트웨어·핵심컴포넌트·완제품 및 응용시범 투자 확대

해외 기업·연구기관의 중국내 R&D센터와 제조기지 설립 권장

2023.1.

로봇플러스

응용행동 실시방안

(공업정보화부 등 17개 부처)

(2025제조업 로봇 밀도 2020년 대비 2배 증가

(응용확대) ‘로봇플러스’ 응용 확대

100종 이상의 로봇 혁신응용 기술 및 솔루션 돌파

기술수준이 높은 로봇 응용 시나리오 200개 이상 보급

2022.2.

‘14.5’ 국가 고령사업 발전과 양로서비스체계 계획

(국무원)

(노인용품 산업 확장보조운반몸뒤집기 등의 로봇 기술 발전

가정용 서빙로봇 등 노인용 제품의 스마트화실용성안전성 향상

스마트 의족로봇 등 제품의 응용 강도를 높임

다양한 부상 재활을 위한 보조로봇제품 개발

지능형 서비스로봇 발전 액션플랜 실시

2021.12.

로봇 산업 14.5발전규획

(공업정보화부·발개위 등 15개 부처)

(2025세계 로봇기술혁신발원지첨단제조집결지 및 통합응용 신규거점으로 부상

로봇 산업 매출액 연평균 증가율 20% 상회

2021.12.

스마트제조 14.5발전규획

스마트모바일로봇반도체(청정)로봇협업로봇자기적응로봇 등 신형 장비 발전 촉진

[자료정부부처 문건 참고자체 정리]

 

2023년 1중국의 공업정보화부를 비롯한 17개 부처는 '로봇플러스 응용행동 실시방안'을 발표했다이는 로봇의 산업별 응용 분야를 확대하고 생태계를 육성 중국 로봇 산업의 자립을 강화하고디지털 중국 건설을 가속하는 것이 목표다특히 의료양로서비스교육상업 서비스 등 휴머노이드 로봇의 응용 잠재력이 큰 분야에 초점을 맞춰 로봇 제품의 연구개발기술 혁신모델 보급에 이르는 체계적인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어 2023년 11월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휴머노이드 로봇 혁신발전 지도의견'을 발표했다. 여기서 인공지능고급 제조 기술신소재 등 첨단 기술을 통합한 휴머노이드 로봇을 컴퓨터와 스마트폰에 이은 차세대 혁신 제품으로 정의했다. 동시에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의 미래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관련 기술의 상용화와 대중화를 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 차원에서도 로봇플러스를 위한 구체적인 행동전략을 제시하고 있다특히 베이징에서도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혁신센터 구축과 제품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 베이징 지방정부의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 주요 정책>

발표

정책명

(발표기관)

주요내용

2023.8.

베이징시 로봇 산업 혁신 발전 촉진 조치

(베이징시경제정보화국)

- 휴머노이드 산업 과학기술 혁신시스템 구축

- 휴머노이드 로봇 혁신센터 설립

- 고성능 전용 칩인공지능다중모드 대형 모델 등의 핵심 기술을 골자로 기업의 공동체 설립 지원

- R&D 투자에 근거해 최고 3,000만 위안 지원

2023.6.28.

베이징시 로봇 산업 혁신발전 행동방안(2023~2025)

(베이징시인민정부)

- 고부가가치 하이테크 로봇제품 100종 육성

- 전국적으로 보급가치 있는 응용 시나리오 100종 육성

- 1만 명당 로봇 보유량 선진국 수준 도달

- 로봇 핵심 산업 수입액 300억 위안 이상 도달

- 베이징시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혁신센터 설립 가속화

- 휴머노이드 로봇 소량 생산과 응용 목표 확

- 제품 연구·개발과 생산라인 구축 

[자료자체 정리]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고품질로 진화 중, 양산까지는 시간 필요

 

4족 보행 로봇, 서비스형 로봇, AI 기술이 개발되면서 최근 중국에서 완성도 높은 휴머노이드 로봇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제품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운동제어에 주력하는 로봇이다. 위수과기의 'Unitree H1'와 푸리예(傅利叶)의 'GR-1'가 대표적이다. 특히 푸리예의 GR-11~2년 내에 대량생산 납품을 진행할 계획이다.

 

다른 하나는 인간-기계 상호작용 로봇이다. 샤오미의 '사이버원(Cyberone)', 즈위안로봇(智元机器人)의 '위안정(远征)A1', 유비테크(优必选)의 'Walker X' 등이 포함된다. 유비테크의 휴머노이드 로봇 Walker X는 안정적으로 대량생산 납품을 진행하고 있다.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 핵심제품 유형 및 응용 분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1b30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65pixel, 세로 526pixel

[자료: 전망산업연구원]

 

다만 위수과기의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과 샤오미의 사이버원은 아직 양산화 능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으며, 아직 양산화 계획도 발표하지 않았다. 

 

<대표기업 휴머노이드 로봇 양산 원가 및 응용분야>

기업

설립시간

휴머노이드 로봇 제품명

양산 원가

기능 및 응용분야

양산 목표

샤오미

2010.3.3.

Cyberone

60~70만 위안

- 운동자세 균형 실현, 감정 감지

미정

유비테크

2012.3.31.

Walker X

10만 달러

- 복잡한 지형에 자기 적응

- 발과 다리의 동적 제어

- 부드러운 물리적 상호작용

- U-SLAM 시각 내비게이션

- 자율 경로 기획

양산화 납품 실현

푸리예

2015.7.30.

Fourier GR-1

-

- 다리를 곧게 펴고 보행, 쾌속 보행

- 민첩한 장애물 회피 가능

- 인간과 협동해 동작 수행

양산 실현

다타

2018.10.17.

GingerXR

-

- 매장 프로모션, 라이브판매, 교육 및 과학연구, 청소, 웰빙 간병, 손님 안내

2023년 말 양산 완성

2025년 상용화

주이미과기

2017.12.18.

Dreame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

-

- 외다리 서기 가능

- 실내 3차원 환경의 모델링 수행

- 다양한 노면 적응 가능

- 자율 장애물 회피

미정

즈위안로봇

2023.2.27.

위안정(远征)A1

가격 20만 위안 이내로 통제 계획

- 요리 및 의류정리 등 가능

- 생활능력상실 노인 간호

- 사지 회복 보조

2024년 하반기 상용화

위수과기

2016.8.26.

Unitree H1

판매가 9만 달러

- 1시간 연속 운동 항속 기준 충족

- 충격에 빠른 자세조절/균형 유지 가능

- 안정성과 운동제어 알고리즘 출중

- 자주적 장애물 회피와 위치추적 및 내비게이션 가능

20234분기 부분적 AI 고객사에 납품

[자료전망산업연구원]

 

성공 사례: 유비테크,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에서 솔선수범 상용화 실현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의 선도 기업 유비테크는 2012년 선전시에서 설립. 선전은 화훼이 등 중국의 주요 IT 기업이 몰려있는 도시다. 유비테크는 설립 이후 '지능형 로봇을 수많은 가정에서 사용하게 하자'는 목표를 세웠고, 2020년부터 20229월까지 연구개발(R&D)에만 약 127100만 위안을 투입했다.

 

유비테크가 독자적으로 연구개발해 2018년 출시한 로봇 Walker X는 중국 최초로 상용화된 2족 보행 휴머노이드다. 출시 후에도 유비테크는 지속적으로 제품을 업그레이드해 4세대 로봇까지 선보였고, 생산 원가를 10만 달러 이하로 낮췄다.

 

<유비테크사의 Walker X>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4d82db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527pixel, 세로 804pixel

[자료: 유비테크]

 

이러한 유비테크의 로봇 제품들은 과학 연구개발은 물론, 영화 및 TV 예능, 상업 공연, 정부 및 기업 전시 등 상용 서비스 영역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면서,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의 시범 사례가 되고 있다특히 유비테크의 휴머노이드 로봇 유유(优悠)’는 2021년 10월 열린 두바이 엑스포 중국관에서 6개월간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형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에 기여하고 있다. 유비테크는 실버 산업에서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양로기관을 위한 스마트 실버산업 솔루션을 제공했다. 이외에 유비테크는 보행보조 로봇 유이러(优颐乐), 스마트 보행 로봇 유이판(优颐凡) 등을 출시했다.

 

<유비테크사의 보행보조 로봇 유이러(优颐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44d82dcd.t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20pixel, 세로 405pixel

[자료: 유비테크]

 

최근 유비테크는 일본의 인지증 케어 브랜드 MCS와 손잡고 AI와 로봇 기술을 활용 실버 산업을 지원하는 새로운 벤처를 설립했다. 이는 텐센트, 딩후이(鼎晖), 치밍창업투자(启明创投) 등 주요 투자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선전시는 2023531'인공지능 고품질 발전 고수준 응용 행동방안(2023~2024)'을 발표하며 광둥성 내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업 혁신센터의 설립을 가속할 계획을 밝혔다. 이 계획의 일환으로, 6월에는 유비테크가 지능형 로봇 응용 분야에서 이 지역 최초의 시범 사례로 선정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의 한계점: 대량의 자금 지원 및 높은 수준의 스마트화 필요

 

현재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은 정부의 정책과 발맞춰 2025년에 양산화를 진행할 전망이다. 그러나 양산화 실현과 응용 영역 확대는 대량의 자금 지원을 필요로 한다. 중국 로봇망의 통계 결과, 2023년 중국 내에서 총 9개의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이 19억 위안 이상의 융자를 획득했다. 그러나 앞으로도 더 큰 규모의 자금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에서 가장 큰 한계점은 지속적이고 방대한 양의 자본 지원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고,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약 2~3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두 번째 한계점은 통용성 및 스마트화 수준이다. 지금까지 휴머노이드 로봇의 기술은 주로 로봇 시각, 음성인식, 자연어 처리 등에 집중 있다. 따라서 휴머노이드 로봇은 간단한 명령을 수행할 수 있지만, 어휘 이해와 논리적인 이해력 측면에서는 아직 미흡하다위수과기의 연구개발 엔지니어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공장과 일반 가정에 진출하려면 통용성 문제를 해결하고 로봇 스마트화 수준을 향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2024년 양회기간 전국정협위원 쉬리진(许礼进) 우후(芜湖)로봇산업발전그룹 대표가 제출한 '혁신주도형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고품질 발전 제안'에서는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시나리오 혁신과 응용 보급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를 3가지로 꼽았다.

 

첫째, 공통성 핵심기술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휴머노이드 로봇은 2족 보행 및 양팔 작동 능력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제품 원가가 높아 상용화 및 보급이 제한적이며, 스마트화 및 감지 능력에 대한 시장의 요구사항이 높아 휴머노이드 로봇 완제품 원가가 급증하고 있다. 셋째, 상용화에 대한 비즈니스 플랜이 아직은 미비한 상황이기 때문에, 산업 공급망 구축에 있어 어려움이 존재한다.

 

전망 및 시사점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은 현재 초기 단계에 있으나변화의 시기 또한 도래하고 있다. 이 변화는 대형 AI 모델의 혁신적 발전과 정책적 지원의 확대를 바탕으로 시작됐다.

 

특히 중국은 9년 연속 세계 최대 산업용 로봇 소비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산업용 로봇 소비 증가는 휴머노이드 로봇 발전의 중요한 동력이 되고 있다. 또한 중국의 스마트 제조 산업이 가속화되면서, 기계의 노동력 대체 추세와 자동차 제조 등 다운스트림 부문의 수요 증가는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의 질적 도약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2024년 광둥성 고품질 발전대회에서 유비네크의 저우젠(周剑) 이사장은 스마트 제조 시나리오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첫 번째 대규모 응용 분야가 될 것이고, 휴머노이드 로봇은 AI 시대의 노동자로 재정의해 반복적인 노동에서 인간을 해방할 것이다라고 발언했다. 

 

그러나 높은 비용과 스마트화 수준의 제고는 여전히 휴머노이드 로봇 양산의 과제로 남아 있다. 관련 업계의 전문가는 KOTRA 베이징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향후 비용 절감이 이루어져야 휴머노이드 로봇이 자동차와 같이 선택 가능한 소비재로서 수천만 가구에 진입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많은 중국 기업은 더 고도화되고, 비용은 효율적인 로봇을 개발할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추세와 더불어, 한·중 양국은 로봇 분야 협력 기반을 구축해 왔다. 양국은 2015년부터 '중국제조 2025''제조업 혁신 3.0 전략' 협력 교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첨단 제조업, 스마트 제조, 로봇 개발 등의 분야에서 협력과 교류를 진행해 왔다202311월 쓰촨성 청두시에서 개최된 '2023 한중 지능형 로봇 기술협력 매칭 상담회'에서는 한국과 중국 기업들이 1대1 매칭 상담을 통해 심도 있는 협력 계획을 세웠다. 이 행사를 통해 양국이 기술 교류와 협력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미래 산업 발전에 기여할 전망이다.

 

향후에도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 내 양국의 지속적인 협력이 기대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로봇 산업에 대한 국가 차원의 투자 확대를 추진 중이며, 해외 기업 및 연구기관이 중국 내에서 R&D 센터와 제조기지를 설립하도록 적극 권장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한국과의 기술 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양국이 협력 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자료: 중앙인민정부, 공업정보화부, 상하이시· 베이징시·선전시인민정부, 베이칭망(北青网), sgpjbg.com(三个皮匠报告),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전망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KOTRA 베이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급부상하는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의 현주소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