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3년 한국의 5위 무역 상대국, 호주의 2023년 수출입 동향
  • 경제·무역
  • 호주
  • 시드니무역관 이정아
  • 2024-04-11
  • 출처 : KOTRA

2023년 호주 최대 수출 품목인 원자재의 가격 하락으로 인해 수출액 감소

호주인들의 소비 하락으로 소비재 수입 감소

호주 무역의 중요성과 특성

 

국민 소득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호주의 무역은 호주 경제의 핵심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호주의 무역 비율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도 11~16%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비율을 유지했으며, 1980년대 이후에도 무역 공급망이 세계적으로 확대되면서 지속해서 증가했다. 1970년대부터 2017년까지 호주는 수출보다 수입이 많아 GDP 대비 지속적으로 무역 적자를 기록했지만, 2017년 이후 호주의 원자재 수출 수요가 증가하면서 GDP 대비 무역 흑자를 기록하게 되었다. 이후 호주 무역은 팬데믹 동안 수입이 감소하면서 연속 흑자 추세로 전환됐다. 2021년에는 호주의 GDP 대비 무역 흑자가 처음으로 5%를 넘어서며 매년 안정적으로 무역 흑자를 달성했으며, 2023년에는 958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GDP 대비 호주 무역 비율 추세>

(단위: %, 년도)

[자료: 호주통계청, 호주입법부 2024.4.5]


또한, 호주는 자           이루어왔다.       3년동안    (HS CODE 27 26 )    60% . 또한,         리할 수 있으나,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들과 활발한 무역을 이어가고 있다. 


2023년 호주의 총교역액은 전년 대비 8% 감소한 6455만 달러를 기록했다. 총 수출액은 전년 대비 12.4% 감소한 3707달러, 총 수입액은 전년 대비 4.9% 감소한 2748만 달러를 기록했다.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던 호주의 무역은 2023년 주요 경제국의 경기 침체로 성장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교역 감소의 주요 요인으로는 인도네시아의 원자재 생산 분야 성장으로 인한 글로벌 원자재 공급 완화와 세계 시장의 원자재 수요 둔화로 분석된다. 이로 인한 호주의 주요 수출품인 원자재 가격 하락이 수출 감소의 주된 원인이었다. 또한, 호주 내 인플레이션 상승과 금리 인상으로 인한 호주인의 소비 감소가 하반기에 장난감, 의류, 가전제품과 같은 소비재 수입 감소로 이어져 교역액 및 무역 수지 감소의 원인이 됐다.

 

<호주의 최근 3개년 교역 추이>

(단위: US$ 백만, %)

구분

2021

2022

2023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교역액

592,584

30.5

701,730

18.4

645,596

△8.0

수출액

344,865

37.5

412,683

19.6

370,735

△12.4

수입액

247,719

21.9

289,047

16.6

274,861

△4.9

무역수지

97,146

103.9

123,636

27.2

95,873

△22.4

[자료: GTA 2024.4.5]

 

호주 주요 품목별 수출입 동향

 

2023년 호주의 최대 수출 품목인 광물성 연료(석탄, 석유)와 광물의 수출은 전체 수출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그러나 2023년 원유 가격 하락으로 광물성 연료의 수출은 전년 대비 25% 이상 감소한 1295억 달러를 기록했다. 호주의 수출 시장은 원자재 수출이 주를 이루며, 그 뒤로는 곡류와 육류 같은 농축산물의 수출도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곡류 수출은 생산 가치 하락으로 인해 수출액이 4.4% 감소한 129억 달러를, 육류 수출액은 3.2% 증가한 117억 달러를 기록했다.


<호주의 대외 주요 수출 품목>

(단위: US$ 백만, %)

순위

품 목

2021

2022

2023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광물성 연료

95,273

55.5

174,950

83.6

129,528

25.9

2

광물

131,772

40.2

101,164

23.2

103,614

2.4

3

귀금속류

20,640

5.3

19,353

6.2

21,369

10.4

4

곡류

9,823

160.3

13,528

37.7

12,931

4.4

5

소금·황·토석류

1,435

81.8

8,436

487.6

12,841

52.2

6

육류

10,982

9.6

11,394

3.7

11,768

3.2

7

무기화학물 및 희토류

6,324

23.0

7,237

14.4

6,251

13.6

8

원자로·보일러·기계류

4,597

6.9

4,861

5.7

5,272

8.4

9

종자·식물류

3,082

118.1

6,216

101.6

4,478

27.9

10

알루미늄 제품

4,251

45.0

4,877

14.7

4,304

11.7

: 순위는 2023년 기준, 증감률은 전년 동기 대비

[자료: GTA 2024.4.5]

 

2023년, 원유 가격의 하락은 호주의 광물성 연료 수출액 하락 뿐만 아니라 수입액 하락에도 영향을 미쳤다. 2023년 호주의 광물성 연료 수입은 11.1% 감소해 404억 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호주 내 자동차 수요가 증가하면서 자동차 및 관련 부품의 수입이 20.5% 대폭 상승했다. 반도체 수급 문제가 해결되어 신차 생산이 활발해지면서 호주 내 신차 판매가 상승했다. 자동차 및 관련 부품의 수입액은 430억 달러를 기록하며 호주의 1위 수입품목으로 올라섰다.

 

<호주의 대외 주요 수입 품목>

(단위: US$ 백만, %)

순위

품목

2021

2022

2023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자동차 및 부품

33,234

38.1

35,733

7.5

43,080

20.5

2

광물성 연료

25,873

62.5

45,685

76.5

40,451

11.1

3

원자로·보일러·기계류

36,695

19.0

39,292

7.0

38,722

1.4

4

전기·전자기기

27,182

12.5

29,468

8.4

28,928

1.8

5

의약품

10,706

22.2

13,036

21.7

11,099

14.8

6

광학·영상·의료기기

9,245

14.4

9,416

1.8

9,823

4.3

7

귀금속류

7,652

12.2

8,056

5.2

8,666

7.5

8

플라스틱류

7,278

17.1

7,739

6.3

6,742

12.8

9

철·철강제품

5,636

25.3

6,400

13.5

5,962

6.8

10

가구류

5,561

17.0

5,685

2.2

4,790

15.7

: 순위는 2023년 기준, 증감률은 전년 동기 대비

[자료: GTA 2024.4.5]

 

호주 국가별 교역 동향

 

2023년, 호주의 주요 교역 상대국 순위는 중국, 일본, 미국, 한국, 인도 순이며, 상위 10개국 중 미국과 독일을 제외한 모든 국가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속해 있다. 특히, 중국은 호주의 최대 수출입국이자 최대 무역흑자국으로, 호주와 중국 간의 교역량은 전년 대비 3.5% 증가하여 지난 10년 동안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2023년 호주의 대중국 수출액은 전년 대비 12.4% 증가한 1348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수입액은 전년 대비 10.2% 감소한 693억 달러를 기록했다. 무역흑자는 654억을 기록하며 호주의 무역 흑자에 68% 가량을 견인했다. 반면 호주의 대일본 수출액은 28.5% 감소하여 571억 달러를 기록한 반면 수입액은 1.9% 소폭 증가한 173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외 호주의 교역 상위 10개국 중 중국, 미국, 태국을 제외한 국가들 모두 교역액이 감소했다.

 

지난 30년 동안 호주의 주요 수출 시장은 유럽에서 아시아로 이동했으며, 아세안과의 관계 강화를 통해 아시아 시장으로의 다변화를 이뤄냈다. 호주는 아세안과 관계 강화를 위해 아세안 회원국은 아니지만 지난 50년 동안 아세안 회원국과 대화 파트너로 50년 동안 협력했다. 동남아시아의 경제 블록은 2040년까지 미국, 중국, 인도에 이은 세계 4위 경제국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되며, 호주와 아세안의 무역 관계가 지속해서 발전할 것으로 분석된다.

 

<호주의 10대 교역 대상국>

(단위: US$ 백만)

순위

수출

수입

국가명

2021

2022

2023

국가명

2021

2022

2023

1

중국

133,932

119,907

134,852

중국

68,351

77,248

69,372

2

일본

46,436

80,010

57,160

미국

25,585

29,319

30,851

3

한국

26,850

35,715

26,569

한국

9,448

18,679

17,468

4

인도

14,536

20,388

16,542

일본

15,220

17,046

17,380

5

대만

12,077

20,630

14,579

태국

11,318

12,036

12,807

6

미국

12,126

13,864

13,858

말레이시아

10,044

11,810

12,351

7

싱가포르

11,563

13,114

11,324

독일

10,753

11,413

11,985

8

뉴질랜드

8,428

8,901

8,266

싱가포르

9,502

13,510

10,750

9

베트남

7,115

9,549

7,826

베트남

5,191

6,475

6,485

10

인도네시아

7,512

8,690

7,729

이탈리아

5,675

6,404

6,353

-

합 계

344,865

412,683

370,735

합 계

247,719

289,047

274,861

주: 순위는 2023년 기준

[자료: GTA 2024.4.5]

 

2023년 한-호 교역 동향

 

2023년 한국과 호주간의 교역액은 전년 대비 20.5% 감소한 506억 달러를 기록했다. 한국의 대호주 수출액은 전년 대비 5.1% 감소한 177억 달러, 수입액은 전년 대비 26.9% 감소한 328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로써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한국의 대호주 무역수지는 전년 대비 적자 폭이 감소하여 150억 달러를 기록했다. 2023년 호주의 교역규모 기준으로 한국은 호주의 교역 상대국 4위를 차지했다.

 

<한국-호주 최근 3개년 교역 추이>

(단위: US$ 백만, %)

구분

2021

2022

2023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교역액

42,668

71.3

63,682

49.2

50,614

△20.5

수출액

9,750

57.6

18,753

92.3

17,791

△5.1

수입액

32,917

76.0

44,929

36.5

32,822

△26.9

무역수지

△23,167

85.0

△26,176

12.9

△15,031

△42.5

[자료: KITA 2024.04.05]

 

한국의 대호주 품목별 수출입 동향

 

2023년 한국의 대호주 수출 상위 10개 품목 중 자동차 및 부품과 항공기 및 부품이 각각 6.4%, 141.2%씩 상승하며 호조를 보였다. 이는 팬데믹 이후 호주 내 여행 수요 증가에 따른 이동 수단에 대한 대호주 수출이 활발해졌기 때문이다. 반면, 2023년에는 국제 경기 회복이 다소 지연되고 한국의 경기 침체로 인해 전반적인 수출이 감소했다. 광물성 연료(△4.3%), 전기·전자기기(△8.5%), 보일러·기계류(△12.2%), 철·철강 제품(△34.3%), 플라스틱류(△4.7%), 무기화학물·희토류(△18.1%) 수출이 모두 하락하며 수출 상위 10개 품목 중 절반 이상이 부진했다.


<한국의 대호주 주요 수출 품목>

(단위: US$ 백만, %)

순위

품 목

2021

2022

2023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광물성 연료

3,572

130.7

10,914

205.4

10,442

△4.3

2

자동차 및 부품

2,581

36.5

3,406

31.9

3,625

6.4

3

전기·전자기기

530

△8.2

518

△2.2

474

△8.5

4

항공기 및 부품

4

676.3

180

3,640.0

436

141.2

5

보일러·기계류

472

25.6

494

4.6

433

△12.2

6

철·철강 제품

419

94.6

456

8.9

300

△34.3

7

플라스틱류

291

31.2

263

△9.4

251

△4.7

8

철도차량

217

85.6

180

△16.9

181

0.2

9

무기화학물·희토류

156

76.4

204

30.7

167

△18.1

10

귀금속류

38

233.1

141

263.8

150

6.1

: 순위는 2023년 기준, 증감률은 전년 동기 대비

[자료: GTA 2024.4.5]

 

2023년 한국의 대호주 수입 상위 10개 품목 중 알루미늄 제품(16.9%), 곡류(15.1%), 니켈류(14.1%)가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크게 상승했다. 한국의 대호주 최대 수입 품목인 광물성 연료의 수입은 2023년에 37.7% 감소하며 큰 폭으로 하락했지만, 광물성 연료를 제외한 상위 9개 품목의 수입액 합계보다 더 많은 186억 달러를 기록했다. 2023년 한국의 대호주 수입은 하락세를 보였지만, 광물성 연료 및 광물을 포함한 에너지 수입의 비중은 여전히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대호주 주요 수입 품목>

(단위: US$ 백만, %)

순위

품 목

2021

2022

2023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광물성 연료

15,244

103.1

30,018

96.9

18,676

△37.7

2

광물

11,017

65.1

7,789

△29.3

7,197

△7.6

3

육류

1,562

22.2

1,740

11.4

1,636

△6.0

4

알루미늄 제품

764

△0.3

822

7.6

962

16.9

5

곡류

408

22.7

820

101.1

949

15.6

6

귀금속류

1,292

215.7

765

△40.8

648

△15.1

7

니켈류

462

98.2

464

0.3

530

14.1

8

당류 및 설탕과자

475

50.7

488

2.6

484

△0.7

9

종자·식물류

150

71.9

190

26.7

195

2.4

10

소금·황·희토류

109

△3.3

204

85.8

182

△10.6

: 순위는 2023년 기준, 증감률은 전년 동기 대비

[자료: GTA 2024.4.5]

 

시사점

 

2023년 호주의 무역은 주요 수출입 품목의 가격 하락으로 인해 수출입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글로벌 경기 침체와 원자재 수요 감소가 호주 수출 성장을 둔화시켰다. 여러 외부 요인에도 불구하고, 현재 호주는 유럽자유무역협정(European Free Trade Agreement) 협상 재개를 모색 중이다. 호주는 무역 관계를 더 공고히 하며 무역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무역 협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또한, 2023년 11월 앤서니 앨버니지(Anthony Albanes) 호주 총리는 중국을 방문하여 중국과의 무역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으며, 중국의 무역 규제 완화로 교역 품목이 확대됐다. 이에 따라 2024년에는    중국으로의 수출이 더 많이 재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여전히 글로벌 원자재 가격의 불확실성은 호주의 수출 증가에 하방 리스크로 작용한다. 다만, 2024년 글로벌 원전 수요 증가로 인해 우라늄 수요 급증이 예상되며, 이는 호주의 자원 및 에너지 상품 수출을 단기적으로 증가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2024년 호주의 무역은 성장 위축이 다소 개선되어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호주통계청, Financial Review, 한국무역협회, Parliament of Australia, Global Trade Atlas, 이외 KOTRA 시드니무역관 보유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3년 한국의 5위 무역 상대국, 호주의 2023년 수출입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