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일본 화장품 용기 시장동향
  • 상품DB
  • 일본
  • 오사카무역관 하마다유지
  • 2023-10-23
  • 출처 : KOTRA

2022년 시장 규모 전년 대비 2.1% 증가

가격경쟁력, 친환경 제품 개발, 경량 대응이 키워드

제품 기본정보

 

HS Code

범주

3923.10

상자ㆍ케이스ㆍ바구니와 이와 유사한 물품

[자료: 재무성]


<제품 이미지>

[자료: Poremo 온라인몰]

 

일본 화장품 용기 시장동향

 

일본의 화장품 시장은 대량 생산에서 다품종 소량 생산으로 전환되고 있다. 소비자 취향이 다양해져 여러 브랜드의 소량 다품종 판매, 필요한 수량 만큼만 매장에 진열하는 소매상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유통상, 소매상 모두 재고관리에 민감해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금형 개발이나 용기 개발을 중단하고, 용기 제조사나 딜러가 보유한 범용품을 채택하는 화장품 제조사가 늘어나고 있다.


2022년 일본 화장품 용기 시장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행동 제한 완화, 인바운드 수요 회복 등의 영향으로 화장품 수요 회복과 함께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2021년부터 2022년은 원자재 가격 급등, 엔화 약세의 영향으로 용기 가격이 급등했다. 이러한 추세는 2023 이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화장품 용기 시장에서는 Bio-PET, Bio-PE 사용한 용기나, 소각 CO2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그린나노(Green Nano) 사용한 지속가능한 용기를 개발하여 영업 아이템으로 제안하는 제조사가 늘어나고 있다


화장품 용기는 일본화장품공업회의 분류에 따라플라스틱(PE, PP, PET ), ② 유리, ③ 금속(주로 알루미늄)으로 나눠진다. 2022 일본 화장품 용기 시장규모(제조사 출하액 기준)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2,450 엔이며, 플라스틱 제품이 83.7%(2,051 ) 차지했다.

 

<일본 화장품 용기 전체 시장규모 추이>

(단위: 억 엔)

 

2018년도

2019년도

2020년도

2021년도

2022년도

시장 규모

2,604

2,680

2,370

2,400

2,450

전년 대비

-

+2.9

-11.6%

+1.3%

+2.1%

*연도는 4월부터 다음 해 3월 말 기준

[자료: 야노경제연구소]

 

최근 3년간 수입규모(한국 포함) 및 동향

 

HS Code 3920.10 2022년 일본 전체 수입액은 전년 대비 약 2% 증가한 53,671만 달러였으며, 이 중 약 28.5%를 말레이시아 수입품이 차지하였다. 그 외에 중국, 태국, 인도네시아 순으로 수입액이 많다대한 수입액을 살펴보면 2022년에는 전년 대비 약 13.8% 감소한 약 2,237만 달러가 수입되었다.

 

<최근 3년간 국가별 수입 동향 (HS Code 3920.10 기준)>

(단위: US$ , %)

순위

수입국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2/21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전 세계

438,273

526,331

536,711

100.00

100.00

100.00

1.97

1

말레이시아

122,849

156,564

152,894

28.03

29.75

28.49

-2.34

2

중국

99,573

135,337

146,069

22.72

25.71

27.22

7.93

3

태국

62,137

67,338

71,378

14.18

12.79

13.30

6.00

4

인도네시아

29,490

40,557

43,956

6.73

7.71

8.19

8.38

5

미국

54,704

41,551

40,221

12.48

7.89

7.49

-3.20

6

한국

24,158

25,955

22,374

5.51

4.93

4.17

-13.80

7

베트남

13,107

17,822

20,230

2.99

3.39

3.77

13.51

8

대만

8,687

9,438

8,785

1.98

1.79

1.64

-6.92

9

독일

4,410

7,856

8,445

1.01

1.49

1.57

7.50

10

스웨덴

4,209

4,959

4,304

0.96

0.94

0.80

-13.22

[자료: Global Trade Atlas(2023.10.16)]

 

경쟁기업 (대표 기업 예)

 

용기 메이커 중 Yoshino Kogyosho의 점유율이 압도적으로 높으나 중소기업, 수입품도 많다. Yoshino Kogyosho와 같이 플라스틱 용기와 금속용기의 제조, 기식기 및 정밀금형의 개발, 제작을 하고 있는 기업은 많지 않다. 기타 기업 중에는 Sanyo Chemical, Plahard, Honda Plus 등의 중소 기업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

 

<2022년 시장 점유율(해당 제품 출하금액 기준)>

기업명

점유율

(%)

URL

Yoshino Kogyosho

29.4

www.yoshinokogyosho.co.jp

Yoshida Industries

6.1

www.yoshida-cw.co.jp

Koa Glass

3.8

www.koaglass.co.jp

Hidan

3.8

hidan.co.jp

Takemoto

3.6

www.takemotopkg.com

Takeuchi Press

3.4

www.takeuchi-press.co.jp

Tsubaki Chemical

1.8

www.tsubaki-ka.co.jp

Jutec

1.8

www.jutec.co.jp

Daisho

1.7

www.daisho-g.co.jp

Katsushika

1.6

www.katsushika.com

기타

42.7

-

[자료: 야노경제연구소, KOTRA 오사카무역관]

 

유통구조

 

주문 수량이 1,000 미만인 테스트 마케팅부터 시작해 첫 회 주문수량이 3,000~5,000개로 거래가 시작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여러 용기 제조업체의 용기를 취급해 주문 수량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용기 딜러(유통상사) 존재감이 높아지고 있다.


유통구조는 딜러가 화장품 제조업체에 납품하는 경우와, 용기 제조업체가 직접 화장품 제조업체에 납품하는 경우 2가지가 있다Shiseido Kanebo 대형 브랜드 업체들의 경우, 핵심 브랜드에서는 금형 투자를 하고 용기 업체와 직접 거래하는 경우가 많다. 다품종 소량 생산 제품에 관해서는 금형 투자를 하지 않고, 용기 메이커 혹은 딜러의 범용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

 

WTO협정 관세율은 무관세이며 통관 시 소비세 10%가 부과된다. 특별한 수입규제는 없다.

 

HS Code

기본

WTO협정

3923.10

5.8

무관세

[자료: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 실행 관세율표]

 

시사점

 

2022년 일본 화장품 용기 시장은 전년 대비 2.1% 증가한 2,450억 엔을 기록했다. 향후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도 있어 시장 규모는 확대될 것으로 보이나 실질적인 수요 회복은 소비시장을 주시해야 한다경쟁사가 많은 일본시장에 있어서 소량 주문 대응, 가격경쟁력, 친환경 제품(지속가능한 제품)의 제안은 필수사항이 되고 있다. 환경 대응 제품에 대해서는 Bio-PET 등의 지속가능한 제품, 재생 원료 사용 제품 등이 있으며 소량(경량) 용기도 있다. 앞으로도 일본 화장품 용기시장에 있어서 '가격경쟁력, 친환경 소재, 소량 대응'이 키워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자료: 야노경제연구소, 재무성, 경제산업성, Global Trade Atlas, 기업 홈페이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화장품 용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