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코로나19 팬데믹 종료 이후 요르단 화장품 시장 급성장 중
  • 트렌드
  • 요르단
  • 암만무역관 이호빈
  • 2023-10-23
  • 출처 : KOTRA

요르단 사해 진흙을 활용한 제품도 각광

향후 온라인 채널을 통한 화장품 판매 증가 예상

Euromonitor에 따르면 요르단의 화장품 수입액은 2021년부터 2026년 사이에 매년 평균 2.7%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요르단의 화장품 수출 또한 2021년 4400만 달러에서 매년 2%씩 성장하여 2026년 수출액은 495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1999년 이후 요르단의 화장품 수요는 매년 평균 3.6%씩 증가하여 2021년에는 세계 순위 69위를 기록 중이다. 아래에서는 성장하고 있는 요르단 화장품 시장에 대해 알아본다.

 

요르단 화장품 시장동향

 

요르단 산업회의소의 화학·화장품 부문 총괄담당자 아마드 알-바스(Ahmad Al-Bass)에 의하면, 요르단인들은 매년 화장품과 그 관련품에 약 4억960만 달러를 지출한다. 현재 요르단에서 소비되는 화장품의 45%는 현지에서 생산된 화장품이며 나머지 55%는 수입 화장품이다. 요르단에 화장품과 세정제품(cleaning materials)을 함께 생산하는 공장은 약 200곳, 화장품만 생산하는 공장은 약 60곳이 있다. 요르단은 전세계 58개국에 화장품을 수출한다. 수입 화장품의 경우 국내산 화장품에 비해 일반적으로 더 비싸나 요르단 소비자들은 수입 제품을 더 선호한다.

 

<2018~2022 요르단 뷰티 및 퍼스널 케어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연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시장 규모

449.01

459.46

467.93

476.83

497.45

[자료: Passport]

 

Passport 자료에 따르면 요르단 화장품 시장은 2018년 이후 5년동안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요르단에서 화장품은 대부분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는데, 2022년 기준 전체 매출에서 오프라인 소매점 판매율이 약 99%였고 전자상거래를 통한 판매 비중은 1% 미만에 그쳤다. 단, 요르단에서는 바스켓(Basket.jo), 탈라밧(Talabat) 등 지역 밀착형 배송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으며 이를 통한 화장품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참고로 2020년에 발표된 EcommerceDB 자료에 따르면 요르단 화장품 전자상거래 시장은 2023년까지 약 216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22년 요르단으로의 관광객 숫자가 전년 대비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향수, 선케어 제품 등의 매출이 상승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종료로 2022년 대학을 포함한 일선 학교가 전면적으로 개학하면서 젊은 층을 타겟으로 한 색조 화장품, 데오도란트, 헤어케어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매출이 일제히 증가했다. 2022년에 전년 대비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부문은 색조 화장품(6.5%), 남성용 미용 제품(5.7%), 프리미엄 뷰티 제품(5.4%) 등이다.

 

<2022년 요르단 뷰티 및 퍼스널 케어 각 부문별 매출규모>

(단위: US$ 백만, %)

순위

분야

매출액

전년대비 성장률

1

일반 뷰티 및 퍼스널케어 제품

353.39

3.8

2

헤어 케어

115.82

2.5

3

향수

79.94

4.9

4

프리미엄 뷰티 및 퍼스널케어 제품

64.69

5.4

5

목욕 및 샤워제품

56.92

4.4

6

유아 미용 제품

54.10

2.9

7

구강용 제품

49.44

4.9

8

남성용 미용 제품

45.48

5.7

9

색조 화장품

45.06

6.5

10

스킨 케어 제품

39.27

5.3

[자료: Passport]

 

참고로 요르단 소비자들은 높은 소득 격차를 보이는데, 수도 암만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인구는 전체 인구의 35% 수준이나 전체 소비자 지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암만의 소비자들은 프리미엄 향수, 헤어 스타일링, 네일 케어 등 개인 미용 관리에 대한 지출이 가능하나 저소득층의 경우 비누 등 기본적인 미용 제품만 구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2년 기준으로 미국 기업 Proctor & Gamble사가 요르단 뷰티 및 퍼스널 케어 시장에서 14.5%의 점유율로 1위를 기록했다. 그 밖에 Unilever사는 11.4%, Johnson & Johnson사는 9.5%의 점유율로 각각 2, 3위를 차지했다.

 

최근 사해 진흙(Dead sea mud)를 활용한 화장품이 전세계적으로 각광받으면서 요르단 사해 진흙 화장품의 인기도 함께 올라가고 있다. Global Insight Services에 따르면, 전세계 사해 진흙 화장품 시장은 2021년 7억 달러 규모로 평가되었는데, 2031년까지 약 26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보고서는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도 피부관리 및 노화방지를 위해 사해 진흙 화장품 수요를 늘릴 것으로 예상했다. 요르단에서 사해 진흙 제품을 생산하는 주요 업체로는 Jordan Integrated For Mineral Dead Sea Products사, KAWAR Dead Sea Products사, Muhtaseb Cosmetics사 등이 있다.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요르단의 對세계 화장품 수입 규모는 2020년 이후 최근 3년간 꾸준히 증가했다. 2021년 수입규모가 전년 대비 123% 증가한 데 이어, 2022년에 수입규모 또한 전년 대비 173% 급등하며 약 8103만 달러를 기록했다. 요르단의 화장품 주요 수입국은 프랑스를 포함한 유럽 국가, 미국, 중국이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규모 또한 전년 대비 각각 109%, 45% 증가하며 3년 연속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요르단 현지 화장품 유통망에 의하면 한국산 화장품은 비교적 높은 가격 때문에 판매 성장세가 다소 더디다. 한국산 화장품 가격은 유럽 또는 미국 브랜드 화장품과 비슷한 수준으로, 요르단 소비자들은 비슷한 값이면 유럽 또는 미국 브랜드를 더 선호하는 편이다.

 

<최근 3개년 요르단 화장품(HS코드 3304) CIF 기준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0년

2021년

2022년

2022년 비중

1

프랑스

14,286

16,419

19,543

24.1

2

미국

5,886

7,047

10,018

12.3

3

독일

3,988

4,556

7,268

8.9

4

중국

4,148

3,584

6,729

8.3

5

이탈리아

3,061

5,977

6,164

7.6

6

폴란드

1,096

1,785

3,840

4.7

7

터키

2,022

2,500

3,576

4.4

8

스위스

906

2,709

2,735

3.3

9

영국

1,171

1,200

2,523

3.1

10

스페인

1,128

1,566

2,439

3.0

21

한국

181

378

546

0.6

합계

38,155

46,855

81,032

100.0

[자료: 요르단 통계청]

 

경쟁동향 및 유통망

 

암만무역관이 직접 조사한 바, 요르단 현지 주요 화장품 기업은 아래와 같다.

 

<요르단 주요 화장품 제조기업>

기업명

브랜드

비고

홈페이지

Muhtaseb Cosmetics Ltd

Aqua Therapy, Shock, 

Nature's Heart

1998년에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프리미엄 뷰티 및 퍼스널 케어 제품 라인을 통해 현재 요르단의 선도 기업 중 하나로 성장. ‘퍼스널 케어’, ‘사해 스킨케어 제품’, ‘헤어 케어 및 스타일링 제품’에 초점을 둔 세 브랜드들을 통해 요르단 현지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고 해외 시장으로 유통 채널을 확장 중

https://www.mcosmetics.com/en/

Rivage

Rivage

1996년 설립되었으며, 자연의 천연 성분과 사해 진흙를 통한 헤어 케어 및 스킨 케어에 초점을 맞추며 성장한 기업. 64가지의 천연 성분을 사해 소금과 진흙에 혼합하여 제품 제조. 사해 진흙이 함유된 샴푸, 마스크팩, 비누 등이 인기 제품

https://rivagecare.com/jordan/

Juman

Pharmaceutical and Dead Sea Products Factory

Juman

2009년에 설립, 2013년부터는 자체 브랜드를 제작하기 시작한 요르단 제약 및 화장품 제조 공장. 제조된 사해 진흙 화장품의 82%가 이라크, 사우디, 알제리, 수단, 리비아, 예멘 등 MENA지역으로 수출되고 있음

https://www.jumandeadsea.com/en/

[자료: 각 기업별 홈페이지]

 

현재 요르단에는 한국 화장품 전용 매장이 있는 기업은 더페이스샵과 토니모리(Tonymoly) 등 2개사이다. 더페이스샵은 2006년 한국 화장품 최초로 요르단에 매장을 열었고, 현재는 암만 내 3개의 매장을 운영 중이다. 또한 2018년에 토니모리는 요르단 2대 쇼핑몰로 꼽히는 암만 시티몰에 매장을 오픈했고 현재는 암만 내 2개의 매장이 있다.

 

관세 및 수입 규정

 

HS코드 3004 품목의 요르단 수출시 관세 정보는 아래와 같다. 미국, EU 회원국 및 GAFTA 회원국에서 수입되는 화장품에는 FTA로 인해 0%의 관세와 일반판매세 16%가 적용된다.

 

HS Code

관세율

특별판매세

일반판매세(한국의 VAT)

3004

6.5%

25%

16%

 

참고로 요르단 식품의약국(JFDA; Jord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의 사전 승인 없이는 화장품을 요르단으로 수입할 수 없다. 미용 화장품의 등록 비용은 25요르단디나르(약 35달러)이며 의약품 화장품의 등록 비용은 125요르단디나르(약 176달러)이다. 수입 화장품 등록을 위해서는 아래의 서류 제출이 필요하다.

①수입업자의 무역허가요청서 원본

②상업등록서류

③유효한 GMP 인증서

④학명(In scientific name)으로 된 제품 구성 증명서 원본

⑤최종 제품의 물리적, 화학적 및 미생물적 규격

⑥원본 제품의 물리, 화학, 미생물 분석 증명서

⑦제품의 외부 및 내부 포장 사진

⑧주성분의 화학적 안정성 및 물리적 사양에 대한 연구(단, 의약품 화장품의 경우에만 해당)

⑨원산지 국가의 공식 기관에서 발행한 판매 자유 증명서(단, 의약품 화장품에만 해당)

 

요르단 식품의약국 웹사이트를 통해 제품 등록 신청서를 다운로드하고 전자 문서를 첨부하여 신청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신청 웹사이트: http://application.jfda.jo/Cosmo)

 

유통구조

 

요르단의 주요 화장품 수입 바이어 유통상은 다음과 같다.

 

<요르단 주요 수입 바이어 유통상>

기업명

설립년도

근로자수(명)

웹사이트

비고

Abu Shakra Trading

1961

251~500

abushakra.com

-다양한 국제 명품 브랜드 유통 및 소매상으로 요르단 전역에 30개 이상의 매장을 보유

Petra Trading & Investment

1980

251~500

petragroup.com.jo

-일용소비재를 중심으로 사업 시작 후 미국의 다국적 기업인 Procter and Gamble사와 제휴

-헤어 케어, 구강 케어, 면도 케어, 베이비 케어, 여성 케어 등 30개 이상의 고유한 브랜드를 제공

Injaz Group

1978

약 600

injazco.com

-요르단과 이라크에서 일반 소비재, 섬유 및 패션 비즈니스, 식품 제조 및 물류를 담당

Nader Group

1980

251~500

nadergroup.com

-소매, 물류 및 식품 가공 분야의 기업 네트워크를 보유한 가족 소유 지주 그룹

-Modern Arab Distribution사, Arab Italian Trading사 등 7개 계열사 보유

Kashmir Cosmetics Trading

2015

101~250

cashmerecosmetics.com

-메이크업, 스킨케어, 헤어케어, 향수, 네일, 액세서리 등에서 다양한 국제 브랜드 판매

-남성과 아동을 위한 제품 판매

 

바이어 인터뷰

 

기업명

Blue Berry Leaves for Cosmetics

인터뷰 대상자

Mr. Mutaz Abu Al Sondos

직원수(명)

15

웹사이트

https://web.facebook.com/Blueberryleaves/


1. 귀사가 한국 화장품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한국 화장품의 품질이 매우 높고 품질 대비 가격도 괜찮기 때문이다.

 

2. 아랍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의 성장은 어느 정도 예상하는가?

한국 화장품은 매년 성장하고 있고 향후에도 더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

 

3. 한국 화장품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 특히 첫 사용 후 만족도는 어떠한가?

우리는 처음에 한국 화장품을 사용해보지 않은 고객을 설득할 때 어려움을 겪는다. 그러나 한국 화장품을 사용해 본 고객은 결국 한국 화장품의 높은 품질을 깨닫고 주기적으로 제품을 찾을 뿐만 아니라 주변인들에게도 추천한다.

 

4. 한국 화장품 제조기업에게 현지 시장 진출과 관련하여 조언한다면?

우선 현지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기업명

Qattous Group

인터뷰 대상자

Mr. Abdelrahim Khawaja

직원수(명)

30

웹사이트

https://qattousgroup.com/


1. 최근 온라인을 통한 화장품 매출은 어떠한가?

코로나 19 팬데믹 이전에는 오프라인과 쇼룸 중심의 판매만이 주류였지만, 팬데믹 이후 화장품 딜러들이 온라인 판매를 시작했다. 이후 온라인 판매는 소비자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져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으며, 향후 점진적으로 온라인 판매가 증가할 것이다.

 

2. 가장 인기 있는 화장품은 무엇인가?

메이크업, 스킨케어 제품, 헤어케어 제품이 인기가 있다. 최근 요르단에서는 Derma 브랜드 스킨케어 제품의 인기가 높다.

 

3. 요르단에서 화장품과 관련된 차별화된 셀링 포인트는 무엇인가?

가장 중요한 것은 품질이며, 화장품의 천연 성분 및 원산지도 중요하다.


 

기업명

Lana & Leen for Cosmetics

인터뷰 대상자

Mr. Zakarya Al Jalees

직원수(명)

10

웹사이트

https://www.facebook.com/Aljaless?mibextid=LQQJ4d


1. 귀사가 주로 사용하고 있는 판매 채널은 무엇인가?

우리는 도매에 중점을 두는데, 그 이유는 도매는 짧은 기간에 많은 물량을 판매하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쇼룸과 온라인을 통해 소매 판매를 진행한다.

 

2. 향후 한국 화장품 수입 의향이 있는가?

물론 그렇다. 우리는 한국 화장품의 높은 품질을 알고 있기에 충분히 협력할 수 있지만, 가격 경쟁력이 있는 경우에 가능할 것이다.

 

3. 요르단 화장품 시장에 대한 전망은?

화장품은 현재 요르단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꾸준한 수요 증가로 인해 향후에도 계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


 

시사점

 

요르단 내 화장품 수요가 증가하면서 화장품 시장 규모도 매년 증가하고, 더불어 수입 규모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요르단에서 소비되는 화장품의 경우 55%가 수입 화장품이었는데, 그 중 프랑스를 포함한 유럽산과 미국산의 제품이 수요가 높았다. 한국산 화장품의 수입액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현재 요르단 화장품 시장에서 유럽과 미국산 제품에 비해 낮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산 화장품은 요르단에서 품질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지만, 가격 지향적인 요르단 화장품 시장을 고려하여 가격 경쟁력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커머스 시장 확대를 고려해 온라인 유통망을 통한 판매도 고려할 수 있다. 참고로 KOTRA 암만무역관에서는 토니몰리 현지 화장품 전문 유통망과의 협업을 통한 한국산 뷰티케어 제품의 현지 진출을 꾸준히 지원하고 있다. 2024년에도 암만무역관은 뷰티/화장품 관련 사업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며, 관련 기업들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

 


자료: 요르단 JFDA, 요르단 통계청, 유로모니터(Passport) 및 KOTRA 암만무역관 자체 조사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코로나19 팬데믹 종료 이후 요르단 화장품 시장 급성장 중)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