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일본 파인 메탈 마스크(FMM) 시장 동향
  • 상품DB
  • 일본
  • 나고야무역관 민현정
  • 2023-09-25
  • 출처 : KOTRA

한 기업의 점유율이 높은 시장

새로운 기술의 등장도 기대되지만, 수요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임

상품명 및 HS CODE

 

파인 메탈 마스크는(FMM)는 종이보다 얇은 금속재료판으로, 유기 EL 디스플레이 제조에 필수적인 부품이다. FMM에는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 미세한 구멍이 다수 있다.

해당 부품의 주된 역할은 AMOLED 제조 공정에서 RGB 유기물을 증착하여 화소를 형성하고 패널의 해상도와 수율을 확보하는 것이다. UHD 디스플레이 생산에 있어 핵심적인 기술로 향후에도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품명

73.26 – 철강으로 만든 그 밖의 제품

* 단조(鍛造))ㆍ펀칭(punching), 절단(cutting)ㆍ스탬핑(stamping)ㆍ접음ㆍ조립ㆍ용접ㆍ선삭(旋削)ㆍ밀링(milling)ㆍ구멍 뚫는 것(천공)과 같은 그 밖의 공정에 의하여 얻는 모든 철강제품을 포함한다. (이 호의 앞 호에 포함하는 물품이나 제15부의 주 제1호에 포함되는 물품이나 제82류나 제83류에 포함되는 물품이나 이 표의 다른 호에 열거하는 물품은 제외)

7326.90 - 기타

HS CODE

7326.90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재무성 무역통계]

 

시장 동향

 

메탈 마스크는 빛의 3원색(RGB: Red Green Blue) OLED 발광 재료를 기판에 부착할 때 사용하는 미세한 개공이 정밀하게 배치된 얇은 금속 부재를 말한다. 진공 상태의 장치 내에서 유기물을 증발시켜 유리나 플라스틱 등의 기판 위에 정착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증착’이라는 공정으로 RGB 각 색을 칠하기 위해 메탈 마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OLED 디스플레이에서 선명한 영상을 비추기 위해서는 RGB의 유기물을 정밀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그 생산 공정 중에서도 특히 마스크를 사용한 증착 프로세스는 고도의 기술·노하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메탈 마스크에도 높은 치수 정밀도가 요구된다.

 

파인 메탈 마스크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22년 1억8,410만 달러 상당으로 추정된다. 이는 2028년에는 4억3,380만 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예측기간 동안의 CAGR은 26.0%이다. 대표적인 파인 메탈 마스크 제조사로는 다이니폰 인쇄(DNP), 돗판 인쇄 등으로 일본 기업들이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1위인 다이니폰 인쇄에서 약 72%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이니폰 인쇄는 독자적인 기술을 활용해 2001년부터 메탈 마스크 개발을 시작하였고, 현재는 스마트폰용을 중심으로 세계 1위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의존도가 높다.

 

OLED 디스플레이는 슬림화, 저전력화가 가능하고 콘트라스트((사진, 영화 화면 등) 인화의 명암 정도)도 뛰어나 스마트폰 탑재율이 2025년까지 5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향후에 태블릿 단말이나 노트북 등 IT 제품에서도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OLED 디스플레이 이용이 가속화되어 IT 제품 전용 시장이 2025년까지 현재의 약 5배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 같은 디스플레이의 대형화에 따라 OLED 패널 제조사들은 현재 6세대 크기보다 생산 효율이 높은 대형 8세대 유리기판 양산에 대해 검토를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에 따라 다이니폰 인쇄는 2022년 11월 대형 메탈 마스크 생산라인을 후쿠오카현에 위치한 구로사키 공장에 신설하였다. 신설된 라인에서는 향후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태블릿 단말 및 노트북용 OLED 디스플레이 생산 효율을 대폭 높이는 8세대 유리기판에 대응한 대형 메탈 마스크를 생산할 예정이다. 투자액은 200억 엔으로 2024년 상반기에 가동을 시작할 예정으로, 이를 통해 생산능력을 기존보다 2배 이상으로 늘려 나갈 계획이다.


또한, 메탈 마스크의 주요 생산 거점인 미하라 공장(히로시마현)을 보완해 BCP(Business Continuity Plan:사업 계속 계획) 대응 강화를 도모한다.

 

수출 동향

 

일본의 HS CODE 7326.90-000 품목의 수출 동향을 보면, 2020년에는 중량 및 수출액 면에서 감소세를 보였다가 2021년부터 증가세로 돌아섰다. 다만, 2022년에는 중량은 감소한 데에 비해 수출액은 증가하여 1kg당 단가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수출동향>

(단위: (중량)kg, (수출액)천 엔)

품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상반기

중량

수출액

중량

수출액

중량

수출액

중량

수출액

중량

수출액

7326.90-000

85,510,299

122,307,115

62,071,985

107,148,649

72,616,005

125,611,453

59,509,309

135,815,485

31,008,801

68,152,442

[자료: 재무성 무역통계]

 

<국가별 수출 규모>

(단위: 천 엔)

순위

국가

2019

2020

2021

2022

2023

상반기

1

중국

29,411,969

30,440,843

39,621,245

44,825,591

22,055,446

2

한국

27,948,130

24,996,647

23,491,406

23,899,990

11,470,750

3

미국

15,167,129

13,396,894

15,664,109

15,686,127

7,700,941

4

태국

10,049,042

7,766,454

10,399,864

11,183,992

4,934,672

5

멕시코

3,118,478

2,590,103

3,175,902

3,138,394

3,491,767

6

인도

3,662,885

1,826,403

2,782,368

2,751,295

2,869,506

7

인도네시아

4,359,375

2,827,771

3,967,378

4,496,227

2,128,511

8

베트남

6,034,554

3,964,137

4,783,417

5,015,219

1,876,301

9

필리핀

2,857,693

2,687,091

3,760,883

4,052,043

1,838,965

10

대만

2,447,568

3,106,753

2,529,511

3,010,205

1,474,449

[자료: 재무성 무역통계]


국가별 수출 동향을 보면, 중국, 한국, 미국, 태국이 2019년부터 계속 1~4위를 차지하고 있다. 對 중국 수출액의 경우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과 미국, 태국의 경우 2020년에 감소세를 보였다가 2021년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여주고 있다. 필리핀의 경우 2021년부터 크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수입의 경우 HS CODE 7326.90-090(그 외의 제품) 품목에서의 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수입액의 경우 모든 품목에서 2020년 감소 경향을 보이다 2021년부터 다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수입동향>

(단위: (중량)kg, (수입액)천 엔)

품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상반기

중량

수입액

중량

수입액

중량

수입액

중량

수입액

중량

수입액

7326.90-010

16,127

317,050

12,228

128,909

34,732

274,629

49,823

793,071

29,075

412,530

7326.90-030

7,492,990

2,362,188

5,531,0347

1,922,883

5,681,646

2,082,402

5,799,081

2,758,343

2,931,703

1,544,323

7326.90-090

396,811,009

155,388,512

338,870,429

134,088,528

389,875,179

158,989,824

404,664,916

200,240,166

174,939,826

99,438,121

[자료: 재무성 무역통계]

 

비중이 가장 큰 HS CODE 7326.90-090의 수입 규모를 보면, 중국, 미국, 대만, 베트남, 한국이 상위 5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중국의 비중이 매우 높다. 미국을 제외한 4개 국가에서 2020년 하락세를 겪은 후 2021년부터 다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수치는 높지 않지만 덴마크의 상승률이 최근 매우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대한국 수입 규모>

(단위: 천 엔)

순위

국가

2019

2020

2021

2022

2023

상반기

1

중국

87,294,160

76,491,924

97,117,085

124,703,624

58,590,698

2

미국

14,075,005

11,129,514

9,581,639

12,394,403

6,240,511

3

대만

8,469,540

7,327,346

9,311,915

10,769,144

5,648,265

4

베트남

8,066,960

6,991,894

7,426,163

11,060,615

5,592,822

5

한국

9,987,388

8,572,171

8,554,143

9,774,444

5,077,421

6

독일

4,848,307

4,717,475

4,199,798

5,009,791

3,540,902

7

태국

5,505,406

4,714,028

5,693,036

5,943,679

2,433,563

8

이탈리아

1,623,262

1,715,195

2,071,353

2,701,848

1,933,170

9

덴마크

279,273

239,256

908,240

1,269,317

1,337,708

10

영국

1,468,350

1,297,802

1,255,384

2,957,322

1,203,837

[자료: 재무성 무역통계]


경쟁 동향

 

파인 메탈 마스크 시장은 일본 기업 다이니폰 주식회사가 약 72%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 시장이다.

 

<기업 정보>

기업 명

기업 정보

주요 제품

이미지

다이니폰인쇄

설립연도: 1894년

본사: 도쿄도 신주쿠구

매출액: 1조3,732억 900만 엔

(연결결산, 2023년 3월 31일 기준)

홈페이지: DNP 大日本印刷株式会社

*FMM 관련 페이지 : ディスプレイ部品・部材 | 製品・サービス一覧 | DNP 大日本印刷

정보 이노베이션, 모빌리티, 고기능 머터리얼, 헬스케어, 디스플레이 등

돗판 인쇄

설립연도: 1900년

본사: 도쿄

매출액: 1조6,388억3,300만 엔(연결결산, 2023년 3월 31일 기준

홈페이지: ホーム|凸版印刷 (toppan.co.jp)

*FMM 관련 페이지 : OLED(有機ELディスプレイ)用ファインメタルマスク | 凸版印刷エレクトロニクス (toppan.co.jp)

인쇄 테크놀로지, 커뮤니케이션, 일렉트로닉스 등

[자료: 각 사 홈페이지]

 

유통구조

 

제품을 제조하는 데에 주요 부품으로 이용되는 제품이다 보니 B2B 형태의 거래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 홈페이지 등에서 연락 창구를 확인 후 견적 문의를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참고) 다이니폰 인쇄 디스플레이 부품 및 부재에 관련된 문의 시: 규약 확인 → 문의 입력 → 입력내용 확인 순으로 이루어짐

 

<다이니폰 인쇄 제품 주문 문의 창구>

[자료: 다이니폰 인쇄 홈페이지]

 

<돗판 인쇄 문의 창구 정보>

[자료: 돗판 인쇄 홈페이지]

 

관세율 및 인증정보

 

거래 시 관세율은 모두 0이다.

<7326.90 관세율>

(단위: %)

구분

관세율

기본

0

WTO 협정

0

RCEP

0

[자료: 재무성 무역통계]

 

수출 시 인증 사항은 따로 확인되지 않는다.

 

시사점


최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된 ‘SID Display Week 2023’(2023년 5월) 전시회에서 재팬 디스플레이(JDI)는 ‘eLEAP’라고 부르는 포토 패터닝 OLED 제조 기술에 대해 초대 논문을 발표하고, 6세대(Gen6) TFT 기판에 FMM을 이용하지 않고 1.4형 원형 OLED 패널을 시험 제작하였다. 해당 제품의 개구율*은 54.1%로, 비교를 위해 FMM으로 제작했던 패널(개구율 28%)과 비교해 훨씬 높은 수치를 보였다.

* 개구율: 단위 화소에서 실제 빛이 나올 수 있는 면적 비율로, 개구율이 높을수록 이미지가 밝고 전력 소모가 줄어든다.

 

포토 패터닝에 의한 OLED 제조 기술은 종래의 FMM(파인 메탈 마스크)에 의한 도색에 비해 얼라인먼트 정밀도가 높고 환경 친화적인 유기물의 사용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파인 메탈 마스크보다 수명이 길다는 보고도 있었다. 하지만 해당 분야의 경우 아직 양산화가 이루어지기까지에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기에 파인 메탈 마스크 분야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수요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시장이다.하지만 일부 기업의 점유율이 굉장히 높은 시장으로, 특정 기업 또는 국가에 대한 의존율이 높다. 우리나라도 일본 의존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제조할 품목의 핵심 물자인만큼 안정적인 공급이 필요한 품목이며, 일본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매우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공급망 측면에서의 고려가 필요하다.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각사 홈페이지, 재무성 무역통계, 경제산업성, 니혼게이자이신문, 닛케이 X Tech, 나고야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파인 메탈 마스크(FMM) 시장 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