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폴리이미드 필름 시장 동향
  • 상품DB
  • 중국
  • 우한무역관
  • 2023-06-08
  • 출처 : KOTRA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수요 증가로 중국 PI 필름 산업 성장에 탄력

한국, 미국, 일본의 PI 필름 생산 능력 전 세계 80% 차지

중국 PI 필름 전체 수요량(2022년 1만2000톤) 2030년 2만 톤 초과 전망

제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한글 명칭

영문 명칭

392099.90

플레이트/시트/필름/호일/테이프 및 기타 플라스틱

Plates/Sheets/Film/Foil/Strip Of Other Plastics

[자료: 중국 상무부]


시장 동향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 이하 ‘PI 필름’)OLED 디스플레이의 유연성을 구현하는 핵심 소재로 분류된다. FPC(Flexible Circuit Board) 산업 외에도 PI 필름은 태양 에너지, 모터 엔진, 항공 우주, 의료 등 분야에서도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전 세계 PI 필름 절반 이상이 중국에서 소비되는데 고사양 제품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정부는 일련의 산업 지원 정책을 발표하고 기술 연구개발에 대한 정부 보조금을 늘리는 방식으로 고성능 PI 필름의 국산화를 시도하고 있다.

 

<중국 정부 PI 필름 산업 지원정책>

시기

정책명

담당 부서

주요 내용

2019.12

<주요 신소재 응용 시범 지도 목록

(重点新材料首批次应用示范指导目录)>

공업정보화부

- 반도체 디스플레이 신소재 리스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투명 PI 필름 포함

2019.12

<주요 기술장비 홍보 및 응용 지도 목록

(首台重大技术装备推广应用指导目录)>

공업정보화부

- PI 필름 생산라인을 주요 기술 장비 리스트에 포함 및 관련 지원정책 발표

2019.4

<산업 구조조정 안내 리스트(产业结构调整 指导目录)>

발전개혁위원회

- 국가 권장 산업에 PI 필름 포함 및 관련 지원정책 발표

2018.11

<전략적 신흥산업 분류

(战略性新兴产业分类)>

통계국

- 국가전략 신흥산업에 PI 필름 포함 및 관련 지원정책 발표

2017.4

<13.5 재료과학 기술혁신계획(“13.5”材料科技创新专项规划)>

과기부

- 국가소재혁신특별계획에 PI 필름 포함

2016.12

<신소재 산업 육성

가이드(新材料产业发展指南)>

공업정보화부, 과학기술부, 재정부 등

- 국가 핵심응용분야 신소재에 PI 필름 포함

[자료: KOTRA 우한무역관]


 

즈옌잔(智研瞻) 산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중국 PI 필름 제품의 연간 시장 수요는 2022년에 이미 1만2000톤을 초과하였으며, 전자 및 메모리칩 시장 성장으로 시장 수요는 2025년에 1만6500톤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0-2025년 중국 PI 필름 시장 규모 및 전망>

[자료: 쥬옌잔(智研瞻) 산업연구소]

 

수입 동향

 

2015-2021년 사이 중국 PI 필름(HS CODE: 39209990) 수입 규모는 6년 동안 117% 이상 증가하였다. PI 필름의 중국 국산화가 가속화되면서 2022년 전체 수입액은 176000만 달러로 2021년 대비 2억 달러 이상 감소(13%)했.

 

<2015-2022년 중국 PI필름 수입 규모 및 성장률>

[자료: GTA]

 

2022년 기준 중국으로 PI 필름을 수출한 주요 국가를 살펴보면, 일본(44.0%), 미국(20.4%), 대만(지역)(13.2%)에 이어 한국은 19700만 달러를 중국으로 수출하여 전체 수입시장의 11.2%를 차지하였다.

 

<2020-2022년 중국 PI 필름 수입 상위 10개국>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

2020

2021

2022

수입 금액

점유율

수입 금액

점유율

수입 금액

점유율

1

일본

759,728

46.1

839,674

42.6

775,297

44.0

2

미국

341,145

20.7

423,287

21.5

359,946

20.4

3

대만(지역)

234,358

14.2

279,153

14.2

232,120

13.2

4

한국

189,806

11.5

217,344

11.0

197,828

11.2

5

독일

27,008

1.6

70,844

3.6

102,172

5.8

6

베트남

15,124

0.9

18,006

0.9

21,658

1.2

7

영국

13,299

0.8

28,478

1.4

14,803

0.8

8

벨기에

13,634

0.8

16,236

0.8

11,920

0.7

9

호주

8,505

0.5

8,684

0.4

9,064

0.5

10

말레이시아

6,932

0.4

8,171

0.4

8,178

0.5

[자료: GTA]


2022년 중국의 PI 필름 제품 평균 수입 가격은 킬로당 32 달러이며, 수입 상위 10개국 중 독일 제품이 킬로당 49달러로 1, 한국 제품은 킬로당 35달러로 5위를 기록하였다.

 

<2022년 중국 PI필름 수입단가 순위>

순위

국가

수량()

단가($/kg)

1

독일

2,079

49

2

호주

208

44

3

미국

9,092

40

4

일본

22,154

35

5

한국

5,675

35

6

영국

558

27

7

대만(지역)

8,994

26

8

말레이시아

591

14

9

벨기에

1,127

11

10

베트남

2,223

10

총 수량/평균 가격

54,600

32

[자료: GTA]

 

중국 PI 필름 시장 경쟁 현황

 

중국에 진출한 PI 필름 글로벌 기업을 살펴보면 한국의 S, 미국의 DuPont, 일본의 KANEKA, TORAY, UBE, 대만(지역)Taimide사가 고사양 PI 필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또한 한국, 미국, 일본의 PI 필름 생산능력은 전 세계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22년 글로벌 PI 필름 산업 시장 점유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35c1200.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06pixel, 세로 378pixel

[자료: 화징산업연구소]

 

현재 중국에는 약 50여개의 PI 필름 생산업체가 있지만 대부분 저가용 제품을 생산하며, 그 외 고사양 PI 필름은 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다만 현재 중국 정부는 각종 지원정책을 통해 고사양 제품의 국산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일례로 최근 중국과학원 화학연구소와 선전루이화타이필름(深圳瑞华泰薄膜) 협력으로 독자적인 고성능 PI 필름 제조기술 개발에 성공하였다.

 

PI 필름 가격의 경우 제품별 가격 편차가 크며, 저사양 PI 필름 가격은 하락 추세를 보이는 반면 고사양 PI 필름 가격은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에 형성되어 있다.

 

<중국 시장 PI필름 종류별 시장가격>

PI 필름 종류

가격(만 위안/)

CPI(투명 PI 필름)

2,000-3,000

전자급(电子级)

고사양

100-200

저사양

35-100

전공급(电工级)

고사양

25

저사양

20

[자료: 화징칭바오왕(华经产业研究院)]

 

관세 및 수입 규정

 

PI 필름(HS 코드: 392099.90)의 중국 수입 MFN 세율은 6.5%, RCEP 세율은 5.2%, 2023년 한중 FTA 세율은 0.65%, 수입 부가가치세율은 13%이다.

 

<중국 PI 필름 수입 세율>

HS 코드

상품명

최혜국 (MFN) 세율

한중 FTA 세율

RCEP 세율

수입 부가가치 세율

392099.90

폴리이미드 필름(PI 필름)

6.5%

0.65%

5.2%

13%

[자료: 중국 상무부]

 

한중 FTA 조세감면 협정에 따라 202411일부터 PI 필름에 대한 관세가 부과되지 않으며, 기타 수입 규제 조건 또한 없다.

 

<-FTA 조세감면협정(HS 코드: 392099.90)>

연도

세율(%)

MFN

6.5

2015

5.85

2016

5.2

2017

4.55

2018

3.9

2019

3.25

2020

2.6

2021

1.95

2022

1.3

2023

0.65

2024

0

[자료: 중국 상무부]

 

전망

 

IHS MARKIT에 따르면, 가전기기, 고속철도 및 전기차 등 거대한 시장을 보유한 중국의 현재 PI 필름 소비량은 전 세계 소비량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이 OLED 생산 점유율을 빠르게 늘려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사양 PI 필름에 대한 국산화 시도 또한 가속화될 전망이다.

 

현재 중국의 PI 필름 수요량은 연간 약 1만 톤에 달하며, 향후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연성회로기판(FPC) 등 제품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2030년에는 PI 필름에 대한 연간 수요량은 2만 톤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이후 중국은 국내외 자본을 유치하여 다수의 PI 필름 생산라인을 구축하였고, 현재도 다수의 생산라인 프로젝트 및 고사양 PI 필름에 대한 기술개발이 진행중이다. 다만 아직까지 생산라인 구축 시 다수의 장비 및 기술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향후 진행 예정인 프로젝트 규모 또한 적지 않은 만큼 우리 기업도 적합한 현지 비즈니스 파트너 발굴을 통해 시장에서 파생되는 새로운 기회를 모색해 볼 수 있다.

 

자료 : 중국 상무부, GTA, 쥬옌잔산업연구원, KOTRA 우한무역관 자체 정리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폴리이미드 필름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