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라이센스 시장 동향
  • 트렌드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3-06-12
  • 출처 : KOTRA

중국 라이센스 시장의 비중은 작으나 글로벌 성장률을 초과하며 빠르게 성장 중

해외작품 방송과 달리 해외기업 및 작품의 라이센싱 부가사업 추진 관련 정책적 제약은 크지 않아

라이센스란 라이센스 제공자 라이센서(授权商)가 자신이 소유하거나 대리하는 상표, 브랜드, 이미지 등(IP)을 라이센시(被授权商)에게 계약의 형태로 부여하여 라이선스 사용료(Royalty)를 받는 것을 말한다. 라이센스 사용료는 상품 판매 수익에서 지불하며 라이센싱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와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 


<라이센스>

 

[자료: Licensingexpochina]

 

시장규모


중국의 IP 라이센스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로 매년 시장 규모가 지속 확대되고 있다. 2021년 글로벌 라이센스 시장 규모는 연평균 7.8% 증가한 3155억 달러이며, 중국은 14.5% 증가하며 119억 달러를 기록했다.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작으나 글로벌 성장률을 초과하며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 중 하나이다. 


<2016-2021 중국&글로벌 라이센싱 시장규모>

(단위: 달러,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a5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9pixel, 세로 261pixel

[자료: LIMA(국제라이센싱산업상인협회), 첀잔연구원(前瞻研究院)]


2021년 중국 라이센스 시장에 진출한 IP 국가는 중국, 미국(30.2%), 일본(9.9%) 순이며, 한국도 4.1%를 차지하고 있다. 

 

<2021년 중국 라이센스 시장 IP국가 분포>

(단위: %)

[자료: 중국완구유아용품협회(中玩具和童用品协会)]

 

2022 기준 중국의 라이센스 관련 기업은 설립 후 3년 이내 기업이 30% 이상, 1 이내 기업이 4.1%를 차지한다. 이는 3년 이내 기업이 50% 이상이었던 2020년 대비 안정적으로 운영 중인 기업이 많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2022 4 이상된 관련 기업의 비율은 전년 대비 11.0% 증가했다

 

<중국 라이센스 기업 운영 기간> 

(단위: %) 

[자료: 중국완구유아용품협회(中玩具和童用品协会)]

 

2022 상품 라이센싱(IP) 측은 브랜드측/제조업체 등에 라이센스를 부여하고, 후자는 부여받은 IP 이미지를 활용하여 제품 개발하는 형태의 합작 비율이 56.2% 가장 많다. 

 

<라이센싱 업무의 주요 합작 방식>

(단위: %)

[자료: 중국완구유아용품협회(中玩具和童用品协会)]

 

2021 중국 브랜드 라이센스 기업 수는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한 632개사, 라이센스 사업을 진행 중인 IP 전년 동기 대비 7.9% 증가한 2354개이다. 중국 브랜드 라이센스 시장의 IP 유형은 애니메이션이 28.2%, 예술문화(박물관 포함) 18.5%, 트렌드패션 IP 11.0% 순이며, 이 중 애니메이션, 예능, 비디오 게임, 초상 이미지, 웹 문학, 오디오 북 등을 포함하는 엔터테인먼트 IP의 비중 합계는 57.5%에 달한다. 

 

<2021년 중국 라이센스 시장 IP유형 분포>

(단위: %)

[자료: 중국완구유아용품협회(中玩具和童用品协会)]

 

2021년 기준 가장 보편적인 라이센스 비용 지불 방식은 일부 개런티+초과금액 지불 방식으로 48.3%를 차지한다. 이 방식은 라이센스 사업자에게 최소 비용을 보장하고 라이센서(授商)와 라이센시(被授商)가 함께 판매 노력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브랜드 라이센서(授商)의 라이센스 비용 지불 방식>

(단위: %)

[자료: 중국완구유아용품협회(中玩具和童用品协会)]

 

2021년 중국에서 라이센스 업무를 진행 중인 라이센시(被授权商) 주로 완구(17.9%), 의류 액세서리(16.5%), 식음료(10.3%), 선물기념품(10.0%)  분야이다. 이 외 문구, 유아용품, 전자제품, 가구장식품 등도 라이센시의 주요 적용 분야이다.

 

<2021년 중국 라이센시 적용 분야>

(단위: %)

[자료: 중국완구유아용품협회(中玩具和童用品协会)]

 

2022년 중국 완구유아용품협회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87.1%가 2022년 라이센스 제품 매출이 타 제품보다 높으며, 15.3%가 IP 라이선스가 제품 매출이 두 배 이상 확대되었다고 답했다. 

 

<2022년 라이센스 제품의 판매량>

(단위: %)

[자료: 중국완구유아용품협회(中玩具和童用品协会)]

 

라이센시(被授权商)에서 IP 선택 시 주로 고려하는 사항은 IP 인지도와 영향력(86.3%), IP 인기(58.3%), IP 사용자 제품의 적합성(39.1%) 순이다. 

 

<2021년 라이센시가 IP 선택 시 고려 사항 >
(단위: %)

[자료: 중국완구유아용품협회(中玩具和童用品协会)]

  

라이센스 제품 구매 시 소비자가 이용하는 주요 온라인 채널은 라이브방송, 타오바오커머스, 징동커머스 순으로 2022년 기준 각각 37.2%, 26.6%, 12.4%를 차지한다.

 

<라이센스 소비자가 이용하는 온라인 채널>

(단위: %)

[자료: 중국완구유아용품협회(中玩具和童用品协会)]

 

한중합작 동향


그동안 한중 라이센싱 합작은 주로 애니메이션 공동 제작, 제품 상품화 등 형태로 진행되었다. 사전에 한중 양국의 제작사, 장난감 등 제조기업/유통기업, 방송사, 투자배급사 등 투자를 유치하여 초기 기획 단계부터 상품화를 전제로 공동 제작을 하는 것이다. 한중 애니메이션 합작 및 장남감 상품화 사례는 슈퍼윙스(超级飞侠), 고고디노(考古迪诺), 삼국전(梦想三国), 캡슐보이(胶囊男孩), 매직 아이돌(魔幻偶像) 등이 있다. 이 외 출간 만화인 '서바이벌 시리즈' 중 '정글에서 살아남기'가 TV 애니메이션으로 공동 제작된 사례도 있다. 이 외 메가레이서(百万选手), 레드슈즈와 일곱 난쟁이 (红鞋子和七个小矮人) 등이 한중 합작으로 극장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됐다. 


그러나 2018년 9월 중국 광전총국(中国国家广播电视总)에서 <해외프로그램 수입방영에 관한 규정(境外目引播管理定)>, <방송 프로그램 제작 외국인 참여 관리 규정(境外人员参加广播电视节目制作管理定)>을 발표하며 해외 애니메이션 합작에 대한 규제를 강화했다. 해외 콘텐츠, 방영시간, 방영 총량 등을 제한하며, 중외 합작 작품에 대해 해외기업이 기획·제작한 콘텐츠를 중국 기업이 제작에 참여한다는 이유로 중국산 작품으로 인식되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해외 공동제작 애니메이션 내용은 중국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현지 법규를 위반하거나 정책환경과 사회적 이익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고 규정했다. 


(참고) 해외 공동제작 드라마(애니메이션 포함) 관리규정

중국 측은 반드시 '방송 프로그램 제작·운영 허가증' 갖고 있어야 한다.
공동 제작하는 TV 애니메이션 관련 소재 계획에 대해서는 중국 측이 광전총국(广电总局) 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 쌍방의 공동 투자 방식은 현금 직접투자, 노무, 실물, 광고시간 방식이 있다
- 양측은 초기에 창작, 시나리오 중요한 부분에 대해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작품의 국내외 소유권은 쌍방이 공유한다

* 해외 공동제작 애니메이션이 중국산 작품으로 인정받기 위한 주요 조건은 중국기업의 저작권 공동 보유와 함께 중국 기업및 제작진이 시나리오, 디자인, 연출 핵심 부분에서 역할을 해야 함.


전망 및 시사점


중국 영화 플랫폼 '마오옌프로(猫眼专业版)'와 리서치 기업 ENDATA(恩) 조사에 따르면 현지 애니메이션 영화 수입에서 중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2021년 69%(해외 31%), 2022년 7월 65%(해외 35%)에 달한다. 이처럼 중국 정부의 해외 애니메이션 수입 제한과 중국산 애니메이션 제작 발전 지원 기조에 따라 한국 애니메이션의 진출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해외 작품의 방송판매 허가와 달리 해외 기업 및 작품이 중국에서 라이센싱과 같은 부가사업 추진에 대한 정책적 제약은 크지 않다. 애니메이션 분야에서는 예전부터 한중 공동제작, 공동 마케팅,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방영 수익 외 라이센싱 등 파생상품 시장에 진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했다.


현지 산업 리서치 전문 첀잔연구원의 A 담당자에 따르면 중국 라이센스 산업은 앞으로 계속 성장하면서 적용 분야가 다원화되고 새로운 라이센싱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할 것이다. 이에 우리 기업들은 현지 사무소, 법인 등을 설립하고 현지 실력있는 완구기업, 게임기업 등과 지속적으로 협력을 모색하면서 라이센싱 기반 부가사업 수익 확보가 가능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해야 한다. 


자료: Licensingexpochina, LIMA(국제라이센싱산업상인협회), 첀잔연구원(前瞻研究院), 중국완구유아용품협회(中国玩具和婴童用品协会)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라이센스 시장 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