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최근 유기실리콘 가격 동향 및 영향
  • 트렌드
  • 중국
  • 난징무역관
  • 2022-11-24
  • 출처 : KOTRA

글로벌 경기침체 영향으로 유기실리콘 가격 하락 전환

중국 관련 산업 지원 정책으로, 유기실리콘 생산능력은 점차 증가

최근 가격 동향

 

중국 유기실리콘(DMC) 가격은 2021 1~3분기까지 상승세를 유지하며 10월에는 톤당 8440달러로 최근 10년 이래 최고점을 기록했다. 작년 유기실리콘의 이러한 가격 급등의 주요 원인은 중국 정부의 <에너지 소비 이중통제>(能耗雙控) 정책으로 신장(新疆), 윈난(雲南), 쓰촨(四川) 지역에서 메탈실리콘 생산량이 감소한데 있다. 이들 세 지역은 중국의 주요 메탈 실리콘 생산지이며, 메탈실리콘은 유기실리콘의 원자재이다. 유기실리콘 가격의 급등은 결국 관련 기업의 구매 의향을 떨어뜨려 수요 감소로 이어졌고, 2021 4분기 들어 톤당 약 3,306달러로 조정되며 2021년초 수준으로 떨어졌다.

 

2022년 들어서는 유기실리콘 관련 전방 산업 수요가 늘어나면서 가격도 소폭 상승하여 3월 톤당 5345달러로 연중 최고가를 기록하다가 2분기 이후에는 다시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가격이 하락하며 11월 기준 톤당 평균 2504달러까지 가격이 떨어졌다. 재고 압박은 높아져가는 반면에 수요는 활발히 살아나지 못하며 한 동안 가격 하향 추세는 이어졌다.

 

<2021-2022년 유기실리콘 가격 추이>

(단위: 만 톤/달러)

 

[자료: baiinfo]

 

생산 동향

 

 세계 유기실리콘 생산 능력은 주로 중국독일미국영국일본태국  프랑스에 분포돼 있다지난 10 동안 중국 산업 시스템의 업그레이드와 글로벌 산업 구조의 재분업으로 유기실리콘의 생산 능력은 점차 중국으로 이전됐다. 첸잔산업연구원(前瞻究院) 따르면 2019 중국의 유기실리콘 생산 능력은 328 (외자  합자기업 생산능력 포함)으로  세계 유기실리콘  생산능력의 59.42% 차지해 세계 1위를 차지했다미국은 11.9%로 그 뒤를 이었다. 또한 2021 중국의 유기실리콘 생산량은 1419700톤으로 전년 대비 11.2% 증가했다바이인포(baiinfo) 데이터는 반도체신에너지차, 5G  미래 신산업이 급성장하면서 유기실리콘 생산량도 더욱 늘어나 2023에는 320톤에 달할 것으로 망했다.

 

<2017-2023 유기실리콘  생산량 및 생산능력>

(단위 )

[자료: baiinfo]

 

중국 유기실리콘 산업을 대표하는 기업은 주로 저장(浙江), 산둥(山東), 신장  기타 석유화학 발달지역에 분포돼 있다. 저장과 산둥 지역의 유기실리콘 산업은 전방산업 제품의 판매유통, 수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신장 지역의 경우 풍부한 석탄 자원과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력 용 등 생산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 HOSHINE SILICON(合盛) 등 주요 유기실리콘 기업이 공장을 증설하고 생산능력을 점차 확대해갈 계획을 갖고 있다.

 

<대표적 유기실리콘 기업 생산능력(2021년)>

(단위: 만 톤/년)

 

기업

생산 능력

유기실리콘

HOSHINE SILICON(合盛)

93

WYNCA(新安)

49

XINGFA(興發)

36

DYSILN(東嶽)

30

SANYOU(三友)

20

유기실리콘 가공 제품

GUIBAO(矽寶)

13

RUNHE(潤禾)

8.55

JOINTAS(集泰)

6.86

HONGDA(宏達)

4

CHENGUANG(晨光)

3.75

[자료: 첸잔산업연구원(前瞻究院)]

 

소비 동향

 

baiinfo 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지난 5 간 유기실리콘의 소비 수요는 꾸준히 증가해오다가 최근 부동산, 인프라 건설 부진 영향으로 다소 감소세로 돌아섰다. 

 

<유기실리콘 생산량 및 소비량>

(단위: 만 톤)

 

[자료: baiinfo]

 

baiinfo 따르면 2021 유기실리콘 단말기 수요 중 건축과 전자·전기 분야 점유율이 각각 33.0% 28.8% 가장 높았다유기실리콘 관련 분야가 건축제조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어 유기실리콘의 수요는 실물경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2021년 유기실리콘 소비 동향>

(단위: 만 톤)

 

[자료: baiinfo]

 

수출입 동향

 

현재 중국은 세계 최대의 유기실리콘 생산능력을 보유한 국가로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생산량 비중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중국 내 생산되는 유기실리콘은 주로 내수용이며 전체의 약 20% 가량이 수출되고 있다. 2021년의 경우 수출 비중은 26.5%였다. baiinfo 따르면 중국 유기실리콘은 2010년까지는 상대적으로 수입에 의존했다가 2019년 이후 수출량이 지속 증가해 2020 유기실리콘 수입량은 15만 2,000수출량은 24만 3,000순 수출량은 9만 1,000을 기록했다. 2021 수입량은 13만 4,000톤으로 동기 대비 11.8% 감소했고 수출량은 37만 6,000톤으로 동기 대비 54.7% 증가했으며 순 수출량은 24만 2,000톤으로 동기 대비 165.9%로 크게 증가했다

 

<유기실리콘(HS 3910.0000) 수출입 동향>

(단위: 만 톤, %)

 

수입량

증감률

수출량

증감률

점유율

2022.1~9.

7.6

-28.0

37.3

44%

-

2021

13.4

-11.7

37.6

54.81%

26.5

2020

15.2

11.2

24.3

8.49%

19.0

2019

13.6

13.5

22.4

-15.22%

19.5

2018

12

-0.8

26.4

23.59%

22.2

2017

12.1

-

21.3

-

21.6

[자료: baiinfo]

 

중국의 유기실리콘 수출은 주로 한국, 동남아 지역 및 미국, 중동 지역으로 가장 많다. 중국 대 한국 유기실리콘 수출량은 2019년부터 해마다 증가해 2021 수출량은 77000톤에 달해 중국 유기실리콘 전체 수출량의 20.5% 차지했다.

 

<유기실리콘(HS 3910.0000) 대한 수출 동향>

(단위: 만 톤)

[자료: 중국 해관]

 

유기실리콘 가격 변동 요인 

 

유기실리콘의 업스트림 원자재는 주로 메탈 실리콘이며, 다운스트림 제품에는 실리콘 고무실리콘 오일실리콘 수지 등이 있다. 실리콘 고무와 실리콘 오일은 다운스트림 제품에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건축 및 전자 전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유기실리콘 산업 사슬>

[자료: SMM(上海有色網)]

 

SMM(上海有色網) 따르면 2021 중국의 유기실리콘 업계가 메탈 실리콘에 대한 수요는 898000톤이며 메탈 실리콘이 유기실리콘 원자재 수요에서  40% 차지했다최근   동안 메탈 실리콘에 대한 수요는 전반적으로 지속적인 성장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 유기실리콘 산업 현황 분석  발전 건의(中國有機矽行業現狀分析及發展建議)>(자오리쥔(趙立群), 2022) 따르면 유기실리콘  생산 비용에서 원자재 비용 64.3% 차지했으며 제조 비용이 17.6%, 공공 프로젝트가 16.4% 차지했다원자재 비용에서는 메탈 실리콘이 42% 가장 높다메탈 실리콘 가격의 변동은 유기실리콘 가격에 영향을 준다.

 

한 예로, 메탈 실리콘의 주요 생산지 중 하나인 신장은 코로나19 방역조치로 기업의 조업 중단, 통행 제한이 실시되면서 생산량이 감소했다. 쓰촨, 윈난 지역 역시 전기료 상승 등 생산원가가 높아지며 생산량에 영향을 미쳤다. 메탈 실리콘 생산량이 감소하면 가격이 상승하고 이는 유기실리콘 가격 상승을 초래하는 요인이 된다. 다만, 글로벌 경기 침체, 중국 부동산 리스트 증대 등 대내외 요인으로 유기실리콘 수요가 감소해 재고가 증가하면 가격 상승 요인을 상쇄하였다. 

 

한편 중국 정부는 유기실리콘 제품의 발전을 장려하고 있으며 이에 최근   동안 유기실리콘 기업들의 생산능력이 확대되고 있다. 2021년에 비해 2022 유기실리콘 생산 능력은 60  가까이 늘어 전년 동기 대비 약 30% 증가했다전방 산업 수요가 감소한 상황에서 유기실리콘 기업의 생산 능력이 크게 증가해 재고 압박도 높아지자 기업들은 재고 소화를 위해 유기실리콘 가격을 낮추고 있는 상황이다.

 

정책 시행

 

유기실리콘은 중국 전략적 신흥 산업  신소재 산업의 중요한 부분일 뿐만 아니라 다른 전략적 신흥 산업에서 없어서는 안될 보조재료이기도 중국 정부는 유기실리콘 생산능력 확대를 지원하는 일련의 정책을 도입했다또한 유기실리콘 관련 산업에 대한 장려 정책도 실시했다.

 

<중국 유기실리콘 장려 정책>

 

정책

주요 내용

2021.12

스마트 태양광산업 혁신발전 행동계획(2021-2025)

(智能光伏業創新發展行動計劃(2021-2025年)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녹색에너지 체제 전환 및 태양광 산업 발전 가속화할 계획임. 메탙실리콘, 폴리실리콘 태양광산업에 필요한 실리콘 소재의 중국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2021.12

'14 5개년 계획' 원자재산업 발전계획

(‘十四五’原材料行業發展規劃)

유기실리콘을 포함한 전체 원자재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함. 녹색산업 발전 및 디지털화, 산업시스템 안정화 보장에 대한 목표를 제시함.

2022.02

공업경제의 안정적인 성장 촉진을 위한 정책 통지

(促進工業經濟平穩增長的若幹措施)

태양광 산업 혁신 발전을 위한 특별 조직을 구성하고, 사막지역의 대형 풍력, 태양광 발전기지 건설 계획을 밝힘. 동부지역은 분산형 태양광 발전방식으로 광동, 복건, 저장, 강소, 산동 등은 해상풍력 발전을 추진함.

2022.03

13 전국인민대표 5차회의

(第十三屆全國人民代表大會第五次會議)

탄소중립 정책의 일환으로 태양광 산업발전을 위해 여러 장려 정책을 시행할 것임. 향후 태양광 발전기, 유기실리콘 등 관련 산업의 수요 유망함.

2022.07

도농 건설분야 탄소배출 피크 실시 방안

(建設領域達峰實施方案)

건축 태양광 발전 일체화 건설 추진, 2025년까지 신축 공공기관 건물, 신축공장 옥외 태양광 발전 커버리지가 50% 달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함.

[자료: KOTRA 난징 무역관 자료 종합]

 

국은 일련의 정책을 통해 탄소 배출 피크 및 탄소중립 목표를 설정하고 신에너지, 친환경 에너지 발전을 더욱 가속화할 방침을 발표했다. 또한 장시(江西), 내몽골(蒙古), 윈난(雲南), 산둥(山東), 저장(浙江) 등 생산량이 많은 성시(省市) 정부도 유기실리콘 제품의 발전을 장려한 정책을 속속 발표했다.

 

<중국 주요 성시(省市) 유기실리콘 장려 정책>

 

정책

주요 내용

2021.11

산둥성 화학공업 '14 5개년 계획'

(山東省化工十四五發展規劃)

항공우주, 고속철도, 신에너지차, 반도체, 5G 통신 등에 사용되는 실리콘 고무 신소재 개발 계획을 발표함.

2021.12

몽골 자치구 '14 5개년 계획' 공업과 정보화 발전계획

(蒙古自治區十四五工業和信息化發展規劃)

유기실리콘 계열의 정밀화학 제품을 발전시키고 '14 5개년 계획' 기간 동안 유기실리콘 계열 제품 생산능력을 50만 톤 이상 확대할 계획

2022.07

윈난성 산업 강성 3년 프로젝트(2022~2024)

(雲南省省三年行動2022-2024)

유기실리콘 단량체 중점 발전 및 유기실리콘 다운스트림 생산기업 적극 유치. 2024년까지 80만 톤의 유기실리콘 단량체 생산능력 달성을 목표로 설정함.

[자료: KOTRA 난징 무역관 자료 종합]

 

시사점

 

2021 유기실리콘 가격의 급등으로 중국의 유기실리콘 생산기업이 생산능력 확대에 중점을 두었다. 화타이 선물(華泰期貨)은 보고서에서 향후 5 중국 실리콘 기업의 신규 생산 능력이 잇달아 가동됨에 따라 중국 실리콘 생산량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유기실리콘 소재에 대한 전통 산업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뿐만 아니라 태양광신에너지  에너지 절약  친환경 산업초고압  특고압 그리드 건설스마트 웨어러블 소재, 3D 프린팅  5G  신흥 산업의 발전 추세 또한 향후 유기실리콘의 수요 및 성장을 촉진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보고서는 또한 2025 중국의 실리콘 소비량은  2116000에 달하고, 2021~2025 평균 소비 증가율 10.8% 예상된다고 밝혔다.

 

최근 코로나19 장기화, 우크라이나 사태 및 글로벌 경기 둔화, 금리 인상 등 대내외 환경 변화로 유기실리콘 수요는 감소한데 반해, 기존 재고는 여전히 충분한 상황으로 당분간 유기실리콘의 급격한 가격 상승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게 관련 업계의 목소리다. 다만 경기 회복에 따라 관련 산업의 수요가 살아나면 이에 따라 유기실리콘 가격은 다시 상향 전환될 수 있다. 유기실리콘 수요가 있는 기업은 향후 중국 정부의 정책 변화, 중국 생산기업의 생산동향, 현지 가격변동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료: baiinfo, SMM(上海有色網), 중국 해관첸잔산업연구원(前瞻究院), 화타이선물(華泰期貨), KOTRA 난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최근 유기실리콘 가격 동향 및 영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