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비스킷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2-09-22
  • 출처 : KOTRA

중국 비스킷 시장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 및 다양화, 고급화 수요 확대

해외 및 중국기업 진입 확대로 신제품 개발, 유통경로, 브랜드 등이 경쟁력으로 부상

상품명 HS Code

상품명

비스킷

HS Code

1905.90


시장동향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간식 시장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제품도 다양해지고 있다. 비스킷은 취식이 간편하고 휴대하기 편리하여 중국 간식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간식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비스킷 판매도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비스킷 제품이 다양화, 고급화됨에 따라 크게 1세대, 2세대, 3세대 제품으로 구분한다. 1세대 제품은 주로 끼니 대용으로 간단한 베이킹 공정으로 생산해 식감이 좋은 편이 아니었다. 이 후 비스킷을 끼니 대용이 아닌 간식으로 소비하기 시작하면서 종류가 다양해지고 식감이 개선된 2세대 비스킷이 트렌드로 자리 잡았지만 고당분, 고지방, 고염분 제품이 대부분으로 비만, 소화불량 등의 원인이자 건강하지 않은 간식이라는 인식이 보편화 되었다. 이러한 발전 과정을 거쳐 최근 맛과 건강을 동시에 고려한 3세대 비스킷 제품이 시장에 진출했다. 중국의 경제 발전과 소비 업그레이드에 따라 생겨난 자연스러운 변화로 향후 중국 비스킷 시장의 발전 방향이기도 하다. 

 

유로모니터의 ‘비스킷 업계 현황 보고’에 따르면 중국 비스킷 생산량은 2021년 1,174만 톤, 2022년 1,230만 톤, 2024년 1,437만 톤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향후 2~3년 간 중국 비스킷 시장은 여러 기업들의 경쟁을 거쳐 질적 양적 발전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Euromonitor에 따르면 2013~2027년 중국 비스킷 시장 매출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2014년 매출액은 31,012백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큰 폭(11.1%)으로 증가했다. 다만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은 전년 대비 1.9% 감소한 32,579백만 위안을 기록했으며, 2021년부터 연평균 2% 내외 증가하면서 2027년에는 중국 비스킷 시장 규모가 38,123백만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3-2027년 중국 비스킷 매출액>

(단위: 백만 위안, %)

[자료: Euromonitor]

 

수입동향

 

2016-2021년 6년 동안 중국의 비스킷(1905.90기준) 수입 규모는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2018년 수입액은 356,154천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6.0%의 큰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2020년에는 코로나19 여파로 0.8% 증가했다. 2021년 중국 비스킷(1905.90기준) 수입액은 다시 대폭 성장하여 27.6% 증가한 494,222천 달러를 기록했다.

 

<2016-2021년 중국 비스킷(1905.90기준) 수입액>

(단위: 천 달러, %)

[자료: 한국무역협회]

 

2021년 상위 수입국은 홍콩, 일본, 한국 순으로 최근 3년간 중국 비스킷(1905.90기준)의 대 한국, 일본 수입액이 각각 연간 70%, 30% 이상 증가하며 수입액이 대폭 증가하였다. 반면 대 대만, 말레이시아, 미국, 배트남의 수입액은 지속 하락하면서 중국 비스킷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아지고 있다. 이 외 대 프랑스의 수입액이 157.5%로 대폭 증가한 16,532천 달러를 기록했다. 

 

<2019-2021년 중국 비스킷(1905.90기준) 수입액 Top10 국가(지역)>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

2019

2020

2021

증가율

2021/2020

1

홍콩

198,558

210,959

274,144

30.0

2

일본

18,890

24,554

32,558

32.6

3

한국

7,024

14,043

24,117

71.7

4

태국

16,686

17,110

23,570

37.8

5

대만

32,225

22,674

19,321

-14.8

6

말레이시아

24,004

19,593

18,326

-6.5

7

프랑스

3,415

6,420

16,532

157.5

8

인도네시아

10,554

8,201

12,338

50.4

9

미국

16,619

16,531

10,810

-34.6

10

베트남

12,138

9,323

9,015

-3.3

 

합계

384,046

387,258

494,222

27.6

[자료: 한국무역협회]

 
2016-2021년 기간 동안 중국 비스킷(1905.90기준)의 대한국 수입이 큰 변동세를 보였다. 2016년, 2017년 연속 2년 동안 대 한국 수입이 큰 폭으로 감소한 뒤 2018년에 18.7% 증가하였고 2019년 다시 12.3% 큰 하락세를 기록했다. 2020년부터 다시 성장세 회복되고 2020년, 2021년 각각 99.9%, 71.7%로 크게 증가하였다.

 

<2016-2021년 중국 비스킷(1905.90기준) 대한국 수입액>

(단위: 천 달러, %)

[자료: 한국무역협회]

 

경쟁동향

 
현재 중국 비스킷 시장은 업체 수가 많고 경쟁이 치열한 상황으로 업체 규모, 품질, 브랜드 인지도 등에서 차이가 크다. 현지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기업은 크래프트, 오리온, 네슬레 등 해외기업들이며 있으며, 중국 브랜드인 광둥 자스리식품(嘉士利食品), 푸젠 다리식품(达利食品) 등 기업은 아직까지는 해외 기업들과 경쟁력 차이가 있다. 이 외 중국 중소형 기업은 대도시를 제외한 지방에서 주로 생산 및 판매하면서 국내외 리딩 브랜드와 격차가 큰 편이다.

 

<중국 비스킷 시장 주요 브랜드>

브랜드

상품

국가(지역)

유형

가격(위안)

오레오

미국

샌드 비스킷, 웨하스 등

7.9~89

캉스푸

(康师傅)

대만

샌드 비스킷, 소다크래커, 에그 롤 등

6.9~79

자스리

(嘉士利)

중국

쿠키, 소다크래커, 웨하스 등

7~39.9

하오츠뎬

(好吃点)

중국

쿠키, 웨하스 등

3.9~69.9

자둔

(嘉顿)

홍콩

웨하스, 소다크래커, 쿠키 등

6.9~69

타이핑

(太平饼干)

영국

소다크래커

6.9~59.9

크래프트 취둬둬

(亿滋食品 趣多多)

미국

쿠키

9~99.9

glico

일본

빼빼로, 야채 비스킷 등

6.9~128

네슬레

스위스

웨하스

17.5~89.9

오리온

한국

파이, 샌드 비스킷 등

9.9~66

[자료: 타오바오, KOTRA상하이무역관 정리]

 

유통구조 및 관세율

 

비스킷의 유통방식은 전통적인 오프라인 매장 판매와 온라인 전자상거래 등 2가지로 구분된다. 기존에는 오프라인 소도매상을 통한 판매가 주류였으나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소비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Euromonitor 통계에 따르면 중국 비스킷의 오프라인 판매 비중은 2017년 89.0%에서 2022년 82.6%로 감소한 반면, 온라인 판매는 2017년 11.0%에서 2022년 17.4%로 상승하였다. 

 

2022 중국의 대한국 비스킷(1905.90.00기준) 수입 관세율은 최혜국세율(MFN)에 따른 10.0%가 적용된다. 


한중FTA 협정세율

최혜국세율(MFN)

일반세율

12.0% CIF

10.0% CIF

80.0% CIF

 [자료: 중국자유무역구서비스망(中国自由贸易区服务网)]

 

<한중FTA 관세 양허 내용(1905.90.00기준)>

세율(%)

MFN

20

2015

19

2016

18

2017

17

2018

16

2019

15

2020

14

2021

13

2022

12

2023

11

2024

10

2025

9

2026

8

2027

7

2028

6

2029

5

2030

4

2031

3

2032

2

2033

1

2034

0

[양허유형: 20원산지 상품의 세율이 협정 발효일부터 20년 동안 균등하게 감소하여 제20년째 1월 1일부터 관세 철폐】]

 

전망 및 시사점 

 

현지 주요 비스킷 업체 관계자는 "중국 비스킷 시장은 비스킷 제품 판매가 증가하면서 시장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시장이 유망하더라도 브랜드가 자리를 잡기는 쉽지 않을 "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브랜드뿐 아니라 기존 브랜드도 시장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브랜드 차별화 등 노력이 끊임없이 필요하다. 

현재 중국 비스킷 산업은 고도의 발전 단계에 접어들면서 생산 공정과 생산 설비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웰빙, 고급화, 다양화된 소비 트렌드에 따라 제품 혁신, 유통채널 관리, 브랜드 구축 등에서 차별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자료: Euromonitor, 한국무역협회, 타오바오, KOTRA상하이무역관 자료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비스킷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