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통계수치로 보는 홍콩 물류산업 동향
  • 경제·무역
  • 홍콩
  • 홍콩무역관 김경아
  • 2022-08-26
  • 출처 : KOTRA

2020년 기준 전체 GDP의 19.8% 차지

해운업 관련 기업 대상 세금 감면, 항공 인프라 확충 등 다양한 물류산업 육성정책 마련

홍콩 물류산업 규모

 

홍콩의 무역 및 물류산업은 4대 핵심산업(금융, 무역·물류, 관광, 전문서비스) 중 하나로 2020년 무역·물류산업의 부가가치는 5082억 홍콩달러(약 658억2900만 미 달러)를 기록했으며, 전체 GDP의 19.8%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물류산업은 2020년 기준 828억 홍콩달러(약 107억2500만 미 달러)의 부가가치를 창출 GDP의 3.2%를 기록했으며, 총 17만5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홍콩 항구 개황

 

홍콩 항구는 세계에서 가장 바쁘고 효율적인 국제 컨테이너 항구 중 한 곳으로 전 세계 600여 개 목적지와 연결 있다. 2021년 기준, 홍콩은 세계 10대 항만 중 9위를 차지했으며, 컨테이너 물동량은 약 1800만TEU로 집계됐다.

 

<2021년 세계 10대 항만 순위>
(단위: 천 TEU)

순위 2021년(2020년)

항만

물동량

1(1)

상하이

47,033

2(2)

싱가포르

37,468

3(3)

닝보-저우산

31,079

4(4)

선전

28,768

5(5)

광저우

24,467

6(6)

칭다오

23,714

7(7)

부산

22,706

8(8)

톈진

20,269

9(9)

홍콩

17,798

10(10)

로테르담

15,300

[자료: 홍콩 해운항구국(Hong Kong Maritime and Port Board)]

 

홍콩 항구는 작업 구역별로 콰이칭 컨테이너 터미널(Kwai Tsing Container Terminals), 미드 스트림 사이트(Mid-Stream Sites), 툰문 리버 트레이드 터미널(Tuen Mun River-Trade Terminals)로 구분된다.

 

콰이충과 칭이섬(Kwai Chung-Tsing Yi) 사이에 위치해 있는 콰이칭 컨테이너 터미널은 5개의 민간기업(Asia Container Terminals, COSCO-HIT, Goodman DP World, HIT, Modern Terminals)이 운영하는 9개의 터미널로 구성된다. 면적은 279헥타르로 총 24개의 정박지가 있다. 홍콩의 미드 스트림 사이트들은 총 면적이 33헥타르로 바지선과 컨테이너 트럭·화물차 사이의 화물 하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툰문(Tuen Mun)에 위치해 있는 툰문 리버 트레이드 터미널은 홍콩과 주강 삼각주*(Pearl River Delta)를 오가는 컨테이너와 벌크 화물을 재편하고 통합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면적은 65헥타르로 비교적으로 작다.

*주: 중국 남부(광저우시, 선전시, 홍콩, 마카오)를 흐르는 강

 

홍콩 해운항구국(Hong Kong Maritime and Port Board)에 따르면, 대부분의 컨테이너(약 81.6%)는 9개의 터미널로 구성된 콰이칭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처리되며 나머지 컨테이너는 미드 스트림 사이트와 툰문 리버 트레이드 터미널(약 18.4%)에서 처리된다.

 

<작업 구역별 홍콩 컨테이너 처리량 비율>

(단위: %)

2022

Kwai Tsing Container Terminals

Mid-Stream and Other Berths

총계

해운(Seaborne)

강운(River)

전체

해운(Seaborne)

강운(River)

전체

1

77.9

8.0

85.9

3.5

10.5

14.1

100

2

78.1

8.2

86.3

2.9

10.8

13.7

100

3

66.4

12.3

78.7

3.5

17.9

21.3

100

4

61.1

14.5

75.5

3.9

20.6

24.5

100

[자료: 홍콩 해운항구국]

 

홍콩 항만 물류 동향

 

코로나19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해 2022년 1~4월 홍콩의 항만 화물 물동량 누계는 6000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했다.

        

<2022년 1~4월 홍콩 항만 화물 물동량>

(단위: 천 TEU, %)

2022

항만 화물 물동량(증감률)

1

13,766(-25.3)

2

11,804(+4.5)

3

16,836(-13.4)

4

17,886(-3.5)

누계

60,292(-11)

주: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임

[자료: 홍콩 해운항구국]

 

2022년 1월 항만 물동량이 감소한 만큼 홍콩의 컨테이너 처리량이 전년 동기 대비 20.6% 급감한 122만 TEU를 기록했다. 그러나 코로나19 확산세가 점차 줄어들면서 4월 컨테이너 처리량은 전년 대비 6.5% 증가하며 다소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1~4월 홍콩 컨테이너 처리량>

(단위: 천 TEU, %)

2022

내항 컨테이너 처리량

외항 컨테이너 처리량

총 처리량

1

634(-20.7)

587(-20.4)

1,221(-20.6)

2

550(+6.1)

501(-0.05)

1,051(+3.1)

3

778(-5.5)

656(-10.7)

1,434(-7.9)

4

843(+5.3)

773(+8)

1,616(+6.5)

주: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임

[자료: 홍콩 해운항구국]

 

홍콩 공항 물류 동향

 

세계적으로 유명한 홍콩 국제공항은 2021년 기준 미국의 멤피스(Memphis) 공항을 앞지르고 세계 최대의 화물 물동량 처리로 1위를 차지했다.

 

<화물처리 물동량 세계 10대 공항 순위>

(단위: Metric Tonnes, %)

순위 2021년(2020년)

공항

물동량(증감률)

1(2)

홍콩

5,025,495(+12.5)

2(1)

멤피스

4,480,465(-2.9)

3(3)

상하이

3,982,616(+8.0)

4(4)

앵커리지

3,555,160(+12.6)

5(6)

인천

3,329,292(+18.0)

6(5)

루이빌

3,052,269(+4.6)

7(7)

타이페이

2,812,065(+20.0)

8(8)

로스앤젤레스

2,691,830(+20.7)

9(11)

도쿄

2,644,074(+31.1)

10(9)

도하

2,620,095(+20.5)

주: 전년 동기 대비 

 [자료: Airports Council International]

 

2021년 오미크론 변종이 나타나 비행이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화물수요는 증가했다. 홍콩 국제공항에 따르면, 화물 처리량이 증가한 것은 환적량이 전년 대비 증가한 데 따른 것이며 북미, 유럽, 동남아시아를 오가는 전체 화물도 증가했다고 밝혔다.

 

2022년에는 홍콩 내 코로나19 제5차 확산으로 인해 홍콩으로 오가는 항공운송이 지연되면서 1~6월 홍콩의 항공 화물 물동량 누계가 210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8% 감소했다. 글로벌 물류기업 DHL에서 발표한 'DHL 홍콩 항공운송 물류지수(DHL Hong Kong Air Trade Leading Index)'에 따르면, 2022년 3분기부터 홍콩의 항공운송산업은 내수회복에 힘입어 호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국제 연료가격 상승 지속에 따른 항공 화물 운임의 변동성이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2년 3분기 DHL 홍콩 항공운송 물류지수>

[자료: DHL, 홍콩 생산력촉진국(Hong Kong Productivity Council)]

 

홍콩 수출입 실적 대비 운송수단별 대외상품 거래량

 

2022년 2월 이후 육로를 제외한 항공, 해운, 강운을 통한 수입 상품 거래량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2월 당시 현지 물류회사에 따르면 선전과 홍콩 접경지대를 오가는 화물차 기사들의 확진 및 밀접 접촉자 격리로 전체 기사의 약 10%만 운행이 가능한 상태라고 다.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중국–홍콩 국경 간 운전자 인력 수급 차질과 트러킹 지연으로 육로를 통한 거래량이 지속 감소했으며 국경 간 화물 운송을 해운 및 강운 운송으로 대체다.

 

<2022년 홍콩 운송수단별 대외상품 거래량(수입)>

(단위: 백만 홍콩달러, %)


항공

해운

육로

강운

기타*

전체

1

209,027

(+6.9)

53,833

(-0.4)

182,724

(+16.8)

4,682

(-6.9)

2,636

(+21.6)

452,901

(+9.6)

2

198,250

(+15.4)

43,598

(+15.3)

97,548

(-12.7)

4,504

(+68.3)

1,999

(+9.7)

345,898

(+6.2)

3

252,287

(+16.0)

74,878

(+48.6)

67,284

(-58.2)

13,127

(+168.2)

2,453

(+4.4)

410,029

(-6.0)

4

238,452

(+13.6)

79,282

(+61.0)

86,284

(-42.2)

18,870

(+230.8)

2,697

(+8.4)

425,585

(+2.1)

5

237,959

(+15.4)

62,407

(+22.9)

104,988

(-32.1)

16,579

(+219.7)

2,881

(+17.5)

424,812

(+1.3)

6

248,550

(+15.8)

58,058

(+30.1)

122,896

(-31.4)

16,608

(+190.6)

3,130

(+5.5)

449,241

(+0.5)

주: *기타는 직접 운반과 소포 우편을 포함,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임

[자료: 홍콩 통계청]

 

수출의 경우 2022년 2~5월 전체 수출 상품거래량은 전체 수입 상품 거래량보다 평균 9% 정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나며, 특히 6월에는 약 15% 하회한 것으로 보인다.

 

<2022년 홍콩 운송수단별 대외상품 거래량(수출)>

(단위: 백만 홍콩달러, %)


항공

해운

육로

강운

기타*

전체

1

177,159

(+29.2)

59,929

(+14.1)

211,371

(+12.1)

10,688

(+13.2)

401

(+10.0)

459,549

(+18.4)

2

127,291

(+12.0)

41,686

(-0.4)

135,587

(-9.2)

8,984

(+49.6)

243

(-18.6)

313,790

(+0.9)

3

163,595

(+17.2)

68,069

(+47.3)

121,823

(-42.8)

18,953

(+88.6)

327

(-17.0)

372,767

(-8.9)

4

167,999

(+25.4)

56,866

(+17.9)

146,667

(-23.5)

17,148

(+60.0)

323

(-5.0)

389,003

(+1.1)

5

161,043

(+15.6)

50,992

(+9.4)

157,676

(-19.9)

18,072

(+69.2)

355

(+6.8)

388,137

(-1.4)

6

150,477

(+5.3)

47,512

(+0.1)

168,255

(-18.1)

14,032

(+36.2)

432

(+10.6)

380,708

(-6.4)

주: *기타는 직접 운반과 소포 우편을 포함,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임

[자료: 홍콩 통계청]

 

2022~23년도 홍콩 정부의 물류산업 육성정책

 

홍콩 해운 항만국은 스마트 항만(Smart Port)* 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 전담팀을 구성했다. 스마트 항만 개발을 통해 항만 시스템이 디지털화되면 화물 처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 항만의 자동화·지능화를 통 항만의 다양한 정보가 실시간 연계되고 물류 흐름이 최적화되는 항만


또한, 홍콩 해운 항만국은 더 많은 해양 운송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해 해운업 관련 기업들에 세금 할인 혜택을 확대 제공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기존에 당국은 2020년부터 선박 임대업자와 선박 임대업 관리자의 적격 소득에 대한 비과세 및 50% 세금 감면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2021년에는 해상 보험 관련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세금 감면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홍콩의 항공 화물운송 부문은 항공 노선 네트워크가 잘 구축 있고, 간단하고 빠른 통관 절차로 세계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향후 홍콩 정부는 대만구(Great Bay Area, GBA)와의 글로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각종 수송기관을 통합할 계획이다. 홍콩 공항 당국(Airport Authority)은 중국 광둥성 중남부에 위치한 둥관에 홍콩 국제공항 상류 물류 단지(Upstream HKIA Logistics Park) 및 홍콩 국제공항에 해공 연계 통합 화물터미널(Airside Intermodal Cargo Handling Facility)을 설치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중국 본토에서 수출되는 상품이 사전 보안검사를 마친 후 홍콩으로 원활하게 운송될 수 있으며 이후 추가 보안심사를 거치지 않고 홍콩 국제항공망을 통해 모든 해외 행선지로 직송 양질의 편리한 운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홍콩 국제공항의 새로운 북활주로로 지정된 제3 활주로(Three-Runway System)가 2022년 7월 8일에 공식 개장 운영되고 있다. 2011년부터 논의 2016년에 건설이 시작된 홍콩 국제공항의 제3활주로 프로젝트는 기존 공항 부지 북쪽에 제3 활주로를 구축하고, 터미널2의 확장과 T2 탑승동 건설, 무빙워크 및 자동 수화물 처리 시스템 개발 등을 포함하는 사업으로 전체 프로젝트는 2024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시사점

 

2022년 1분기 코로나19 오미크론 확산으로 홍콩-중국 간 육로 트러킹이 지연되고, 강화된 코로나19 검역 조치로 물류 대란의 우려가 있었다. 하반기에는 홍콩의 출입국 제한 완화 및 내수시장 회복 전망 등에 따라 물류산업이 다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국제 연료 가격 상승,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그리고 미중 갈등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우려됨에 따라 안정적인 산업 공급망 구축을 위한 기업과 정부의 협력이 중요한 시기이다.

 

무역 및 물류산업이 홍콩의 4대 중심 산업인 만큼 현지 정부는 해운업 관련 기업 대상 세금 감면, 항공 인프라 확충 등 다양한 물류산업 육성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중국 및 동남아 시장의 진출 거점으로 홍콩을 택하고 홍콩을 중계 무역항으로 활용하려는 한국 기업들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Airports Council International, DHL, 홍콩통계청, 홍콩 해운항구국(Hong Kong Maritime and Port Board), 홍콩 생산력 촉진국(Hong Kong Productivity Council), 홍콩 공항관리국(Airport Authority), KOTRA 홍콩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통계수치로 보는 홍콩 물류산업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