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최근 홍콩 경제무역 동향
  • 경제·무역
  • 홍콩
  • 홍콩무역관 Ivy Szeto
  • 2022-05-16
  • 출처 : KOTRA

오미크론 확산으로 2022년 1분기 마이너스 실질성장률 기록

주요국 통화정책,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팬데믹 확대 등이 홍콩 경제 도전요인

20221분기 홍콩 주요 경제지표 동향

 

홍콩 경제는 2020년 6.5% 마이너스 성장(실질 GDP 기준)에 이어 2021년 중 전년대비 6.3% 성장했으며, 2022년에는 정부의 여러 경기진작 조치에 힘입어 1~2%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홍콩 통계청이 5월 초 발표한 홍콩 경제동향에 따르면, 2022년 1분기 홍콩 경제는 오미크론의 급속한 확산에 따른 홍콩 대내외 소비 감소로 인해 실질 GDP 기준 성장률이 -4%를 기록했다주요 GDP 구성요소별로 보면, 민간소비 지출이 2021년 4분기의 5.3% 증가와 달리 20221분기에는 실질 기준으로 5.5% 감소했으며 고정자본 형성의 경우 같은 기간 대비 8.4% 감소해 전 분기(-0.6%)에 이어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

 

상품 총수출은 실질기준으로 2021년 4분기의 13.5% 증가와 달리 2022년 1분기에 4.5% 감소했으며 2021 49.9% 증가한 상품 수입 역시 5.9% 감소했다. 서비스 수출은 실질 기준 2.8% 감소(2021 4 6.9% 증가), 서비스 수입은 실질 기준 3.4% 감소(2021 44.5% 증가) 2021년 성장세를 보였던 대부분의 경제 지표가 20221분기에는 마이너스 성장으로 전환됐다.

 

<주요 지표 전년 대비 증감률 동향>

(단위: %)

 

2019

2020

2021

2021.Q1

2021.Q2

2021.Q3

2021.Q4

2022.Q1

GDP

-1.7

-6.5

6.3

8.0

7.6

5.4

4.7

-4.0

민간소비

-0.8

-10.5

5.4

2.3

7.3

6.5

5.3

-5.5

정부지출

5.1

7.9

4.6

6.3

2.8

5.1

4.1

6.0

고정자본형성

-14.9

-11.5

9.8

5.4

23.8

13.0

-0.6

-8.4

상품수출(fob)

-5.5

-1.4

18.9

30.6

20.5

14.2

13.5

-4.5

상품수입(fob)

-8.2

-3.2

17.4

23.3

21.7

16.7

9.9

-5.9

서비스수출

-9.6

-34.8

1.5

-8.3

3.9

5.8

6.9

-2.8

서비스수입

0.1

-32.2

1.7

-11.1

10.8

5.9

4.5

-3.4

: 2022년 수치는 잠정치

[자료: 홍콩 통계청]

 

이러한 마이너스 성장의 원인은 홍콩 경제가 1분기 중 코로나 5차 파동으로 인해 대외적으로는 세계 수요 증가율이 둔화되고 국경 간 화물운송이 불안정해지면서 수출 증가를 방해한 점, 그리고 대내적으로는 홍콩인들의 경제 활동과 전망이 악화된 점을 들 수 있다.

 

홍콩 정부는 앞으로도 글로벌 경제가 주요국 중앙은행의 긴축정책,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팬데믹 지속, 미중갈등 지속 등으로 단기적으로 큰 도전에 직면해있다고 언급하고 그럼에도 중국 정부의 지원으로 홍콩 코로나 상황이 안정되고 있으며, 홍콩 정부의 소비 바우처 지급 및 고용 유지 보조금 등의 지원 조치가 홍콩 내수 회복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콩의 일부 기업들은 1분기 망 성장폭이 예상을 크게 벗어남에 따라 2022GDP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을 고려 중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최대 우려 요인은 GDP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무역과 민간소비로, 대외적인 여건이 회복되지 않는 한 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보고 있다.

 

홍콩 대외무역 동향

 

역시 홍콩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홍콩의 1분기 중 상품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하고 수입은 2.9% 증가했다(실질 기준은 수출 -4.5%, 수입 -5.9%). 3월 한달 동안은 전년 동기 대비 8.9% 감소, 수입은 6% 감소를 기록했다. 홍콩 정부는 대외 수요 감소와 중국과의 국경 화물 흐름의 불안정성이 주된 이유라고 밝혔다.

 

<20221분기 홍콩의 상품 무역 동향>

(단위: 백만 홍콩 달러, %)

 

20221~3

20223

금액

전년대비 증감률

금액

전년대비 증감률

수출

1,145,951

3.4

372,767

-8.9

수입

1,208,664

2.9

410,029

-6.0

[자료: 홍콩 통계청]

 

1분기 기준 주요 수출대상국 중 특히 인도(+45.8%), 대만(+37%), 싱가포르(+30.9%), 아랍에미리트(UAE)(+20.7%)향 수출이 크게 증가했으나 대중국 수출은 0.9% 감소했다. 이는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홍콩 및 중국 간 물류 불안정에 기인한 것이다. 수입의 경우 특히 대만(+32.4%), 필리핀(+10.8%), 미국(+10.7%), 태국(+10.5%)이 증가한 반면, 일본(2.7%)과 중국(2.5%)은 감소했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했다.

 

<홍콩의 10대 상품 수출대상국>

(단위: 백만 홍콩 달러, %)

국가명

20221~3

금액

증감률

비중

총수출

1,145,951

3.4

100

중국

654,308

-0.9

57.1

미국

70,695

14.6

6.2

대만

43,197

37.0

3.8

인도

43,134

45.8

3.8

베트남

30,235

20.4

2.8

일본

29,987

10.7

2.6

싱가포르

19,538

30.9

1.7

UAE

19,386

20.7

1.7

한국

18,731

10.8

1.6

네덜란드

17,746

2.3

1.5

[자료: 홍콩 통계청]

 

<홍콩의 10대 상품 수입대상국>

(단위: 백만 홍콩 달러, %)

국가명

20221~3

금액

증감률

비중

총 수입

1,208,664

2.9

 

중국

499,272

-2.5

41.3

대만

151,835

32.4

12.6

싱가포르

104,434

4.1

8.6

한국

75,338

6.9

6.2

일본

61,654

-2.7

5.1

미국

53,305

10.7

4.4

말레이시아

41,741

3.0

3.4

베트남

29,938

6.9

2.5

태국

24,371

10.5

2.0

필리핀

21,067

10.8

1.7

[자료: 홍콩 통계청]

 

상품별로 보면, 전기기기 및 부품이 수출입에서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수출의 경우 1분기 중 과학 및 통제기기가 특히 증가했으며(56.1%), 통신 및 음성녹음재생기기(-26.7%), 비철금속(-50%)이 크게 감소했다. 최대 수출품목군은 전기기기 및 부품에 이어 사무용 기기 및 자료 자동처리기기 품목군과 통신 및 음성 녹음재생기기군이 11% 점유율로 비슷한 수준을 차지하고 있었다.

 

수입의 경우 1분기 중 통신 및 음성녹음 재생기기(-22%)를 제외하고는 10대 수입품목 모두가 수입이 늘었다. 수입품목군 구성도 수출과 비슷하게 전기기기 및 부품, 통신음성 녹음재생기기, 사무용 기기 및 자료 자동처리기기, 신변장식용품 및 귀금속류 등의 순이었다.

 

<홍콩의 10대 주요 상품 수출 현황>

(단위: 백만 홍콩 달러, %)

품목군

2022년 1~3

금액

증감률

비중

총수출

1,145,951

3.4

100 

전기기기 및 부품

560,821

12.4

48.9

사무용기기 및 자료자동처리기기

132,710

17.1

11.6

통신 및 음성녹음재생기기

130,951

-26.7

11.4

잡제품(신변장식용품보석 등)

55,288

9.3

4.8

비금속 광물 및 제품

44,085

5.4

3.8

과학 및 통제기기

37,602

56.1

3.3

광학기기시계

24,074

5.3

2.1

발전기기

21,487

7.9

1.9

의류 및 액세서리

13,298

-5.9

1.2

비철금속

12,109

-50.1

1.1

[자료: 홍콩 통계청]

 

<홍콩의 10대 주요 상품 수입 현황>

(단위 : 백만 홍콩 달러, %)

품목군

20221~3

금액

증감률

비중

총수입

1,208,664

2.9

100 

전기기기 및 부품

564,476

9.8

46.7

통신 및 음성녹음재생기기

135,020

-22.1

11.2

사무용기기 및 자료자동처리기기

106,306

19.8

8.8

잡제품(신변장식용품, 보석 등)

65,774

1.8

5.4

비금속 제품

39,826

2.0

3.3

과학 및 통제기기

34,327

42.3

2.8

광학기기, 시계

26,087

7.9

2.2

발전기기

24,855

19.2

2.1

원유, 석유화학제품

18,197

39.7

1.5

화장품, 청소용품, 방향제 등

17,769

7.6

1.5

[자료: 홍콩 통계청]

 

기타 경제지표 동향

 

홍콩의 1분기 소매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7.6% 감소했다. 특히 코로나 5차 파동이 심했던 3월에 감소폭이 컸다. 온라인 거래가 지속적으로 늘어 20221분기 중 홍콩의 온라인 소매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36.3% 증가했다품목군별로 1분기 소매판매 동향을 보면, 식음료의 경우(슈퍼마켓에서의 판매를 제외한 매출) 전년 동기 대비 2.3% 감소했으며 슈퍼마켓에서의 판매는 6.5% 증가했다. 의류, 신발 및 관련 액세서리도 23.6% 감소했고 내구성 소비재(자동차, 가구, 전기제품 등) 판매도 13% 감소했다. 백화점 매출은 12.6% 감소했고 귀금속·시계·신변장식용품은 20.6% 감소했다.

 

<소매 판매별 주요 품목군 동향>

(단위: 백만 홍콩 달러, %)

품목군

20221~3

금액

증감률

식품, 음료, 담배(슈퍼마켓판매 제외)

9,793

-2.3

 - 신선/냉동 어류 및 육류

3,679

-10.3

 - 신선 과일 및 야채

986

17.2

 - 과자류

2,468

2.4

 - 기타

2,379

2.7

 - 음료

281

-21.8

슈퍼마켓

14,346

6.5

의류, 신발, 관련 제품

7,515

-23.6

 - 의류

6,461

-22.4

 - 신발 및 관련 액세서리

1,054

-30.5

내구성 소비재

14,688

-13.1

 - 자동차 및 부품

3,394

-20.0

 - 가구 및 관련제품

1,545

-16.8

 - 전기기기 등

9,749

-9.7

백화점

6,995

-12.6

신변장식용품, 시계, 귀금속 등

7,689

-20.6

안경점

408

-24.6

의약 및 화장품 판매점

6,147

1.8

, 신문, 문구 및 선물용품 판매점

913

-15.1

[자료: 홍콩 통계청]

 

시사점

 

20221분기 홍콩 내 오미크론 대규모 확산으로 인해 경제가 크게 위축되었다. 20224월부터 홍콩 정부는 소비 바우처 지급과 함께 일부 사회적 거리 두기 조치 완화를 통해 민생 회복을 추진하고 있으며 경제 활성화에 노력하고 있다. 향후 중국 본토의 코로나19 확산 상황 및 미국 등 주요국의 통화정책 등에 따라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기업들은 이러한 경제 변화 요인을 지속적으로 관찰해 향후 글로벌 경제 흐름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자료: 홍콩 통계청, KOTRA 홍콩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최근 홍콩 경제무역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