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이집트 폴리프로필렌 시장동향
  • 상품DB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신준열
  • 2022-05-16
  • 출처 : KOTRA

이집트 자체생산량 절반 이상 수출에 할당, 수입수요 있는 편

한국산 제품의 우수한 품질 이미지를 활용해 시장에 적극 진출해야

상품명 및 HS 코드

 

폴리프로필렌으로 HS 코드 390210에 해당한다.

 

시장규모 및 동향


폴리프로필렌은 환경호르몬을 배출하지 않아 안전한 플라스틱으로 알려진 소재로 플라스틱용기, 노끈, 가전제품 등에 활용되는 원료이다. 이집트는 폴리프로필렌 생산국으로 이집트 정부의 수출장려 기조에 따라 생산량의 50% 이상을 터키, 라틴아메리카 등으로 수출하고 있다. 이에 현지 필요분을 타국으로부터 수입해서 오는데 최근 러-우 사태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불안정해짐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수입가의 변동폭이 커지고 있는 모양이다.


이집트에서는 ‘Egyptian Propylene & Polypropylene Company(EPPC)’와 ‘Oriental Petrochemical for Polypropylene’ 두 공장에서 폴리프로필렌을 생산하고 있다. EPPC는 투자금 8억1백만 달러의 생산공장으로 2011년 기준 연간 3만 5천 톤의 폴리프로필렌과 폴리플렌을 생산하고 있다. Oriental Petrochemicals은 수에즈만 소쿠나 산업단지에 생산공장을 가동하고 있으며, 2001년 기준 TPA(tpa, Tonnes per Annum)당 16만 톤의 폴리프로필렌을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한편, 이집트 정부에서 자국 생산 폴리프로필렌의 50% 이상을 수출용을 할당하여, 이집트 폴리프로필렌 수입규모를 통해서도 시장규모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이집트 폴리프로필렌 수입동향>

(단위: US$ 천, %, T)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0.11월까지

2021.11월까지

수입액

332,908

452,451

397,947

370,914

524,606

증감률

Δ5.4

Δ12

Δ6.8

41.4

수량

459,414

377,944

364,681

346,241

129,371

[자료: Connect by IHS Markit – CAPMAS]

 

이집트는 천연가스 자급자족국으로 수에즈만 부근에 플라스틱 생산공장을 가동 및 신설해 플라스틱 산업 육성을 위해 힘쓰고 있다. 일부 공장 프로젝트가 2020/2021회계연도에 발표되어 향후 이집트내 플라스틱 원재료 생산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6월, Red Sea Refining and Petrochemicals社가 10억5000만 달러규모의 아인소쿠나 생산공장 프로젝트에 착수한 바 있다. 글로벌 리서치그룹 Fitchsolution은 해당 공장을 통해 TPA당 50만 톤의 폴리프로필렌이 생산될 것으로 예상하며 2025년에야 실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이집트에서 Fiber Polypropylen, Raffia Polypropylen, Biaxially-Oriented Polypropylene (BOPP) Film의 3종류의 폴리프로필렌이 생산되고 있다. Polypropylene fiber, 또는 PP는 카페트 자재로 주로 사용되며 폴리프로필렌 함량이 85% 정도되는 합성섬유 형태이다. PP raffia는 폴리프로필렌을 리본 모양으로 배열한 합성품이다. BOPP films은 쉽게 압축될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이 강하고 투명도와 항상성이 있어 전 세계 산업자재로 널리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형태 중 하나이다.

 

이집트 수입동향 대한 수입규모

 

<3 국별 폴리카보네이트 수입규모>

(단위: US$ , %)

순위

국가

수입액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0.11월까지

2021.11월까지

증감률

(YTD 20~21)

2019년

2020년

1

사우디아라비아

308,695

278,456

258,039

330,414

28.1

68.2

70

2

아랍에미리트

83,251

59,074

55,264

102,198

84.9

18.4

14.8

3

오만

21,944

15,099

14,008

13,827

Δ1.3

4.9

3.8

4

벨기에

11,700

10,627

10,030

12,383

23.5

2.6

2.7

5

쿠웨이트

2,793

7,023

7,023

3,080

Δ56.1

0.6

1.8

6

대한민국

3,335

3,570

3,420

5,432

58.8

0.7

0.9

7

네덜란드

2,829

2,646

2,609

5,520

111.6

0.6

0.7

8

독일

2,380

2,504

2,445

391

Δ84

0.5

0.6

9

이탈리아

2,156

2,285

2,178

1,874

Δ13.9

0.5

0.6

10

대만

1,558

1,718

1,695

2,660

56.9

0.3

0.4

총 합

452,451

397,947

370,914

524,606

41.4

100

100

주: 총 수입액은 상위 10개국 수입액의 합과는 다름

[자료: GTA/Connect by IHS Markit – CAPMAS]

 

<바이어 인터뷰로 보는 국별 수입사유-사우디아라비아>

수출국 / 브랜드

사우디아라비아 / Aramco,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SABIC),

현지 에이전트

LyondellBasell 이집트 대표사무소

선호사유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보조금 혜택을 입어 비교적 낮은 가격의 폴리프로필렌을 공급하고 있으며 이집트 시장에서 가격경쟁력이 높은 업체이다.

[자료: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체수집]

 

<바이어 인터뷰로 보는 국별 수입사유-아랍에미리트>

수출국 / 브랜드

아랍에미리트 / Borouge (Abu Dhabi Polymers Company Ltd.)

현지 에이전트

Borouge Egypt LLC

선호사유

5백만 톤의 폴리프로필렌 생산능력을 지닌 업체로 2025년 생산량을 640만 톤까지 늘릴 계획이다. 많은 생산량을 장점으로 이집트 시장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대체공급선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집트 수입업체들도 공급선을 다양화하고자 아랍에미리트 업체와 거래를 지속하고 있다.

[자료: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체수집]

 

<바이어 인터뷰로 보는 국별 수입사유-오만>

수출국 / 브랜드

오만 / Oman Oil Refineries and Petroleum Industries Company (ORPIC)

현지 에이전트

Elsalam Plastic (Importer)

선호사유

2018년 오만 소하르 지역에 공장을 설립해 300 KTA 규모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LyondellBasell의 Spheripol 공정 방식*을 채택해 제품의 질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업체이다.

 * 촉매 및 원료주입, 중합, 정제로 이루어진 공정방식으로 전 세계 100이상의 생산라인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의 수지를 생산할 수 있는 공정과정

[자료: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체수집]

 

<한국으로부터의 폴리프로필렌 수입 동향>

(단위: US$ , %, T)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0.11월 까지

2021.11월 까지

수입액

4,254

3,335

3,570

3,420

5,432

증감률

224.8

7

Δ4.2

58.8

수량

2,808

2,006

2,912

2,759

11,672

[자료: GTA/Connect by IHS Markit – CAPMAS]


이집트 시장 내 한국 산 화학제품의 우수한 품질이 알려져 한국산 폴리프로필렌을 수입하려는 거래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특히 이집트 업체들 간에 롯데케미칼을 비롯 효성, 엘지케미칼, SK등 한국 회사에 대한 인식이 널리퍼져서 한국산 제품 수입으로 까지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쟁동향

 

<주요 경쟁기업>

(단위: US$ 천, %)

브랜드

원산지

가격

점유율

Aramco

사우디아라비아

1.6~1.9

30

Borouge

아랍에미리트

15

Luban

오만

5

: 시장점유율은 바이어 인터뷰에 근거한 추산치임

[자료: Namaa Egypt for Trading and Agencies 및 사진은 각 회사 홈페이지]

 

위 업체들 외에도 Vinmar(미국), Ibn Zahr(Saudi Arabia), Sumitomo(싱가포르) 등 다양한 국적의 브랜들이 시장에 진출해 있다. 각국 정부들의 보조금 혜택을 받는 수입 폴리프로필렌이 이집트자체 생산 제품보다 가격경쟁력이 좋은 편이며 제품의 밀도, 점성, 굴곡 탄성률 등 스펙에 따라 가격이 달라진다.

 

유통구조

 

<이집트 폴리프로필렌 유통구조>

[자료: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체작성]

 

<주요 폴리프로필렌 기업>

업체명

개요

Egyptian Propylene & Polypropylene Company - EPPC

Egyptian Propylene & Polypropylene Company (EPPC)는 이집트 수도 카이로 북동쪽으로 193Km 떨어진 항구도시 포트사이드에 위치한 업체로 2011년부터 31만 톤의 폴리플린과 폴리프로필렌을 생산해온 업체이다.

Plastic & Consultations Center (PCC)

PCC Plastic & Consultations Center는 1994년에 설립되어 플라스틱 원재료, 화학 첨가물은 물론 화학프로젝트를 위한 기계류를 취급해 온 업체이다. 매년  7만 MT의 화학제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이집트의 대표 산업지대인 텐스오브라마단 지역에 4천 sq 규모의 공장지대를 소유하고 있다. 현지 유통상으로서 회전 성형 분말, LDPE, LLDPE, HDPE, 폴리프로필렌, 필러 마스터 배치, 폴리스티렌, 디옥틸 프탈레이트(DOP), 염소화 파라핀(CPW) 등을 취급한다.

Egyptian German Co. (EGCO)

Egyptian German Co. (EGCO)는 사우디아비아의 SABIC을 비롯해 BASF, ExxonMobil, GPCA, INEOS 등과 거래하는 현지 거래상이다.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주로 취급한다.

[자료: KOTRA 카이로무역관 자체수집]

 

관세율 및 인증

 

수입관세는 5%이며 외에 부가가치세 14% 부과될 있다. 이집트 수출입령 770-2005 주요 검사분야(수입중단품, 중고품으로 수입할 있는 품목, 특약에 따라 수입되는 품목, 수입품질관리대상 품목 검사수수료) 확인해 결과 폴리카보네이트 수입을 위한 별도의 규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자유무역협정 체결국은 다음과 같이 별도의 관세규정을 따른다.

                      

1) 이집트-터키 FTA

- 협정에 적용되는 상품에 대해서 관세 100% 면제

 

2) 이집트-EFTA(유럽자유무역연합) FTA

- 체결상대국 : 리히텐슈타인,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위스

- 협정에 적용되는 상품에 대해서 관세 100% 면제

 

3) 이집트-EU FTA

- 체결상대국 : 오스트리아, 벨기에,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체코,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아일랜드, 이탈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몰타, 네덜란드, 폴란드, 포르투갈,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스웨덴

- 협정에 적용되는 상품에 대해 관세 100% 감세

 

4) 이집트-MERCOSUR FTA

- 체결상대국 : 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

- 협정에 적용되는 상품에 대해 관세 100% 면제

          

5) 이집트-영국 FTA

- 협정에 적용되는 상품에 대해 관세 100% 면제

 

이집트 세관에 문의 결과, 오존층을 이용하는 위험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폴리프로필렌은 이집트 환경청(EEAA) 승인이 없는 수입이 금지된다. 이집트 품질관리국(EOS)에서 규정하는 필수 인증은 없다.

 

시사점


최근 여러 대외이슈로 포리프로필렌 가격 변동성이 커지고 있어 업계의 우려의 목소리가 많다. 특히, 이집트 자체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수출하는 상황에 대한 현지 업체들의 반발이 있는 편이다. 


한편, 이집트 정부는 긴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 현지 생산을 늘려서 궁긍적으로 수입의존을 낮추고자 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우수한 품질의 외국산 제품에 대한 수요는 향후에도 계속 있을 것이기에, 가격 경쟁력 외에도 우수한 품질을 앞세우는 시장진출 전략이 필요하다. 이집트로의 폴리프로필렌 수출을 위해 필요한 필수 인증은 없지만, 국제표준 인증을 획득하면 바이어들의 구매의사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폴리프로필렌에 해당되는 주요 국제표준으로는 ISO 9001와 ISO 14001, SAS 18001 그리고 UKAS Quality Management 043가 대표적이다.



자료: Connect by IHS Markit, GTA/Connect by IHS Markit, Namaa Egypt for Trading and Agencies, 바이어 인터뷰, KOTRA 카이로무역관 자체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폴리프로필렌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