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모로코 화장품 시장 동향
  • 상품DB
  • 모로코
  • 카사블랑카무역관 나범근
  • 2021-11-19
  • 출처 : KOTRA

- 코로나 여파로 2020년 모로코 화장품 수입은 전년대비 약 30% 감소 -

- 도시화,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 경기회복에 따라 향후 화장품 수입시장 전망 밝아 –

- 한국 화장품에 대한 높아진 관심속에 제품등록, 유통망 진입위한 현지 파트너 발굴 중요 -



 

상품명 및 HS코드

 

화장품 (HS코드 : 3304 / Perfumery, Cosmetic or Preparations)

 

모로코 화장품 세부 HS코드 분류

Hs 코드

품목명

3304100000

립 메이크업 제품

3304200000

아이 메이크업 제품

3304300000

매니큐어, 페디큐어

3304910000

파우더 (압축형 포함)

3304990010

크림, 에멀션, 오일

3304990090

기타 화장품

자료 : 모로코 관세청

 

시장동향

 

모로코 화학산업 협회에 따르면, 현지 화장품 관련시장은 약 8억불 규모로 추정되며 화학산업 전체에서도 3-4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해외 수입브랜드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으나 다국적 글로벌기업 제품 외에 다양한 수입 및 현지제품이 존재하며 경제수준 향상, 도시화 및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 등으로 향후 성장가능성이 매우 높은 시장이다.

 

모로코 화학산업 협회장인 Abderrahmane Zagharyry에 따르면, 2020년은 코로나로 여파로 실제 시장수요가 50-60% 정도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하면서 화장품은 필수재가 아니기에 특히 메이크업 및 향수 관련제품이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한편, 최근 현지 화장품 시장 트렌드로 3가지를 꼽을 수 있다. 첫째,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천연성분을 사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가 크게 높아지고 있으며, 둘째, 외모 경쟁력에 대한 인식제고로 잡티제거/노화방지/주름제거 등 안티에이징 관련 기능성 화장품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영역으로 여겨진 화장품 관련 남성용 스킨케어 등 남성의 화장품 소비증가를 들 수 있다.

 

수입동향, 대한 수입규모

 

모로코 외환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2020년 모로코의 화장품 수입액은 전년대비 약 30% 감소한 108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는 코로나 확산방지를 위한 정부차원의 이동통제, 재택근무 장려 등 제한조치로 인해 전반적인 화장품 수요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 국가별 수입현황을 살펴보면, 프랑스(1위), 독일(3위), 폴란드(4위), 스페인(5위) 등 유럽산 화장품이 주로 수입되었으며, 기타 중국(2위), 미국(8위), 터키(9위)에서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품목별 수입현황을 보면, 크림/에멸션/오일류가 전체의 60.8%를 차지하였으며 기타 화장품 (18.2%), 아이 메이크업 제품(8.0%), 립 메이크업 제품(6.0%)이 주로 수입되었다.

 

현지 한국 화장품 수입비중은 전체의 약 0.5%로 아직은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양국간 지리적 원거리 및 상이한 언어, 문화로 인해 그간 한국업체 및 소비자 모두 관심이 많지 않았으나 최근 K-pop과 함께 한국 드라마, 영화 등이 현지에서 큰 인기를 끌면서 주 소비계층인 젊은 여성층을 중심으로 한국산 화장품에 대한 관심 및 인지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2020년 국가별 모로코 화장품 수입액

순위

국가명

수입액 (US$ )

비중 (%)

1

프랑스

36,907

33.9

2

중국

11,906

10.9

3

독일

7,359

6.8

4

폴란드

6,920

6.4

5

스페인

5,669

5.2

6

이탈리아

3,806

3.5

7

네덜란드

3,413

3.1

8

미국

2,923

2.7

9

터키

2,710

2.5

10

기타 국가

27,173

25.0

 

전체

108,791

100.0

주 : 환율 1US$ = 9.3 MAD 적용 (2020년)

자료 : 모로코 외환관리청


2020년 품목별 모로코 화장품 수입액

Hs 코드

품목명

수입액 (US$ )

비중 (%)

3304100000

립 메이크업 제품

6,513

6.0

3304200000

아이 메이크업 제품

8,745

8.0

3304300000

매니큐어, 페디큐어

3,430,

3.2

3304910000

파우더 (압축형 포함)

4,178

3.8

3304990010

크림, 에멀션, 오일

66,113

60.8

3304990090

기타 화장품

19,809

18.2

 

전체

108,791

100.0

주 : 환율 1US$ = 9.3 MAD 적용 (2020년)

자료 : 모로코 외환관리청

 

경쟁동향

 

20년 전에는 모로코 시장에서 해외 및 자국 화장품 비율이 각각 90% 대 10%로 해외제품의 시장점유율이 절대적이었으나 현재는 65% 대 35%로 간극이 좁혀지고 있다. 화장품 산업의 대중화와 더불어 모로코는 화장품의 고급원료로 사용되는 아르간 오일의 세계적인 원산지로 관련 화장품의 현지생산 증가 등으로 자국 제품비율이 높아졌으나 아직까지는 소규모 업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프리미엄 제품의 경우, 유럽산 화장품에 대한 고객 충성도가 매우 높은 편으로 로레알(L’OREAL), 비시(VICHY), 클라랑스(CLARINS) 등 프랑스 제품이 인기인 가운데 기타 유럽 및 미국제품과 경쟁을 하고 있으며 중저가 제품의 경우, 중국 또는 터키산 제품이 많이 수입되고 있다.

 

현지 주요 화장품 브랜드 정보

브랜드(국가)

로고

홈페이지

특징

L’OREAL

(프랑스)

external_image

https://www.nivea.ma/

거대 글로벌 기업으로

특히 헤어제품 인기

VICHY

(프랑스)

external_image

https://www.vichy.ma/fr/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며 선블록 인기

CLARINS

(프랑스)

external_image

https://www.clarins.fr/

스킨케어 제품 인기

(로이스처라이져/노화방지 등)

NIVEA

(독일)

external_image

https://www.nivea.ma/

스킨 및 바디제품 인기

(클린져/토너 등)

MAYBELLINE

(미국)

external_image

https://www.maybelline.ma/

 

메이크업 제품 인기

BYS

(호주)

external_image

https://www.bys.ma/

 

메이크업 제품 인기

Charmes du Maroc

(모로코)

external_image

http://www.charmedumaroc.ma/fr/

스킨케어 제품 인기

(천연성분 사용)

자료 : 무역관 자체조사 (홈페이지 등 참조)

 

현지 주요 인기 화장품 정보

브랜드)

제품명

가격

제품사진

L’OREAL

(프랑스)

Magic Retouch Instant Root Retouch Spray 4 Dark Blonde

70 MAD

external_image

VICHY

(프랑스)

Capital Soleil Dry Touch Anti-Shine Emulsion SPF 50 (50ml)

223 MAD

external_image

CLARINS

(프랑스)

EXTRA-FIRMING ENERGY- ENERGIZING DAY CREAM (50ml)

931 MAD

external_image

NIVEA

(미국)

Charcoal & Green Tea Hydrating Sheet Mask

26 MAD

external_image

MAYBELLINE

(미국)

Liquid Foundation - Fit Me (30ml)

102 MAD

external_image

BYS

(호주)

Lip and cheek tint

69 MAD

external_image

Charmes du Maroc

(모로코)

BITTER ALMOND essential oi (30ml)

65 MAD

external_image

자료 : 무역관 자체조사

 

유통구조

 

모로코 수출을 위해서는 현지 식약청(DNP)에 등록된 수입업체를 통한 제품등록이 선행되어야 한다.

전자상거래 활성화로 온라인을 통한 제품판매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판매는 쇼핑몰, 대형마트, 종합화장품 매장, 약국/드럭 스토어 등 다양한 채널이 존재한다. 유통채널별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쇼핑몰 : 대도시 중심으로 약 15개가 존재하며 높은 임대료로 인해 유럽산 수입 브랜드 등 상대적으로 고가제품 또는 인기브랜드 위주로 대량 판매

 . 대형마트 : 카르푸(Carrefour), 마잔(Marjane) 등 대형 슈퍼마켓 체인들도 화장품 코너에 일반 진열과 특판 임대코너를 유치, 중저가 제품 위주로 판매

 . 종합화장품 매장 : 유망 브랜드를 비롯, 모조품, 중국산 밀수품 등 거의 모든 제품을 판매하며 주택가 또는 주요상권을 중심으로 단골들을 많이 확보하고 있는 주요 판매처

 . 약국/드럭스토어 : 소비자들의 높은 신뢰성을 바탕으로 주로 스킨케어와 기능성 화장품들을 주로 판매하며 특히 중고가 제품을 많이 판매 (전국 약국 약 11,000개, 드럭스토어 500개 존재)

 . 온라인 판매 : 3대 온라인 플랫폼이 인기 (City Mall/Ma Para/Cote Para)

 

관세율, 인증

 

화장품의 경우 통상 2.5% 수입관세가 적용되며 현지 부가가치세는 20%가 부과된다.

모로코 수출을 위해서는 현지 식약처인 DMP(Directorate of Medicines and Pharmacy)에 등록된 수입업체를 통해 제품등록이 선행되어야 한다. 매 분기별 위원회(committee) 개최를 통해 제품등록 심사가 이루어지는데 준비해야 하는 주요 서류는 아래와 같다.  

 . 자유판매 인증서 (신뢰성 있는 기관의 공증을 득한 후 기관의 스탬프가 찍힌 원본)

 . 제조사와 수입 유통사간 제품공급 계약서 (아랍어 또는 프랑스어로 양사의 대표직인이 날인)

 . 독성검사 인증서 (한국이나 현지 또는 유럽 등지에서 공인된 검사기관의 서류 원본)

 . 성분검사서 (독성검사와 같은 방법이며 대부분 제조사에서 보유한 영문 인증서 통용)

 . 제품사양표 (규격/인쇄내용/실물사진 등을 USB메모리 등 전자저장 장치에 담아 제출)

 . 기타서류 (기타 요구서류로 세부내용 식약처 사이트* 참조) * http://dmp.sante.gov.ma

 

시사점

 

코로나로 인해 최근 화장품 수요가 크게 감소하였으나 대대적인 전국민 백신 캠페인 전개에 따라현재 백신접종 완료비율이 약 60%에 육박하고 있으며 코로나 확진자가 급격히 감소하고 ’21년 2분기 12.6%의 GDP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경기회복 및 경제활동 정상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부진했던 화장품 수요도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아직은 한국 화장품의 현지 점유율이 매우 낮은 수준이나 한국 및 한국산 소비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한국 화장품만을 독점적으로 취급하는 현지 수입업체가 늘어나는 등 향후 발전가능성은 매우 높은 편이다. 한국화장품 전문 수입업체인 H사 대표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한국제품은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고 피부트러블, 안티에이징 등 기능성 제품에 있어 다른 경쟁제품 대비 즉각적인 효과를 경험할 수 있기에 소비자들로부터 매우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고 있으며 이에 해당업체도 수입 제품군을 점차 확대할 계획임을 밝혔다.    

 

당 무역관은 현지의 높아진 관심을 바탕으로 현재 화장품 관련 온라인 상담회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새롭고 다른 컨셉의 제품을 원하는 현지 화장품 수입업체들이 적극적인 호응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화장품 이외에도 화장품 용기, 브랜딩 등 한국의 앞선 패키징에 관심을 보이는 업체가 증가하고 있어 틈새기회도 존재하고 있다.

 

다만, 최근 현지 수입통관이 까다로워지면서 제품등록에 오랜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기에 어느정도 합의에 이른 후에도 제품등록 준비과정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빈번히 나타나고 있다. 이에 성공적인 현지진출을 위해 제품등록 및 판매과정에 있어 네트워크 및 경험을 갖춘 현지 파트너 발굴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자료원 : 모로코 화학협회, 외환관리청, 현지 언론 및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모로코 화장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