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대만 구강케어제품 시장동향
  • 상품DB
  • 대만
  • 타이베이무역관 김사라
  • 2021-06-14
  • 출처 : KOTRA

대만 구강케어 제품 시장 규모 소폭 증가세 지속 -

현지 바이어, 최근 젊은 층 소비자는 치아 미백에 관심이 많다고 언급 -

 

 

 

상품명 및 HS Code

 

구강케어제품 (HS Code: 3306.10, 3306.20, 8509.80, 9603.21)

 

시장규모

 

대만 구강케어 제품 시장은 매년 평균 1%씩 소폭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80억 대만달러를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구강용품에는 세부적으로 치실, 구강 청결제, 치약, 칫솔로 나눌 수 있는데 그중 치약이 전체 구강케어 제품 시장규모 55%를 차지하며 3년간(2018~2020년)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성장률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는 품목은 구강청결제로 최근 3년 연평균 4.5%증가해 2021년 5억 대만달러 대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종류별 시장규모

(단위: 백만 대만달러)

구분

2018

2019

2020

2021(f)

2022(f)

2023(f)

치실

231

241

247

252

258

259

구강 청결제

449

473

488

514

545

577

치약

4,192

4,246

4,278

4,359

4,410

4,481

칫솔

일반

2,226

2,255

2,251

2,281

2,299

2,342

전동

432

428

416

416

422

429

총액

7,530

7,643

7,680

7,822

7,934

8,088

자료: 유로모니터

 

관세율, 인증

 

관세율은 일반칫솔 5%, 전동칫솔 7.5%이며 이외 구강케어 제품은 0%이다.


치약, 구강청결제(의약외품 기준)는 함유된 성분에 따라 특정용도 화장품 또는 일반 화장품으로 분류되는데 특정용도 화장품은 수입 전 현지 수입상이 대만 위생복리부 식품약물관리서(대만FDA)의 수입허가를 취득해야 반입 가능하며 현지에서 정식 시판 전 화장품 관리 시스템(化粧品品登錄平台系)에 제품등록이 필요하다. 대만FDA에 따르면 통상 특정용도 치약, 구강청결제는 미백기능 제품이 많은 것으로 확인된다. 일반 화장품으로 분류되었을 경우 별도 인허가 없이 수입 가능하나 정식 시판 전 대만FDA 화장품 관리 시스템(化粧品品登錄平台系)에 제품등록이 필요하다. 함유된 성분에 따라 요구되는 인증이 달라지기 때문에 먼저 대만 위생복리부 식품약물관리서(대만FDA)에서 제품분류를 신청하는 편이 좋다.

 

과자류 품목별 관세율

HS CODE

품목명

관세율(%)

3306.10.10902

기타 치약(의약외품)

0

3306.10.20900

기타 구강청결제(의약외품)

0

3306.20.00001

치실

0

8509.80.20009

전동 칫솔

7.5%

9603.21.00008

일반 칫솔

5%

자료: 재정부 관무서

 

수입동향

 

2018년 4.4% 감소했던 수입액은 2019~2020년 연속으로 평균 7%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구강케어 품목 중 수입액이 가장 높은 카테고리는 기타 치약으로 3년간(2018~2020년) 50% 수입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일반 칫솔 25%, 전동 칫솔 12% 등의 순이다. 한편 구강케어 제품 중 증가율*이 가장 높은 제품은 전동칫솔로 2019년대비 25.3% 증가했다.

주*: 전동칫솔 외 2019년대비 품목별 증가율은 구강청결제 19.7%, 일반칫솔 8.8%, 치약 0.4%, 치실 -19.2%이다.

 

주요 구강케어 제품 수입국은 중국과 태국이 각각 1,2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칫솔품목(일반, 전동)에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며 태국은 치약과 구강청결제 제품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인다. 한국 제품은 수입비중이 큰 편은 아니나 각 품목마다 5위권에 진입하고 있다.

 

2018~2020년 품목별 수입동향

(단위: 천 달러, %)

품목명(HS CODE)

2018

2019

2020

비중

주요 수입국(비중)

기타 치약

(의약외품)

(3306.10.10902)

58,077

62,315

62,617

50.4

1. 태국(32.9)

2. 중국(26.7)

5. 한국(6.27)

기타 구강청결제

(의약외품)

 (3306.10.20900)

9,130

10,762

12,883

9.0

1. 태국(49.2)

2. 미국(18.9)

5. 한국(3.3)

치실

(3306.20.00001)

4,228

4,814

3,886

3.5

1. 미국(30.0)

2. 아일랜드(24.9)

5. 한국(8.5)

전동 칫솔

(8509.80.20009)

12,498

13,616

17,066

12.0

1. 중국(82.3)

2. 독일(10.8)

4. 한국(0.4)

일반 칫솔

(9603.21.00008)

28,794

29,824

32,457

25.1

1. 중국(43.2)

2. 태국(17.6)

3. 한국(6.8)

합계*

112,727

121,331

128,909

100

1. 중국(34.6)

2. 태국(28.2)

4. 한국(5.5)

증감률

-4.4

7.6

6.2

* 주: 합계는 다섯가지 품목 합산기준

자료: 경제부 국제무역국

 

유통구조

 

구강케어 제품 유통은 통상 식료품점인 대형마트(Carrefour, RT-mart, Costco 등), 슈퍼마켓(welcome, pxmart 등), 편의점(7-11, family, Hi-life 등)에 유통되거나 드러그 스토어(Watsons, COSMED, s3, 86shop 등), 백화점(Shin Kong Mitsukoshi, Breeze, Sogo 등)에 유통되고 있다. 그중 일부는 온라인 쇼핑몰(Shopee, PC Home, momo, etmall 등)에서 판매되고 있다.

 

대만은 오프라인 매장을 통한 구매를 선호하는 편이다. 오프라인(식료품점, 드러그 스토어, 백화점) 구매비중이 88.6%를 차지하며 온라인 구매는 11.4% 수준이다.

 

구강케어 제품 유통구조

 

자료: 유로모니터, 타이베이 무역관 자체정리

 

경쟁동향

 

구강케어 제품은 구강 상태별로 다양한 사이즈, 기능성 제품이 출시되어 있다.

 

콜게이트(Colgate), 달리(Darlie), 센소다인(Sensodyne)은 치약의 상위 3개 브랜드로 유명하며 치약시장의 47.6%를 차지한다. 한국 제품으로는 메디안, 애터미, LG생활건강 브랜드 제품이 대만 온ㆍ오프라인에서 활발하게 유통 중이다.


구강청결제 제품 중에서는 리스테린(Listerine), 데이앤드나이트(Day & Night), 백인(white men) 유명하며 구강청결제 시장의 55.2% 차지하고 있다. 그중 리스테린은 소비자 수요에 맞춘 다양한 맛, 향, 기능을 출시하여 선택의 폭을 넓혔다.

 

대만 치실의 평균 가격은 1개입 기준 약 50~100대만달러로 관찰된다. 현지 온ㆍ오프라인에서 치실을 구매할 때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는 브랜드는 Oral-B와 3M이다. 특히 3M 스틱형 치실은 생활용품, 사무용품으로 쓰일 뿐만 아니라 현지 음식점에서도 종종 볼 수 있다.

 

전동칫솔 가격대는 제조국, 기능, 재질, 내구성, 브랜드 인지도 등에 따라 약 400~6,000대만달러까지 다양하다. 가격조사를 진행하면서 관찰한 결과 중국 제품이 주로 판매 인기제품으로 조회되었다. 이는 기본적인 기능을 갖추면서도 가격이 저렴해 현지 소비자의 관심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일반 칫솔제품은 통상 솔의 재질과 모양, 크기에 차별화를 둔다. 최근에는 친환경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칫솔모에 숯성분이 함유된 제품도 인기를 끌고 있으며 샐럽(Shallop), 왓슨스(Watsons), 달리(Darlie), 콜게이트(Colgate) 등 여러 브랜드에서도 숯성분이 함유된 칫솔제품을 출시했다.

 

구강케어 제품 및 가격

 

*주: 조사시점 2021.5. 기준 온라인 실제 판매가격

자료: momo, Carrefour Taiwan, PC home, Shopee, 유로모니터

 

시사점

 

다양한 제품 출시에 따라 소비자 선택의 폭이 넓어졌기 때문에 성분, 효능, 디자인 등에서 기존 제품들과 차별화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생활용품 수입업체 J사는 최근 젊은 층 소비자가 치아 미백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며 한국 구강케어 제품은 미용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에 치아 미백 제품으로 공략한다면 더 유리할 것으로 판단했다. 수입업체에게 제품 소개 시 해당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효과를 증명할 수 있는 후기영상, 한국 현지반응 및 평가 자료를 제공하는 편이 좋다고 현지업체는 첨언했다.

 

현지에서는 친환경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화학성분보다는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항균치약이나 천연소재 칫솔 등으로 제품을 어필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만하다.

 


자료: 유로모니터, 재정부 관무서, 경제부 국제무역국, momo, Carrefour Taiwan, PC home, Shopee,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대만 구강케어제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