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폴란드 광물/에너지 산업_에너지 산업
  • 국별 주요산업
  • 폴란드
  • 최용안
  • 2018-12-26
  • 출처 : KOTRA

광물/에너지  에너지  

 

산업 개요

 

폴란드는 2차 세계대전 이후로 에너지 부문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1950년대에 들어 발전현대화와 고도의 전력화 작업이 진행되면서 대형발전소들이 들어섰다. 1960년대에 들어 220KV부터 400KV까지 국가 송배전 시스템이 완비됐으며, 대형 열병합발전소도 들어서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국가 전력화가 이루어졌다.  

 

1960 년대부터는 본격적으로 주변국가와의 에너지 협력이 시작됐다. 소비에트 연방, 독일, 체코슬로바키아와 연결됐다. 1970년대까지 125~200MW 규모의 발전소가 세워졌으며, 1980년대부터는 360MW, 500MW 규모가 세워졌고, 송배전 시스템도 확장됐다. 이 시기에 Bełchatów 발전소(12x360MW) 건설 대형 프로젝트가 추진됐는데, 그 중 Żarnowiec에 원자력발전소 건설건은 1990년에 중단되기도 했다.

 

폴란드 에너지산업에서는 석탄 및 갈탄을 통한 에너지 생산량이 상당부분을 차지한다. 폴란드에 매장된 석탄과 갈탄의 풍부한 부존량은 전체 에너지 생산발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17년 기준, 석탄에너지는 총 에너지 생산의 80%를 차지하고 나머지 부문은 신재생에너지에서 추출된 에너지와 천연가스, 액화가스 등이 차지한다. 더 강력해진 EU의 탄소배출규제에 따라 폴란드의 노후화된 석탄화력 발전소는 오염이 적은 신규 설비 혹은 신재생에너지로의 에너지구조 구도화가 요구되고 있다. 유럽의 탄소배출규제 정책에도 불구하고, 폴란드 석탄생산이 안정적으로 지속되는 한, 석탄소비는 적어도 향후10년간은 오히려 최대 에너지원으로 유지될 전망이다. 신재생에너지로 전환되는 노력을 한다 해도 전체 에너지의 76% 이하로 떨어지지 않을 것으로 내다본다.

 

대부분의 발전장비가 낡고 오래돼 교체나 현대화 작업이 필요하지만, 폴란드 에너지부문의 대부분이 석탄에 의존하고 있어 탄소 배출량이 고려된 EU의 에너지 정책은 이에 대한 투자를 지연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EU의 에너지 정책으로 화석연료 발전 비용이 올라가게 되고 상대적으로 주변국의 에너지 가격이 저렴한 상황이  2014년은 경제개방 이후 처음으로 에너지 수입이 수출보다 많았던 한 해가 됐다.

 

시장 동향

 

폴란드 에너지 시장은 4대 전력회사(PGE, Tauron, Energa, Enea)가 전체 시장의 86%를 차지하고 있다. 폴란드의 4대 전력회사는 아직까지 정부지분이 많이 남아있어, 정부에서 운영하고 있는데, 막대한 투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고, 시장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유럽의 다른 에너지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강한 기업을 만드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폴란드의 전력회사는 서유럽의 주요 플레이어들에 비해 왜소한 편이다. 그래서 현지 폴란드 정부는 이 기업들의 합병을 시도하고 있으며, PGE Energa, Tauron Enea와 합쳐질 것으로 보인다

 

폴란드 4대 전력회사 지분 구조

https://www.emis.com/7957/docdata/615657597_000.png

자료원: BMI

 

폴란드 전체 전력생산규모는 2017년 기준 170.019 TWh였다.  화력발전이 86%이며, 이 중 석탄 화력발전이 80%, 천연가스 4.6%, 오일이 1.2%를 구성한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에서 수력발전이 1.6%, 그 외 신재생에너지가 13%를 차지한다.

 

폴란드 에너지원 종류별 전력 생산규모(2017~2027)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총 발전량, TWh

166.708

170.019

174.694

181.126

186.195

190.189

석탄 발전량, TWh

133.770

135.389

138.570

142.409

145.955

149.049

석탄 발전량 증감률, %

0.608

1.210

2.350

2.770

2.490

2.120

석탄 발전량 비율, %

80.242

79.631

79.321

78.624

78.388

78.369

천연가스 발전량, TWh

6.991

7.864

8.705

10.657

11.777

11.920

천연가스 발전량 증감률, %

9.450

12.490

10.702

22.422

10.510

1.210

천연가스 발전량 비중, %

4.193

4.625

4.983

5.884

6.325

6.267

석유 발전량, TWh

2.112

2.101

2.028

1.967

1.908

1.870

석유 발전량 증감률, %

-0.300

-0.500

-3.500

-3.000

-3.000

-2.000

석유 발전량 비중, %

1.267

1.236

1.161

1.086

1.025

0.983

원자력 발전량, TWh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원자력 발전량 증감률, %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수력 발전량, TWh

2.571

2.695

2.787

2.829

2.721

2.748

수력 발전량 증감률, %

5.600

4.800

3.440

1.490

-3.819

1.000

수력 발전량 비중, %

1.542

1.585

1.596

1.562

1.461

1.445

재생에너지 발전량, TWh

21.565

22.271

22.904

23.564

24.135

24.897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감률, %

3.418

3.277

2.841

2.882

2.422

3.157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

12.936

13.099

13.111

13.010

12.962

13.091

 

구분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총 발전량, TWh

191.092

192.950

193.881

195.185

196.982

198.037

석탄 발전량, TWh

149.228

150.242

150.603

150.829

151.643

151.962

석탄 발전량 증감률, %

0.120

0.680

0.240

0.150

0.540

0.210

석탄 발전량 비율, %

78.092

77.866

77.678

77.275

76.983

76.734

천연가스 발전량, TWh

12.076

12.170

12.214

12.323

12.541

12.715

천연가스 발전량 증감률, %

1.310

0.780

0.360

0.890

1.770

1.390

천연가스 발전량 비중, %

6.319

6.307

6.300

6.313

6.366

6.421

석유 발전량, TWh

1.818

1.745

1.691

1.655

1.626

1.585

석유 발전량 증감률, %

-2.750

-4.000

-3.140

-2.100

-1.770

-2.490

석유 발전량 비중, %

0.951

0.905

0.872

0.848

0.825

0.801

원자력 발전량, TWh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원자력 발전량 증감률, %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수력 발전량, TWh

2.781

2.817

2.840

2.882

2.906

2.949

수력 발전량 증감률, %

1.200

1.300

0.790

1.500

0.810

1.500

수력 발전량 비중, %

1.455

1.460

1.465

1.477

1.475

1.489

재생에너지 발전량, TWh

25.492

26.284

26.846

27.810

28.581

29.140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감률, %

2.391

3.107

2.140

3.590

2.772

1.956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

13.340

13.622

13.847

14.248

14.509

14.714

자료원: BMI

 

시장 전망

 

2009 년 정부는 '폴란드 에너지 정책 2030'을 채택, 국가 에너지 부문의 중장기 전략을 바탕으로 에너지 부문을 육성하고 있는데 에너지 효율성 증대 에너지원 및 송배전 안보 발전구조 다양화와 원자력 발전 도입 바이어연료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 연료와 에너지 부문 시장 경쟁확보 에너지 부문 환경영향 제한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현재는 “폴란드 에너지 정책 2050” 수립을 위한 컨설팅을 진행 중이다.

 

폴란드 에너지 부분의 가장 큰 위협은 EU 정책이다. 탄소배출에 대한 패널티와 이를 줄이기 위한 비용은 주로 화석연료를 사용하고 있는 폴란드 발전회사의 비용증대로 이어진다. 독일시장의에너지 평균가격은 폴란드보다 30%나 저렴하다. 게다가 폴란드가 보유하고 있는 발전 인프라 및 에너지 송배전 시스템은 현대화를 위한 투자가 필요한 상황으로 지속적인 비용상승이 불가피하다.

 

에너지 송배전 사업은 폴란드뿐만 아니라 유럽 전역에 걸쳐 가장 유망한 에너지 분야일 것이다. 폴란드의 경우 에너지 그리드 투자와 관련된 법제정을 추진 중인데, 이는 송배전 부문 발전에 힘을 실어줄 전망이다.

 

폴란드는 2020년까지 총 에너지소비량에서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15%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폴란드에서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기 위해서 풍력 발전량을 증대하고, 교통, 난방 및 전력 발전 부문에서의 바이오매스 에너지 비중을 충분히 늘려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력부문의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2030 19.2%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산업 및 농업, 건축, 교통 부문 등 전 범주에 걸쳐 재생에너지 비율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2030년까지 폴란드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총 투자규모는 연평균 45억 달러로 추정되며, 대부분 전력발전 산업에서의 온실가스 감축과 풍력산업 활성화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폴란드 가정용 전력소비는 연간 130~135 TWh이며, 매년 1.0~1.9% 증가할 전망이다. 10년 후인 2027년에는 146.7 TWh 정도가 될 전망이다.

 

폴란드 전력소모량 동향과 전망

https://www.emis.com/7957/docdata/615657597_003.png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총 소비량, TWh

130.2

132.7

134.3

135.4

137.7

139.1

총 소비량 증감률, %

1.9

1.9

1.2

0.8

1.7

1.0

1인당 소비량, KWh

3,407.4

3,477.4

3,525.2

3,560.2

3,630.0

3,676.3

 

구분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총 소비량, TWh

140.6

140.9

142.4

144.0

145.4

146.7

총 소비량 증감률, %

1.1

0.2

1.1

1.1

1.0

0.9

1인당 소비량, KWh

3,726.0

3,745.2

3,797.7

3,852.9

3,905.0

3,953.9

자료원: BMI

 

진출 전략

 

덴마크 풍력발전 터빈 제조사 Vestas 2001년 처음으로 Barzowice에서 (5.1MW 풍력발전지역) 폴란드 사업을 시작해, 2003년에는 Szczecin에 지점을 열고 본격적으로 폴란드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는데폴란드 시장에서 38%의 점유할 만큼 성공적으로 정착했다.

 

이에 따라 에너지 사업자들은 관련 프로젝트 준비를 완료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PGE의 경우 2015년 말까지 3개의 풍력발전지역을 조성하기 위해 2,380유로를 투자할 계획을 밝힌 바 있으며, Siemens 또한 2015년도에 44MW 규모의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RWE의 경우는 2015년 한 해만 풍력발전에 7천 유로 이상을 투자할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 집권당인 법과정의당이 풍력발전소 건설 위치 제한과 운영에 대한 과세를 높이는 신규 법안을 추진 중이며, 관련 전문가들은 정부가 지열, 바이오매스 발전으로 방향을 옮겨갈 것이라는 예상도 내놓고 있다.

 

EU 규제에 따라 화석연료 발전에 대한 장벽이 높아짐에 따라 유럽전역에서 신재생 에너지 분야 전망이 밝은 편이다. 특히 폴란드의 경우 에너지믹스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11% 남짓에 불과하지만 EU 방침에 따라 점차 이 비중을 늘려가야 하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시장 성장잠재력이 높다. 특히 폴란드는 에너지 인프라 현대화와 환경 보호를 목적으로 사용 예정인 막대한 EU 기금(83억 유로)을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적극 투자가 예상된다.

 

한편, 그동안 폴란드 내 신재생에너지 개발 정책은 비일관적으로 추진돼 국가 에너지 안정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 효율적인 방향으로 제도를 일원화시키려는 노력으로 신재생에너지 경매입찰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다. 현 정부가 폴란드 석탄산업을 살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상황에서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현 단계에서는 정부 우선순위 정책이 아닐 수도 있으나, 폴란드는 EU 회원국으로서 석탄 사용량을 점차 줄여야 하는 의무가 있어 재생에너지 산업 투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가치가 있다

 

기존 제도와 비교했을 때 신 입찰제도는 에너지 생산업체들의 수익성이 반영된 것으로 평가되며, 입찰규모 산정 시 EU 목표치(2020년까지 15% 이상 생산)를 반영해 안정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재생에너지 생산 투자에 관심이 있거나 생산설비에 관심이 있는 투자업체들은 폴란드 에너지규제청에서 제공하는 투자 관련 업데이트 자료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특히, 폴란드 내 에너지 프로젝트 참여 시 폴란드 지역 파트너와 협력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폴란드 내의 입찰 참여자들과 현지시장에 익숙해 구체적인 정보를 보유한 폴란드 기업과 협력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기업의 기술력과 폴란드 현지 기업의 현지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역파트너들과의 협력이 강조된다

 

에너지, 광물 산업 관련 주요 전시회

전시회

시기

장소

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Fair

(greenpower.mtp.pl/en)

2019.5.14.~16

포즈난(Poznan)

International Power Industry Exhibition

(www.expopower.pl)

2019.5.14.~16

포즈난(Poznan)

자료원: toFairs(폴란드 무역전시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폴란드 광물/에너지 산업_에너지 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