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우즈베키스탄 자동차 배터리 시장동향
  • 상품DB
  • 우즈베키스탄
  • 타슈켄트무역관 채병수
  • 2018-07-17
  • 출처 : KOTRA

해- 현지 기업 DAZ 전체 시장 90% 차지, 지분 51% 해외투자자에 매각 추진 중 -

- 관세 면제 예정이나 소비세, 부가가치세 유지로 효과 기대만큼 크지 않을 듯 -

 

 

 

□ 조사 품목

 

  ㅇ 상품명: 자동차 배터리

    - HS Code: 8507102003

 

□ 시장 개요

 

  ㅇ (시장규모) 우즈베키스탄 자동차 배터리 연간 시장규모는 수입상 및 현지 제조업체 Jizzak Battery Plant(DAZ) 인터뷰 결과 약 75만 개 정도로 추정됨.

    - 이 중 90%의 시장을 DAZ가 차지해 압도적인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나머지 약 10% 시장을 수입 제품들이 나눠 점유하고 있음.

 

  ㅇ (배터리 교체 주기) 배터리 수입상 및 소비자 인터뷰에 따르면 제품 품질과 차량 주행 시간에 따라 일반적으로 1~3년 주기로 자동차 배터리를 교체하는 편임.

 

  ㅇ (자동차 보급률)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자료에 따르면 2015년과 2016년 우즈베키스탄 인구 1000명 당 자동차 보급률은 각각 72대, 73대로 소폭 증가했으며 전체 운용(등록) 차량 대수는 2016년 기준 총 231만8000대(승용차 171만 대, 상용차 60만8000대) 수준임.

 

  ㅇ (자동차 생산량) 자동차공업성(Uzauto) 발표에 따르면 2017년 우즈베키스탄 내 자동차 생산량은 GM Uzbekistan, SAM, MAN AUTO를 합쳐 14만5000대 수준으로 전년 9만3000대 수준 대비 약 56% 증가

    - 2016년 경기악화에 따른 기저효과로 생산량 증가폭이 컸으며 현지 생산 차량이 완성차시장의 90% 이상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우즈베키스탄 시장에서 차량 생산량 증가는 배터리 소비량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ㅇ (차량 판매량)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5만6300대(승용차 4만3900대, 상용차 1만2400대) 수준임.

 

□ 생산동향

 

  ㅇ (생산규모) DAZ공장 관계자에 따르면 2017년 약 70만 개의 배터리가 생산됐음.

    - DAZ사는 연간 최대 100만 개의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실제 생산량이 3년 전 대비 약 34% 증가했음.

 

우즈베키스탄 내 자동차 배터리 생산동향

external_image

자료원: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

 

  ㅇ (생산 기업 정보) 현재 DAZ사가 현지 배터리시장 과점 상태에 있으며 이는 자동차공업성이 소유한 회사로 현지 완성차, 농기계회사에 납품이 가능하고 해외 기업과 경쟁 제한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수입제품에 대한 관세 장벽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임.

    - DAZ사는 2003년부터 자동차 배터리 생산을 시작, 2006년 ISO 9001 획득했으며 현재 ENERGY, ATLANT, CLASSIC, HOPPENERGY 등의 브랜드로 35~190Ah 용량 제품을 생산해 GM Uzbekistan, MAN AUTO, SAM AUTO, Ozagrosanoatmasholding(농기계 지주회사)에 납품하고 있음.

    - 2012년 대규모 현대화 작업으로 이탈리아 SOVEMA사, 한국 M사 등의 생산 설비를 도입했으며 한국, 미국, 브라질, 터키, 러시아 등으로 직원들을 파견해 교육시키고 있음.

    - 자동차공업성(Uzavtosanoat)은 정부의 국유재산 민영화 정책의 일환으로 2015~2016년 DAZ 지분 33.3%을 전략적 투자자에게 매각하는 안을 추진했으며 2018년 6월 『DAZ 추가 현대화를 위한 조치』 대통령 결의안에 따라 51% 지분의 해외투자자 매각을 재추진 중.

 

□ 수출동향

 

  ㅇ 직전 2년동안 수출이 2000달러로 매우 적었으나 2017년 들어 키르기즈스탄, 카자흐스탄에 31만5000달러 수출.

    - DAZ의 생산량 지속 확대 등을 위해서는 내수시장 뿐만 아니라 해외 수출 시장을 적극 개척해야될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수출 적극 장려 정책과 부합하는 방향임.

 

우즈베키스탄 자동차 배터리 수출동향(HS Code: 850710)

(단위: 천 달러)

순위

국가

2015

2016

2017

총계

0

2

315

1

키르기즈스탄

0

0

278

2

카자흐스탄

0

0

37

3

한국

0

2

0

자료원: ITC Trademap

 

□ 수입동향

 

  ㅇ 주재국 정부의 현지 제조업 육성 및 수출 장려, 관세 장벽 등의 이유로 배터리 수입량은 지난 3년간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음.

    - 지속적인 수입 감소세에도 불구, 한국은 수입 시장 선두를 유지하고 있으며 2017년에는 총 수입량의 약 52%인 184만 달러 수출을 기록함.

    - 이외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이 그 뒤를 잇고 있음.

 

우즈베키스탄 자동차 배터리 수입동향(HS Code: 850710)

 (단위: 천 달러)

순위

국가

2015

2016

2017

총계

4,796

3,474

3,402

1

한국

3,341

2,315

1,840

2

러시아

776

636

469

3

카자흐스탄

281

77

321

4

우크라이나

0

0

215

5

터키

84

162

172

6

중국

2

0

150

7

프랑스

0

0

88

8

미국

69

0

64

9

체코

109

164

55

10

폴란드

12

71

28

자료원: ITC Trademap

 

□ 경쟁동향

 

  ㅇ DAZ가 낮은 품질 및 1년 수준의 작동 기간에도 불구하고 저렴한 가격과 완성차 납품 이점을 바탕으로 시장 내 90%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음.

 

  ㅇ 수입 제품 중에는 Delkor가 높은 인지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독일의 VARTA도 고급 제품으로서 좋은 인지도를 보유하고 있음.

    - 이외 폴란드의 Centra, 독일의 Bosch, 우크라이나의 Westa, 미국의 Gigawatt 등과 중국 제품들이 유통되고 있음.

 

현지 유통중인 주요 브랜드 제품 및 가격

상품명

사진

가격

DELKOR DF60L

 external_image

 

UZS 607,500 = USD 77.8

 

VARTA

BLUE DYNAMIC 60Ah D24

 external_image

UZS 648,000 = USD 82.9

BOSCH S4 E302 12V74AH R

external_image

UZS 1,223,000 = USD 156.5

CENTRA STANDARD 70Ah

external_image

UZS 850,000 = USD 108.8

MEDALIST 74Ah

external_image 

 

UZS 840,000 = USD 107.5 

 

ENERGY SMF50

 (DAZ)

external_image

UZS 355,000 = USD 45.4

ENERGY MF66-T

 (DAZ)

external_image

UZS 450,000 = USD 57.6

ENERGY MF75-T

 (DAZ)

 external_image

UZS 480,000 = USD 61.4

주: 2018년 7월 13일 우즈베키스탄 중앙은행 환율 1USD=7,813.42UZS

자료원: DAZ 및 수입상 자료 종합

 

□ 유통 구조

 

  ㅇ 수입상이 수입한 물건을 도매상이나 소매상에 유통하는 구조로 한국으로부터 수입의 경우 장한평 등을 근거지로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 부품을 구매, 컨테이너를 채워 발송하는 업을 전문적으로 하는 우즈베키스탄인들이 활동하고 있음. 

 

  ㅇ 제품이 소량일 경우 소매상이 직접 또는 대리인을 통해 핸드캐리를 이용해 비공식적으로 통관, 반입하기도 함.

 

□ 수입세 및 인증

 

  ㅇ (수입세) HS Code 8507102003 수입 시 현재 관세 10%, 소비세 10%, 부가가치세 20% 등 총 40%의 세금이 부과되고 있음.

    - 6월 말 발표된 대통령 결의안 PP-3818『 해외경제활동과 관세 시스템 간 추가 조화를 위한 조치』에 따라 2019년 1월 1일부 관세 0% 적용 예정(소비세, 부가가치세는 기존과 동일).

 

  ㅇ (인증) 국가 표준, 도량, 인증 기관 Uzstandard(National Agency for Standardization, Metrology and Certification)에서 Certificate of Conformity 발급받아야 하며 해당 인증은 동일 품목에 대해 3 유효함.

 

Certificate of Conformity 발급 시 필요 서류

- 신청자의 인감으로 봉인된 신청서

- 제품 라벨 샘플(상품 정보)

- 우즈베키스탄 세관 도착 표시가 된 선적 서류(인보이스, 송장 등)

- 제품과 관련된 규제 문서 사본(있을 경우)

- 위생증명서 사본(있을 경우)

 

□ 현지 전문가 인터뷰

 

  ㅇ 10년간 자동차 배터리 수입 관련 사업에 종사하고 있는 Mr. F 개인사업자와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세부 내용은 아래와 같음.

 

  Q. 주로 어떤 브랜드의 배터리를 수입하고 있는가?

  A. Delkor, Medalist, Dinamic, NewMax 등과 같은 브랜드를 수입하고 있으며 유럽 브랜드로는 Varta, Lion등을 수입하고 있다.

 

  Q. 우즈베키스탄 자동차 배터리시장의 전반적인 동향에 대해 설명한다면?

  A. DAZ가 시장 내 가장 큰 공급자로 최근 몇 년 간 품질 향상과 동시에 가격인하한 덕분에 소비자의 선호도가 유지, 확산되고 있다. 수입제품으로는 Delkor가 합리적인 가격과 품질 덕택에 인기를 끌고 있다.  

 

  Q. 한국제품은 다른 수입 제품과의 경쟁에서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지?

- 앞서 언급했듯이 Delkor가 수입 제품 중 가장 대중적인 브랜드로 알려져 있으며 다만 값비싼 외제차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독일의 Varta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Q. 현재 다른 해외 배터리 브랜드들이 우즈베키스탄 시장에 추가로 진입할 여지가 있는지?

  A. 가격과 품질이 합리적이라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Q. 현재 우즈베키스탄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는 무엇인지?

  A. 첫째는 가격, 둘째는 품질과 보증 기간이다.

 

□ 시사점

 

  ㅇ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2017~2021년 자동차산업 5개년 발전 계획에 따라 2021년 자동차 생산이 계획대로 연 24만 대 수준으로 실시될 경우 배터리 소비량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

 

  ㅇ 가격요인에 가장 민감한 우즈베키스탄 소비자 특성상 DAZ 제품에 대한 선호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 현재 추진하고 있는 DAZ의 지분 51% 해외투자자 대상 매각이 추진될 경우 제품 품질 향상 및 생산 효율화에 따른 시장점유 강화 예상.

 

  ㅇ 2019년 1월 1일부 관세 폐지는 기존과 동일 수준으로 유지되는 소비세, 부가가치세의 영향으로 수입제품의 가격경쟁력 강화에 기대만큼의 큰 효과는 미치지 못할 것으로 사료됨.

 

  ㅇ 조사 결과 수입제품 중에서도 가격경쟁력과 이에 맞는 합리적인 품질 및 보증기간을 제공하는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므로 이를 고려한 수출 전략이 요구됨.

 

 

자료원: Uzdaily, Uzavtosanoat, Tashkenttimes, DAZ, ITC Trademap, Uzstandart, regulation.gov.uz, bibi.uz,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 우즈베키스탄 관세위원회, 한국자동차산업협회, KOTRA 타슈켄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우즈베키스탄 자동차 배터리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